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현역병 선택 의대생 역대 최다"…군의관 수급 '빨간불'
- 올해 8월까지 2838명…지난해 전체의 2배

13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이 병무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의대생 현역병 입영자는 총 2838명으로 집계됐다.
의대생 현역병 입영자는 2020년 150명에서 2021년 214명, 2022년 191명, 2023년 267명 수준이었으나, 의정 갈등이 시작된 지난해 1363명으로 급증했다.
올해는 8개월 만에 지난해 전체 의대생 현역병 입영자의 2배를 넘어섰다.
작년의 경우 의정 갈등으로 의대생들의 휴학과 수업 거부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현역병 입대를 선택하는 의대생이 급증했고, 이후에도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의대생 현역병 입영자는 육군이 1997명(70.4%)으로 가장 많았고, 공군 754명(26.6%), 해군 62명(2.2%), 해병대 25명(0.9%) 순이었다.
의대생들은 통상 의사 면허 취득 후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공보의)로 군 복무를 하지만, 병사에 대한 처우가 개선되고 복무기간도 단축되면서 현역병 입영 선호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군의관과 공보의 복무기간은 군사교육 기간을 포함해 37∼38개월이고, 현역병 복무기간은 육군·해병대 18개월, 해군 20개월, 공군 21개월 등으로 절반 수준이다.
현재 군의관 충원율은 정원 2475명 중 현원 2442명으로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나, 의대생 현역병 입영 급증에 따라 2029∼2030년에는 군의관 등 군 의료 인력 수급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황 의원은 지적했다.
황 의원은 "정부는 의정 갈등이 남긴 후유증을 정확히 진단하고, 군의관 수급 및 현장 의료 지원 부족 문제에 대한 실질적이고 선제적인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또 부슬비…방수포 깔린 라팍, 3차전 개시 가능할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선동열, 그가 돌아본 한일 야구 수교의 시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강남은 로또 돼도 부족"…17평 아파트도 '10억 시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SK인천석유화학·유암코…추석 후 회사채 발행 줄줄이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파트너 IPO 추진에 에이프릴바이오 12%↑[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