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가난할수록 더 뚱뚱하다”...병원 덜 찾는 저소득층, 건강 격차 ‘뚜렷’
- 서미화 의원실 "소득수준 높을수록 비만 발병률 낮아"
소득 수준에따른 진료 격차....건강 형평성 악화 우려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 의원이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비만 발병률은 낮았다. 2023년 기준 소득 하위 20%의 비만 발병률은 38%였고 상위 20%는 31%로, 양 계층 간 7%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비만의 대표 지표인 허리둘레 역시 저소득층의 기준 이상 비율이 고소득층보다 4.9% 높았다.
하지만 저소득층일수록 비만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인원은 적었다. 지난해 소득분위별 비만 진료 인원을 보면 1분위는 1243명, 10분위는 3425명으로 2.76배 차이가 났다. 1인당 진료비는 1분위는 135.6만원, 10분위는 93.7만원으로 1분위 국민 진료비가 10분위보다 1.45배에 달했다.
비만이 원인이 되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에서도 소득별 진료 격차가 컸다. 지난해 상·하위 10% 진료 인원은 고혈압 2.05배, 당뇨병 2.01배, 고지혈증 2.43배 차이를 보였다. 상·하위 20%로 비교해도 고혈압은 1.84배, 당뇨병 1.81배, 고지혈증 2.08배로 나타났다.
전체 비만 진료 인원은 감소세를 보이지만, 고령층에서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2020년 2만 5352명이던 전체 비만 진료 인원은 2024년 2만 672명으로 18% 줄었지만, 60세 이상 진료 인원은 같은 기간 1662명에서 1881명으로 13.2% 늘었다.
서 의원은 “성인병 진료 인원이 매년 증가하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 부담금과 개인부담금이 함께 늘고 있다”며 “소득 수준에 따라 진료 인원이 극명하게 차이 나는 것은 일부 계층이 경제적 이유로 치료를 포기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저소득층의 높은 비만 발병률을 낮추지 못하면 합병증으로 이어져 ‘가난이 더 큰 가난을 낳는’ 악순환이 발생할 것”이라며 “정부는 비용 때문에 진료를 미루는 계층을 찾아내고 비만 예방을 통해 사회적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EPL "토트넘 레전드 손흥민, 한국 A매치 최다 출전 축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민우, 예비신부 6세 딸 “가족 인정 안돼” 충격...합가 후 첫 위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희토류 통제에 뿔난 트럼프 “추가 100% 관세…핵심 SW수출통제도”(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정부 '40兆 벤처투자' 본격 시동…국민연금 출자, '제3 벤처붐' 이끄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5000명 희귀약에서 360만명 블록버스터로…에스티팜, 최대 수혜주 부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