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미국도 중국도 아니다…K-푸드 급성장한 의외의 '이곳'
올 들어 관세 여파로 미국에서는 K-푸드 수출 증가세가 주춤했지만, 중동에서 아이스크림과 음료 등의 수요가 크게 늘면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농식품(신선과 가공) 수출이 전달 기준 85억9000만달러(약 12조4000억원)로 작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올해 1∼10월 수출 증가율이 높은 권역은 중동(GCC, 20.4% 증가), 유럽(EU+영국, 14.8% 증가), 북미(13.9% 증가) 순이었다.
지난 7∼10월 미국 시장의 수출 성장세는 트럼프 관세 여파로 주춤(0.6% 증가)했으나 같은 기간 중동(23.5% 증가)과 중화권(중국·홍콩·대만, 7.7% 증가)에서는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중동에서는 아이스크림(80.7% 증가), 음료(80.3% 증가), 소스류(33.9% 증가) 수출이 급증했다. 중화권에서는 라면(62.9% 증가), 조제품 기타(19.4% 증가), 포도(122.7% 증가) 수출이 많이 늘었다.
7∼10월 수출액을 품목별로 보면 라면이 5억2천만달러로 21.7% 늘었다. 조제품 기타(건강기능식품 등)는 2억5천만달러로 13.6% 늘었으며, 커피 조제품은 1억3천만달러로 21.3% 증가했다.
라면 수출 증가율은 중국, 독립국가연합(CIS), 일본, 미국 순으로 높았다.
포도는 생산량이 늘면서 가격 경쟁력이 높아졌고 지난해 도입한 대만 수출용 포도 사전등록제 덕분에 대만 수출이 빠르게 증가했다.
아이스크림은 미국·캐나다·유럽을 중심으로 저지방·식물성 아이스크림의 수출이 증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아이 무시해주세요”… 아들맘 필수 구독 채널 ‘소히조이’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2/isp20251102000029.400.0.jpg)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BAE173 도하 “큰 불합리함”vs포켓돌 “불성실한 태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사업 2년 만 사옥 두 채” 김재중, 재산 1조설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미투자 때문일까, 주식 때문일까…환율 치솟는 이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국민연금 차기 이사장 1차 숏리스트에 이용우 전 의원 등 4인 선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4년 만에 다시 분할' 김경진호 삼양바이오팜, 무엇이 달라졌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