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직장인 만족 87% 워케이션 제도...한발 앞서 도입한 국내기업은 어디?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일(Work)과 휴가(Vacation)를 결합한 새로운 근무문화인 '워케이션'(휴가지 원격 근무)을 경험한 직장인들의 업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경제계 소통플랫폼 소플(Sople)을 통해 직장인 5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워케이션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86.8%가 만족했다고 답했다.
만족 요인으로 '심리적 회복'(68.7%·복수응답)과 '업무집중도 향상'(31.7%) 등 업무 관련 효과와 함께 '지역방문·소비경험'(22.2%)을 통한 지역경제 기여도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응답자의 85%는 '향후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기대효과로는 '워라밸 개선'(50.8%), '직원 복지·휴식 증진'(48.8%), '업무 효율 향상'(44.7%), '지역소비 및 경제 활성화'(24.1%), '지역과의 교류증가'(19.4%), '기업의 ESG목표(지역사회공헌) 달성'(17.0%) 등을 꼽았다.
워케이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업의 유연·비대면 근무 확대 및 제도적 뒷받침'(67.4%)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워케이션 인프라 개선 및 지역연계 프로그램 개선'(43.7%), '정부·지자체의 비용지원 프로그램'(37.5%) 등이 과제로 꼽혔다.
행정안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000여개 기업이 워케이션에 참여했으며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HD현대는 2023년 워케이션 제도를 처음 도입했다. 이후 연 200명이 넘는 임직원들이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또 중견기업 HLB(항암신약 연구개발)는 올해 4분기부터 기존 운영 중이던 스마트워크(원격근무) 제도를 워케이션으로 확대해 시범운영할 계획이다.
대한상의도 올해 4분기부터 워케이션을 도입한다. 특히 인구감소지역에서의 체류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대한상의는 임직원들이 직접 효과를 체감하고, 회원사와 사례를 공유해 도입 확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대한상의는 워케이션 확산을 위해 지난 9월부터 행정안전부,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전국 상공회의소 회원기업을 대상으로 워케이션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앞으로도 전국상의 및 회원기업을 대상으로 도입을 적극 홍보하는 등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프로그램 참여 기업과 임직원에게는 체류 지역 및 기간에 따라 한국관광공사에서 최대 10만원, 지자체에서 최대 30만 원의 지원금이 제공된다. 인구감소지역에서는‘디지털 관광주민증’을 통한 관광 바우처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참여신청은 대한상의 워케이션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운영기간은 올해 12월까지이다.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이번 워케이션 지원프로그램은 일하는 방식의 혁신과 지역 소비 활성화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협업 모델"이며 "워케이션 효과와 기업 모범사례, 운영 매뉴얼 등을 적극 전파해 앞으로 더 많은 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일본 톱10 제약사 4곳과 계약…日 시장 공략 가속”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단독] 백혈병 완치 후 비보…故정세협 마지막 무대 ‘개콘’서 공개, 새 코너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돈이 갈 곳이 없다… ‘에브리싱 랠리’의 끝은 어디인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조단위 몸값’ 케이조선 매각 예비입찰…이달 말 진행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바이오맥짚기] 우정바이오, HLB매각설에 한 때 상한가...바이오다인·툴젠도 급등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