국제 경제
"틱톡은 살리고 관세는 미궁"…미·중 무역전쟁 '휴전선' 위 합의
- 미국 통제 구조 전환 원칙적 합의
11월 유예 만료 앞두고 긴장 고조

틱톡을 미국이 통제하는 지배 구조로 재편하는 프레임워크가 마련되면서 당장 강제 금지 위기는 피했지만, 관세와 수출통제 같은 핵심 현안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젊은 세대가 구해내고 싶어 했던 특정 기업에 대해 합의에 도달했다"며 협상 성과를 강조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프레임워크는 틱톡을 미국 소유 구조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으나, 최종 확정은 오는 19일 예정된 미·중 정상 간 통화 이후로 미뤄졌다. 중국 측 역시 "기본적 합의에 도달했다"고 확인했다.
틱톡은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중국 기업이라는 점에서 개인정보 유출 등 안보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미국은 지난해 '틱톡 금지법'을 제정하며 매각을 압박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젊은층 반발을 고려해 시행을 유예하고 협상을 이어왔다. 이번 합의에는 중국이 지배적 지분 매각에 동의한 것이 결정적 역할을 했으며, 오라클이 유력 인수 후보로 거론된다.
다만, 무역 갈등의 핵심인 관세 문제는 교착 상태다. 양국은 5월 제네바 회담에서 상호 115%p씩 관세 인하에 합의했으나, 유예 기한이 오는 11월 종료된다. 미국은 연장 가능성을 열어두었지만, 중국은 대중 규제 완화를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날 협상에서는 자금 세탁 방지 협력, 엔비디아 조사 문제,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 등도 논의됐으나 관세와 수출통제에 대한 실질적 진전은 부족했다. 미·중 양국이 틱톡 문제를 계기로 일정 부분 신뢰 회복에 나섰지만, 무역전쟁의 근본적 해소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李대통령, 첫 세종 국무회의 “빨리 제 2 집무실 지어야겠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박나래 자택서 금품 훔친 절도범, 징역형에 항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하이닉스·삼전 더 사자"…외국인 '폭풍쇼핑'에 '들썩'[특징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세포막 투과 ‘휴그로’, 바이오플러스의 ‘바이오뷰티’ 핵심축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