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루미다, ‘DMTS 2025’ 참가해 차세대 미디어 솔루션 참여형 키네틱 미디어 선봬
루미다(대표 박마리)가 DMTS 2025(디지털마케팅테크쇼 2025)에 참가해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차세대 미디어 솔루션을 선보였다.
일산 킨텍스에서 11월 5일~7일 진행된 금번 DMTS 2025는 ‘AI meets Emotion’을 주제로 열렸으며, AI·키네틱 미디어 기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문기업인 루미다는 AI와 키네틱(kinetic) 기술을 결합, ‘보는 광고’에서 ‘참여하는 미디어’로 전환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시하며‘기술이 감정을 이해하는 순간’이라는 루미다의 브랜드 철학을 구현한 현장이었다.
루미다가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 핵심은 모듈형 키네틱 미디어 ‘미니 큐브(Mini Cube)’였다. 이 작품은 LED 화면과 미러 구조를 결합한 24개 모듈이 각기 다른 리듬으로 움직이며 빛과 반사를 교차시키는 구조물이다. AI가 생성한 영상과 정밀한 모터 제어가 결합해 ‘감정의 리듬’을 시각화하며, 관람객의 시선과 움직임이 미러면에 투영되어 자신이 콘텐츠의 일부로 녹아드는 순간을 경험하게 한다.
루미다 박마리 대표는 이를 “기술이 인간의 감정을 반영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라고 표현했다. 루미다의 목표는 단순히 광고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반응을 감지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머무는 경험’을 만드는 것이다. 실제 전시장에서는 ‘예쁘다’, ‘신기하다’는 반응과 함께, 관람객들이 자발적으로 사진과 영상을 촬영해 SNS에 공유하는 모습이 다수 포착되었다.
루미다의 시스템은 기존 전광판이나 디지털 사이니지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일반 LED 전광판이 일방향으로 정보를 송출하는 구조라면, 루미다의 키네틱 미디어는 AI, 모션, 반사라는 세 가지 층위를 결합해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미디어 환경을 구성한다. AI는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고, 모션은 감정의 물리적 표현을 가능케 하며, 미러는 관람자를 콘텐츠의 일부로 참여시킨다. 결과적으로 공간 전체가 ‘정보를 전달하는 스크린’에서 ‘감정이 흐르는 플랫폼’으로 확장된다.
루미다는 이번 전시를 통해 ‘보는 미디어(Viewing Media)’와 ‘감정 반응형 미디어(Emotion-responsive Media)’의 차별화된 경험 구조를 명확히 보여줬다. 이 기술은 광고, 전시, 리테일, 호텔, 공항 등 다양한 상업 공간은 물론, 웨딩, 소규모 축제, 개인 행사 등에서도 응용 가능성이 높다. 특히 체류시간·참여도·UGC(사용자 생성 콘텐츠) 증가 같은 새로운 광고 효율 지표를 설계하여 후속 모델 개발에 반영할 예정이다.
루미다가 제시한 키네틱 미디어의 본질은 기술을 감정의 언어로 번역하는 시도에 있다. AI 영상, 조명, 반사, 물성의 결합은 단순한 장치의 조합이 아니라 ‘감정이 반응하는 미디어 생태계’를 구축하는 과정이다. 박마리 대표에 따르면 루미다의 모든 프로젝트는 ‘기술 중심’이 아니라 ‘감정 중심(Emotion-centric)’에서 출발하며, AI와 모션의 결합이 단순히 시각적 놀라움에 그치지 않고, 관람객의 감정이 움직이는 순간을 설계하고자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접근은 최근 산업계에서 주목받는 ‘피지컬 AI(Physical AI)’ 개념과도 맞닿아 있다는 점도 설명했다. AI가 공간과 사람의 물리적 관계 속에서 반응하고, 감정과 경험을 매개로 브랜드의 존재감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루미다는 이를 ‘감정 설계 기반 공간 브랜딩’으로 명명하며, 디지털 사이니지를 넘어 ‘감정이 움직이는 미디어 플랫폼’으로 진화시키고자 신사업 기획에 착수했다.
무엇보다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AI 기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서의 비전을 제시했다는 점도 눈에 띈다. 루미다는 현재 이지위드(EASYWITH)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미디어 장비 제작·운영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감정 반응형 콘텐츠 자동 생성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내년 초에는 체험자의 얼굴과 메시지에 실시간 반응하는 AI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공개하고, 전시·행사 운영 효율을 높이는 렌털 서비스를 함께 론칭한다. 이는 브랜드가 단순히 ‘콘텐츠를 송출’하는 단계를 넘어, ‘공간 속에서 감정적으로 기억되는 존재’로 진화하도록 돕는 모델이기도 하다.
또한 센서와 AI 알고리즘을 결합한 차세대 피지컬 AI형 미디어 구조를 개발 중이다. 관람객의 움직임, 거리, 사운드 등 특정 신호를 실시간 감지·연동하여, ‘Viewing Media’에서 ‘Responsive Media’로 발전한 새로운 체험 구조를 완성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루미다는 인간의 감각, 기술의 반응, 공간의 서사가 하나로 엮인 ‘감정 기반 미디어 아키텍처’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중이다.
박마리 대표는 “AI와 키네틱 기술, 감정 데이터의 융합을 통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며 “이번 전시는 루미다가 추구하는 ‘기술이 감정을 이해하는 순간’을 직접 보여주는 무대였다. 해외 바이어와 대기업 관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과 사업적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어 의미가 깊었다”고 전했다. 또한 “예술과 기술, 브랜드와 감정이 교차하는 지점을 확장하며 광고와 전시 산업에서 다음 시대의 브랜딩을 선도하는 파트너로 성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야구 찐팬' 이찬원, '최강야구'서 마이크 잡는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야구 찐팬' 이찬원, '최강야구'서 마이크 잡는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기업 김부장 고연봉에 청년 운다…'묻지마 정년연장' 미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농협 압박으로 답 나올까…“정부가 홈플러스 ‘인수유인’ 만들어야”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차상훈 에이프릴바이오 대표 "추가 기술이전 3건 더 기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