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현대-LG 배터리 공장 단속 후폭풍…조지아주 "한국인 노동자 복귀 논의 중"
- 비자 제도 전면 개편 요구 확산

트립 톨리슨 조지아주 서배너 경제개발청장은 17일(현지시간)자 '서배너 모닝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인 노동자들이) 돌아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현대차 공장에 일하는 사람들은 장비를 설치하고 임직원들에게 배터리 셀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서배너 경제개발청은 엄밀히 말해 민간 조직이긴 하지만 조지아주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지역 경제 성장 촉진을 도모하는 기구다.
그러나 톨리슨 청장은 한국인 귀환 관련 구체적 추진 상황은 밝히지 않았다.
경제개발청 필립 라이너트 대변인도 "체포된 LG 직원들은 장비 설치와 지원, 직원 교육을 위해 미국을 임시로 방문한 사람들"이라며 "그들은 장비 설치와 전문적 지식을 갖춘 숙련된 기술자들"이라고 말했다.
이민국 단속 당시 테네시주 내슈빌에 있던 톨리슨 청장은 단속 규모에 놀랐으며 "단속에 대해 사전에 전혀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톨리슨 청장은 이어 "배터리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온 한국인들은 섬세한 재능을 갖춘 사람들"이라며 "그들이 겪은 실망감을 충분히 이해한다. 우리는 한국인들에게 의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톨리슨 청장은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과 함께 지난주 디트로이트에서 현대차 경영진과 만났다고 밝혔다. 톨리슨 청장은 "그들(현대차 경영진)은 매우 놀라고 충격받았다. 나와 팻 윌슨(경제장관)은 프로젝트 완공을 위해 현대를 돕겠다고 밝혔으며, 한국인들을 귀환시키기 위한 많은 논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톨리슨 청장은 "이번 사건은 작은 후퇴에 불과하다. 그들이 스케줄에 맞춰 이른 시일 내에 복귀할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300여 명의 구금 근로자와, 한국 국민들이 받은 충격이 큰 상황에서 비자 문제를 포함한 재발 방지책이 마련되기 전에 근로자들이 복귀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만만치 않다.
앞서 16일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미국의 비자 제도를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리비안 전기자동차 공장 착공식에서 "이번 사건은 현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국의 많은 기업이 똑같은 문제를 겪어왔다"며 "현장에서 실제로 무슨 일이 있는지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고 연설했다.
켐프 주지사의 이번 입장 발표는 지난 4일 이민 당국의 현대-LG 공장 부지 단속 이후 처음이다.
그는 "지난주 일어난 일에 대해 많은 외국 기업이 지켜보았고, 현장의 비자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며 "이번 사건이 외국 기업의 조지아 투자를 위축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크리스 클락 조지아주 상공회의소장도 같은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공장을 지으러 온 한국, 일본, 독일 노동자들을 위해, 미국 비자 제도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며 "그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조지아 노동자들에게 이득"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삼성, 반도체·바이오·AI서 6만명 채용…JY "직접 챙긴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혼외자 논란' 정우성 복귀한다 "질책 안고 갈 것"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삼성전자, 장중 '8만원' 터치…13개월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상법개정에 매각 줄줄이 좌초 우려…상장사 매물 든 PEF ‘고심’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지는 ‘ECM 스킨부스터’ 시장…호시절 끝나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