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스닥 소신(小辛)기업 | 마크로젠 서정선 회장] 국내 바이오 시장 개척한 1세대 벤처

[코스닥 소신(小辛)기업 | 마크로젠 서정선 회장] 국내 바이오 시장 개척한 1세대 벤처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빅데이터 사업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1997년 설립된 마크로젠은 2000년 2월 국내 최초로 코스닥에 상장한 바이오 벤처기업이다. 최근 우리나라 증권 시장에서 위세를 떨치고 있는 바이오 업종의 태동기를 이끈 1세대 벤처다. 마크로젠이 코스닥에 등장했을 당시 시장의 반응은 뜨거웠다. 공모가 9000원으로 시작한 마크로젠의 주가는 한때 18만원대를 기록할 만큼 주목받으며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일시적 거품은 곧 걷혔지만 기업의 성장은 꾸준히 이어졌다. 코스닥 상장 이후 15년여가 지난 지금 마크로젠의 위상은 한층 탄탄해졌다. 2011년 323억원이던 매출은 최근 3년간 441억원(2012년)→481억원(2013년)→541억원(2014년)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전 세계 120여개국에서 연구계·산업계 1만7000여곳을 고객사로 둘 만큼 해외 사업이 순조롭다. 창업자인 서정선(63) 회장은 “수차례 위기를 겪었지만 오직 지속 가능한 사업에 초점을 두면서 회사가 성장할 수 있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작지만 매운 소신(小辛) 기업을 만든다는 것이 그의 소신(所信)이다.
 값싸고 우수한 유전자 분석 서비스
바이오 업종에서 서 회장이 보는 지속가능한 사업이란 유전자 특성에 따라 치료법을 모색하는 ‘맞춤형 의료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다. 기업인이기 이전에 의사(서울대 의대 교수로 재직)인 서 회장은 1980년대에 이미 고령화 사회의 심화와 그에 따른 의료 시장의 변화를 내다봤다. 다만, 창업 초기 맞춤형 의료 시장은 생각보다 훨씬 더디게 열렸다. 애초 마크로젠의 주력 제품은 마우스(의학 실험용 생쥐)였다. 마크로젠이 설립된 1990년대 중 후반 무렵에는 각종 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특정 유전자를 조작한 마우스의 수요가 의학계에서 늘어난 상태였다.

그러나 이내 치료제 개발 시장이 정체되면서 사업도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마우스를 통한 연매출이 평균 10억~20억원에 그칠 만큼 사업이 정체됐다. 때마침 찾아온 외환위기 한파는 사업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투자자들은 냉정했다. 마크로젠 지분을 정리하고 나섰다. “하루하루를 버티기가 힘들었습니다. 살아남으려면 전략을 조금 수정해야 했습니다.”

맞춤형 의료 시장 개척이라는 대전제는 변함이 없었지만, 주력 제품을 바꿀 필요성이 있었다. 그렇게 찾아낸 해법이 값싸고 우수한 유전자 분석 서비스의 제공이었다. 이미 주요 선진국 연구계를 중심으로 형성된 시장에서 사업을 크게 키우려면 가격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서 회장은 판단했다. 그렇게 2002년 마크로젠이 선보인 5달러짜리 유전자 분석 서비스는 전 세계 연구계의 화제가 됐다. “5달러에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내용의 광고를 영국 학술지 네이처에 처음 실었을 때 연구자들은 말도 안 된다’는 반응을 보였어요. 그 가격에 가능한 일이냐는 거죠.” 그도 그럴 것이 당시 경쟁사들은 15~20달러에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마크로젠은 이런 우려를 잠재우면서 성공적으로 초저가 유전자 분석 서비스 시대를 열었다. 5달러면 충분했다. 많은 비용을 차지하는 유전자 분석 시약의 양은 줄이되, 데이터의 정확성은 키워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1990년대부터 시작됐던 인간 게놈(유전체) 프로젝트가 2000년 미국을 중심으로 그 초안이 만들어지고, 2003년 인간 게놈 지도의 완성으로 결실을 맺으면서 때마침 마크로젠 사업도 탄력을 받았다. 2001년 한국인 게놈 지도의 초안을 발표하는 등 연구 성과를 내는 한편, 코스닥 상장으로 확보한 자금으로 대당 3억원가량의 유전자 분석 장비 20대를 구매하는 등 미래를 위해 아낌없이 투자했다. 지금은 전체 매출의 85~90%를 유전자 분석 사업으로 거둘 만큼 성공한 투자가 됐다.

