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재씨(55·사진)는 지난해 출고가 4338만원의 전기차 SM3ZE를 사기로 결심했습니다. 서울시 전기차 민간보급 사업에 지원해 3.39대 1의 경쟁률을 뚫는 데 성공했습니다. 1500만원의 정부 보조금과 서울시 지원금 500만원도 받을 수 있었죠. 기쁨도 잠시, 새로운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전기차를 받기 위해서는 고정형 충전기를 설치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아파트 입주민인 이씨에겐 쉽지 않은 일입니다. 아파트 주민 사이에서 “왜 전기차만을 위한 별도의 주차공간을 마련해야 하나” “충전기가 설치되면 전기료가 오를 것”이라는 불만이 나왔습니다. 이씨가 직접 주민대표자회의에 안건을 상정하고 회의를 열었습니다. 충전기는 700만원의 정부 보조금으로 설치하고, 철저하게 개별 검침해 이용료를 부가한다는 것을 설명했습니다. 긴 토론 끝에 겨우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었습니다. 이씨는 운이 좋은 경우입니다. 이런 난관을 극복하지 못하고 전기차 구입을 포기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충전기 포기각서를 쓰고 차를 구입해 대형마트나 공용주차장, 공공기관의 충전기를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국민의 절반 이상이 아파트 생활을 하는 나라입니다. 전기차 인프라 보급을 위한 정부의 역할이 절실합니다. 매일 40km 거리를 출퇴근하는 이씨의 한달 전기차 충전료는 약 3만원입니다.
- 사진·글 김현동 기자 kim.hd@joins.com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에스티팜, CPHI서 올리고 CDMO 집중 홍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단독] ‘보플2’ 최립우, 12월 첫 솔로곡 발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삼성, 엔비디아에 HBM4 공급…업계 최대 'AI 팩토리' 구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회삿돈으로 샴페인에 에펠탑 관광”…과기공 산하 VC 해외출장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펩트론, 파트너사 LG화학 업고 안정적 현금창출원 확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