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국정자원 화재, “배터리 충전 용량 초과에 소방 점검 거부도"
- 배터리 분리시 잔량기준 30% 이하인데…“80% 때 작업”
"보안 이유로 소방 화재안전조사 거부"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는 ‘예견된 인재’(人災)였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배터리 이전 과정에서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지침을 어기고, 소방 당국의 화재안전조사도 제대로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8일 행정안전부와 국정자원 등에 따르면 이번 화재 원인 중 하나는 ‘배터리 충전 용량 초과’가 거론된다.
배터리 업계의 가이드라인을 보면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 배터리를 분리할 때에는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춰 작업하도록 하고 있다.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질의에서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에게 “국내 대표 배터리 업체 두 곳의 작업 가이드라인을 봤는데, 두 회사 모두 배터리를 분리할 때 충전 상태인 SOC(State of Charge)를 30% 이하로 낮춰서 작업한다고 돼 있다”며 “이런 사항을 보고 받은 바 있느냐”고 물었다.
이 원장은 “이번 화재 사고 이후 과정을 다시 짚어보고 직원들과 면담을 했는데, 배터리 SOC는 80% 정도 됐었다”고 말했다. 배터리 업체에서 규정하는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은 셈이다.
아울러 이번 화재 원인을 두고 안전관리 소홀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채현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작년 5월 국정자원에 대한 화재안전조사가 진행됐는데, ‘2~5층 각 전산실 및 보안구역 화재 안전조사 미시행’이라고 기재돼 있다”며 “소방의 화재 조사에 협조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당시 점검 과정에서 기기 오작동 등이 일어나 조금 불안한 상황이 있었다”면서도 “그렇게(소방 점검 거부를) 하지 않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배터리 내구연한 10년이 지난 사실을 뒤늦게 인지하거나 작업에 투입된 인력 규모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정황도 드러났다.
이 원장은 “배터리 수명이 초과됐다는 것을 안 것은 이번 화재 이후에 조사를 하면서 확인했다”며 “정기점검에서 리포트가 나온 것을 봤고, 이번에 확인을 해봤다”고 했다.
한편,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중 1등급 핵심 시스템 22개를 포함한 165개가 복구됐다.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정부 정보시스템 장애 13일째인 이날 낮 12시 기준 복구율은 25.5%다.
전날 늦게 문화체육관광부 내부 업무포털이 재개됐고, 이날 관세청의 업무지원 프로그램이 추가로 복구됐다.
정부는 지난달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647개 정부 정보시스템이 중단되자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복구작업을 벌이고 있다.
특히 화재로 전소된 7-1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 복구를 추진 중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바이오재팬 2025’ 개막…삼성·롯데 등 K바이오 ‘출격’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진태현, 갑상선암 수술 후 오열… “내년 마라톤 준비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강남도 아닌데 20억?…"지금 아니면 집 못 산다" 발칵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해킹 사태 속출…투자업계, 보안 스타트업 '큰 장' 기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스티팜, 올리고 치료제 상용화 훈풍 타고 ‘수주 잭팟’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