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한인 핀테크 스타트업 하프모어, 누적 35억 원 투자 유치…미국 전역 서비스 확대 박차
- 소프트뱅크 '딥코어' 리드 참여…소파이 공동창업자 등 글로벌 투자자 대거 합류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실리콘밸리 기반의 한인 핀테크 스타트업 하프모어(Halfmore, 대표 이주현)가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누적 35억 원(약 251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하프모어는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미국 내 서비스 지역을 대폭 확장하고 인공지능(AI) 기반의 가족 재무 관리 플랫폼 고도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하프모어는 기존에 초부유층에 한정되어 있던 자녀 자산관리 방식을 일반 가정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부모가 자녀를 가족 고용 구조에 등록해 근로소득을 발생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아동용 은퇴 계좌인 '커스토디얼 로스 IRA(Custodial Roth IRA)' 개설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특히 법률 및 세무 절차 전반을 AI로 자동화해 편의성을 높였다. 지난해 10월 서비스 출시 후 12개월 만에 약 700억 원 규모의 은퇴 자산을 창출하며 미국 내 '은퇴 위기'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평가다.
이번 투자에는 소프트뱅크 그룹 주식회사(SoftBank Group)의 자회사이자 AI 투자 전문 벤처캐피털인 딥코어(DEEPCORE)가 리드 투자자로 참여해 눈길을 끈다. AI 분야에 특화된 딥코어의 투자는 하프모어의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글로벌 투자업계가 인정한 결과로 풀이된다.
미국의 대표적인 소비자 금융 플랫폼 소파이(SoFi)의 공동창업자인 이안 브래디(Ian Brady)와 댄 맥클린(Dan Macklin)이 개인 자격으로 동시에 투자에 나선 것도 이례적이다. 이들은 어드바이저로도 합류해 하프모어의 전략적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제이엠 휴버 코퍼레이션(J.M. Huber Corporation) 전 회장 피터 프랜시스(Peter Francis), 글로벌 테크 기업 몰로코(Moloco) 공동창업자 박세혁 등이 새로 합류했다.
2년 내 미국 전역 51개 주 서비스 목표
하프모어는 현재 미국 14개 주에서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올해 안에 20개 주, 2년 내에는 미국 전역 51개 주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중 교육비 전용 저축 계좌 상품을 출시하고, 내년에는 아동 대상 투자 상품과 헬스케어, 교육비 결제를 연계한 서비스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자녀 양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지출을 통합 관리하는 '가정 지출 금융 운영체제' 구축을 목표로 다수의 핀테크 기업과 협업을 논의 중이며, 연내 공식 파트너십을 발표할 예정이다.
딥코어의 투자 담당 관계자는 “하프모어는 초기 단계에서 강력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아동 장기 금융 미래를 위한 기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투자 배경을 밝혔다.
이주현 하프모어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는 한인 창업팀이 미국 현지에서 만들어낸 성과와 가능성을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인정받은 의미 있는 계기”라며 “AI와 핀테크 기술을 접목해 모든 가정이 자녀 양육 과정의 재정적 고민을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Syntekabio Begins Full-Scale Operation of AI-Driven Asset Program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김제동 근황 공개 “나 무시하냐” 발끈..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 한화오션 美자회사 5곳 제재 발표…미중 갈등 ‘불똥’(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MBK 국감 소환에 'PEF 긴장'…정책 리스크, 새 변수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의료AI 다크호스]"업무 효율·수익 동시에 UP"…와이즈AI, 성장 날갯짓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