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의치한약수’에 불어닥친 여풍 조짐...의대 새내기 10명 중 4명은 여학생
- 수의대는 여성 신입생 비율 '절반 이상'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의대 신입생 가운데 여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 증가 추세는 의대뿐 아니라 약대, 수의대, 치대 등 다른 의약학 계열에서도 뚜렷했다.
9일 종로학원이 대학정보공시 '대학알리미'(39개 의대, 정원 내 입학자 기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학년도 의대 신입생 중 여학생 비율은 38.4%로, 최근 5년간 계속 늘었다.
2021학년도 34.1%였던 여성 신입생 비율은 2022학년도 35.2%, 2023학년도 36.2%, 2024학년도 37.7%로 줄곧 상승했다. 이른바 '빅5 병원'을 둔 의대 5곳의 올해 여성 신입생 비율을 보면, 서울대 31.3%, 연세대 31.8%, 성균관대 31.2%, 가톨릭대 34.4%, 울산대 50%였다.
특히 울산대 의대의 여성 신입생 증가폭이 컸다. 4년 전인 2021학년도 당시 비율은 34.1%였다. 울산대는 물론 다른 지방권 의대도 여성 신입생 비율은 4년 전 33%에서 올해 39.8%로 대폭 증가했다. 이는 지역인재선발 확대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여성 신입생 비중 증가는 다른 의약학 계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2022학년도부터 학부로 전환된 약대는 당시 54.9%였던 여성 신입생 비율이 올해 58.1%로 뛰었다.
수의대는 4년 전 42.5%에서 올해 50.4%로, 여학생이 신입생 절반을 넘었다. 치대도 4년 전 33%에서 올해 38.1%로 여성 신입생 비중이 크게 늘었다.
다만 한의대는 올해 여성 신입생 비율이 43.6%로, 4년 전인 2021학년도(43.5%)와 유사했다.
종로학원은 "여학생의 의약학 계열 신입생 비율이 커지는 양상"이라며 "이는 학교 내신 관리를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타이트하게 하는 상황과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서울 주요 대학의 첨단학과와 반도체 등 대기업 계약학과의 여성 신입생 비율은 2023학년도 13.3%, 2024학년도 17.7%, 2025학년도 15.8%로 계속 낮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로학원은 "여학생 비율이 의약학 계열에서 높고, 반도체 등 계약학과에서 낮은 것은 여학생들의 과탐 과목에 대한 선호도와도 연관돼 있다"며 "여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물리를 기피하고 생명과학을 선호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영웅'의 '재현', 인천에서 사자가 먼저 포효했다 [준PO1]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단독] 백혈병 완치 후 비보…故정세협 마지막 무대 ‘개콘’서 공개, 새 코너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돈이 갈 곳이 없다… ‘에브리싱 랠리’의 끝은 어디인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호텔·뷰티 이어 부동산운용까지…M&A 보폭 넓히는 태광산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바이오맥짚기] 우정바이오, HLB매각설에 한 때 상한가...바이오다인·툴젠도 급등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