현재까지 미국 등 세계 각국에서 1만4000여명에 달하는 연구자들이 마크로젠의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이용했다. 크고 작은 글로벌 제약사부터 학계와 연구계에 이르기까지 고객층은 광범위하다. 마크로젠은 최근 들어 고객층을 병원이나 일반인으로까지 넓히고 있다. 서 회장은 “병원에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클리니컬 시퀀싱(Clinical Sequencing) 시장은 아직 완전히 열리지 않았지만 성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빅데이터 사업에도 주목한다”고 덧붙였다.

“질병에 걸리지 않은 건강한 사람들에게 예방 차원에서 (이들의) 유전자 정보를 알려주는 맞춤형 의료 시장이 점차 커질 겁니다. 연구자들 위주였던 고객층을 일반인에게로 확대하려는 배경이죠. 현재 마크로젠이 보유한 유전자 정보량은 총 9000 테라바이트(TB)에 이를 만큼 방대합니다. 20년 동안 축적한, 마크로젠이 가진 최고의 자산인 셈이죠.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포기하지는 않겠지만 궁극적으로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모든 일반인들을 위한 정보회사로서 성장하려 합니다.”
 2~3년 안에 연매출 1000억 달성 목표
서 회장은 마크로젠의 올해 매출이 6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각 자회사와 해외 법인 등이 달성할 매출을 합하면 750억~800억원가량 될 전망이다. 서 회장은 “2~3년 안에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하는 것이 목표”라며 “갈수록 레드오션이 되고 있는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사업 규모를 키우는 데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에서 쌓아온 기술력과 사업 노하우로 40억명에 달하는 아시아인의 특성에 맞는 콘텐트 생산·공급에 나서겠다는 야심찬 포부다.

인터뷰 말미에는 최근 코스닥 시장에서 거세게 불고 있는 이른바 ‘바이오주 거품 논란’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바이오 업종에 속한 상장기업들 중 매출은 미미한데도 주가가 크게 오른 경우가 많아 개인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는 것이 비관론자들의 시각이다. 이에 대해 서 회장은 “바이오는 대세이자 방향”이라며 “단기 투자할 것이 아니라면 바이오주는 결국 ‘갈 수밖에’ 없고,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고 전했다.

“거품이란 시장의 기대감이 과하거나, 건강하지 못한 특정 세력이 있을 때 발생한다고 봅니다. 하지만 마크로젠의 경우 계속 가시적인 실적이나 성과를 보여주고 있고 다른 기업도 좋은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바이오는 정보기술(IT)과는 특성이 전혀 다른 업종입니다. 당장에 성과가 안 나타나더라도 참으면서 길게 보고 사업을 키워야 하니까요. 최소 10년 이상 연구개발에 꾸준히 투자해야 결실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을 믿고 계속 밀어주는 투자자들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이창균 기자 lee.changkyun@joins.com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 별세

2남양유업, 60년 ‘오너 시대’ 끝...한앤코 본격 경영

3하나은행, 은행권 최초 홍콩 H지수 ELS 자율배상금 지급

4행안부 “전국 18개 투·개표소 불법카메라 의심 장치 발견”

5 "전국 18곳 사전투표소 등지서 '몰카' 의심 장치 발견"

6토스뱅크, 2개 분기 연속 흑자 달성…‘1000만 고객’ 목전

7전동화 시대에도 인정받는 볼보...EX30, ‘세계 올해의 도심형 자동차’ 선정

8‘따뜻한 자본주의’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14년 연속 배당금 전액 기부

9‘바람의나라’부터 ‘데이브’까지 30주년 맞은 넥슨…그간 기록들 살펴보니

실시간 뉴스

1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 별세

2남양유업, 60년 ‘오너 시대’ 끝...한앤코 본격 경영

3하나은행, 은행권 최초 홍콩 H지수 ELS 자율배상금 지급

4행안부 “전국 18개 투·개표소 불법카메라 의심 장치 발견”

5 "전국 18곳 사전투표소 등지서 '몰카' 의심 장치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