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Report
금융 사기 불법 리딩방이 1위...평균 피해 금액 2141만원 [체크리포트]
- 금융 사기 노출 경로 70%가 문자·카카오톡

22일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이 만 18~69세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년간 2명 중 1명꼴(48%)로 금융사기에 노출됐다고 응답했다. 실제 금전적 피해를 본 사람의 비율은 3.3%로 낮았지만, 평균 피해금액은 2141만원으로 나타났다. 금전적 피해를 본 사람의 54.5%도 피해금액을 전혀 회수하지 못했다.
금융사기 유형으로는 ‘불법 유사투자자문업’이 24.5%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정부 지원 빙자 사기’(18.8%), ‘범죄 연루 연락’과 ‘구매하지 않은 물건의 대금 결제 요청’(각각 14.1%) 순으로 나타났다. 노출 경로는 ‘문자‧카카오톡’이 70.4%로 압도적이었다.
금융사기에 노출돼 피해를 본 세대는 대부분 중장년층이었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3963만원으로 가장 피해금액이 컸다. 다음으로 50대(2475만원), 60대(1841만원), 30대(1775만원), 20대(1295만원) 순이었다. ‘문자‧카카오톡’으로 금융사기에 노출된 비율도 50대(79.3%)와 60대(78.5%)가 20대(60.5%)와 30대(60.4%)보다 높았다.
그러나 지난 3년간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교육이나 정보를 접해 본 적 없거나 1회에 그친 경우가 전체의 94.2%를 차지했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금융사기는 비대면 채널로 이뤄지고 있으며 금융사기로 경제적 피해는 물론 자신감 하락 등 심리적 어려움도 크다”면서 “금융사기 예방교육과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홍다원 기자 daon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아이 무시해주세요”… 아들맘 필수 구독 채널 ‘소히조이’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2/isp20251102000029.400.0.jpg)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정부 ‘헐값매각’ 논란에…李대통령, 정부자산 매각 전면 중단 지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택시 기사에게 성폭행 당해"…유튜버 눈물 고백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사상 첫 '4200피' 달성…'60만닉스'가 이끌었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2조 규모 연구단지 설립하는 종근당…회사채 발행한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노보' 인수전 참전에 디앤디파마텍 '신고가'...와이바이오·지니너스도 급등[바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