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한국 10대 그룹, '메이드 인 아메리카'로 이동… 8년 새 美 생산자산 627% 폭증
- 삼성·SK·LG·현대 4대 그룹이 95% 차지
2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트럼프 1기 행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말 대비 2024년 말 국내 10대 그룹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는 209조1608억원에서 490조783억원으로 8년 만에 281조5475억원(134.6%) 급증했다.
특히 2017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강도높은 투자유치 기조로 인해 미국이 중국, 베트남 등을 제치고 국내 기업의 최대 생산기지로 급부상했다.
국내 10대 그룹의 미국 내 생산법인 자산은 2016년 말 21조6957억원에서 2024년 말 157조7263억원으로 136조306억원(627%) 폭증했다.
같은 기간 중국 내 생산법인 자산은 91조7595억원에서 116조6073억원으로 증가하는 데 그쳐 1위 자리를 미국에 내줬다.
2016년 말 26조9316억원으로 중국에 이어 2위이던 베트남은 2024년 말 52조890억원을 기록해 3위로 내려앉았다.
2024년 말 미국 생산법인의 자산 규모가 가장 큰 그룹은 삼성으로 총 43조1685억원을 기록했다.
이어 SK(40조421억원), LG(38조8325억원), 현대자동차(28조4154억원) 순이었다.
이들 4대 그룹의 미국 생산법인 자산 규모는 10대 그룹 전체 합산액의 95.4%(150조4585억원)에 달했다.
조사 기간 미국 생산법인 자산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SK로, 증가액이 39조6098억원이었다.
SK는 블루오벌SK, SK배터리아메리카 등 배터리 합작·단독 공장 신설이 자산 증가로 이어졌다.
다음으로 많은 삼성의 증가액은 37조7904억원, LG가 35조9424억원, 현대자동차가 17조4953억원이었다.
삼성은 오스틴 반도체 법인의 자산이 22조원 넘게 늘었고, 배터리 합작사 스타플러스 에너지도 자산 증가를 이끌었다.
LG와 현대자동차도 배터리, 전기차 등의 생산라인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트럼프 美대통령 김해공항 도착…1박 2일 국빈 방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대전으로 돌아온 돌멩이, 한화 반격 이끌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선물 들고 방한하는 젠슨 황…"韓 기뻐할 발표 있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LBO 왜 쓰냐”…금감원 직격탄에 사모펀드들 긴장[마켓인]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구바이오제약, 바이오벤처 투자 '마이더스의 손' 등극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