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17

국민연금 고갈 되는데…매월 따박 따박 받는 ‘이 보험’은 [보험톡톡]

보험

우리는 살면서 대부분 보험 하나쯤은 가입합니다. 하지만 내가 가입한 보험이 내게 왜 필요한지, 어떤 보장을 담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은 드뭅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막연히 어렵다는 인식 때문에 알고 싶지 않은 것 아닐까요. 어려운 보험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접근하기 위해 다양한 보험업계 소식 및 재테크 정보를 ‘라이트’하게 전달합니다. 국민연금 고갈이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는 가운데, 사적 보험이 사회 보장의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는 지난 11일 열린 제7차 보험개혁회의에서 사망한 뒤 유족에게 지급되는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을 가입자가 살아있을 때 연금 형태로 매달 받아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확정한 것이다. 이르면 올해 9월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현재 종신보험은 가입자가 사망한 이후 자녀 등 가입자가 미리 지정한 사람만 받을 수 있다. 만약 노후 생활이 어려워 본인이 낸 보험금을 쓰려면, 보험을 해지해야 하는 데 이 경우 사망보험금의 약 60% 정도를 잃게 된다. 앞으로 종신보험 가입자는 이 같은 손해 없이 일정 비율만큼 연금과 사망보험금으로 나눠 받을 수 있게 된다.현재 우리나라 국민은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이른바 ‘3층 연금’에 가입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에도 국민들은 노후 보장에 대한 불안감이 큰 현실이다. 노후보장 불안감...저축 및 투자 수요 위해 종신보험 가입실제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은퇴한 가구의 월 최소 생활비(2인 기준)는 240만원, 적정 생활비는 월 336만원이다. 그런데 생활비에 ‘여유 있다’는 답한 비율은 10.5%에 불과하고, 절반이 넘는 57%는 ‘부족하다’는 답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부는 과거 사망 후 자식을 위해 가입했던 종신보험 사망보험금을 연금으로 활용해 노후에 보태는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이에 생보사들의 종신보험 신상품 개발도 증가 추세다. 이는 종신연금의 사망보장 기능에 노후소득보장 기능을 혼합하거나 저축기능을 혼합함으로써 기대수명 증가와 저금리 환경에 따른 소비자의 보장 니즈 변화로 풀이된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우리나라 생보하슫ㄹ의 종신보험 신상품 출시 현황을 살펴보면 2010년 34개에 불과하던 신상품 수가 2015년 118개까지 증가하고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9년 101개를 기록했다. 2015년부터 종신보험 신산품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다른 종목에 비해 보험료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이유는 2015년을 전후로 저축성보험에 대한 수수료 압박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종신보험의 경우 전반적인 사망률 개선, 1~2인 가구의 증가, 맞벌이를 통한 소득원 다변화 등의 요인은 종신보험에 대한 니즈를 약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보험사는 종신보험 시장 확대를 위해 노후소득 및 저축기능을 추가한 신상품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그러나 이 과정에서 소비자에 대한 설명 불충분, 무해지·저해지의 경우 조기해지 시 피해발생 가능성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면서 금융당국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종신보험에 대한 소비자 보호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생보사는 수익성 제고와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 공급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단 지적이 나온다. 사망보장 수요, 노후건강 수요, 노후소득 수요, 저축 및 투자 수요 등 다양한 소비자 요구를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상품군을 제공해야한다는 조언이다. 업계 관계자는 “생보사들의 종신보험 시장 확대 전략은 다양한 신상품 공급을 통해 이뤄졌으나 신상품의 복잡성 확대는 소비자 보호에 대한 우려를 야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생보사는 이미 사망보험, 건강보험, 연금보험, 저축보험, 변액보험 등 다양한 소비자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상품군을 보유하기 때문에 소수의 상품군에 다양한 보장을 추가하기보다는 다양한 상품을 제공해 소비자가 니즈에 맞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25.03.15 07:00

3분 소요

산업 일반

우리나라의 평균부채는 40대와 자영업자 가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당 평균부채는 가구주가 40대인 가구에서 1억3148만원, 자영업자인 가구는 1억202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가계금융복지조사는 통계청이 금융감독원 및 한국은행과 공동으로 전국의 2만여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자산과 부채, 소득, 지출, 원리금 상환액 등이 대상이다. 부채를 보유한 가구비율은 60.7%로 전년대비 1.4% 감소했지만 평균은 1억5043만원으로 같은 기간 1.6% 늘었다. 금융부채 중 담보대출은 3.9% 증가한 반면, 신용대출은 3.8% 줄었다.가구주 연령대별로는 40대가 1억3148만원으로 가장 많고, 50대, 39세 이하가 뒤를 이었다.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임대보증금 비중도 높아져 60세 이상인 가구는 38.7%, 39세 이하인 가구는 11.9%로 나타났다.가구주 종사상지위별로는 자영업자 가구의 평균 부채가 1억202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 중 임대보증금 비중은 19.8%로 종사자별(상용근로자, 임시 일용근로자, 자영업자, 기타(무직 등)) 중에선 가장 낮은 구성비를 보였다.한국은행은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7.2%가 지난 1년간 원금상환 또는 이자지급의 납부기일을 경과한 적이 있었고, 지난해와 비교해서는 유사한 수치라고 밝혔다. 납부기일을 경과한 이유로는 '소득 감소'가 27.5%로 가장 많았고, '이자 또는 원금 상환 부담 상승'이 27.3%, '자금융통 차질' 23.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2024.12.09 13:38

1분 소요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공표 연기…오류 발견

정책이슈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공표 당일 자료에서 중대한 오류가 발견돼 보도 및 공표가 미뤄지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통계청은 5일 기자단에 보낸 문자에서 "금일 보도 예정인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보도자료 중 수치 오류로 인해 보도 계획을 변경한다"고 밝혔다.가계금융복지조사는 가계의 자산, 부채, 소득, 지출 등을 통해 재무 건전성을 파악하고, 경제적 삶의 수준 및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다.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공동으로 작성하는 '소득분배지표 공식 통계'이기도 하다.통계청은 당초 이날 8시30분 기자단에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자료를 배포하고 오전 10시 브리핑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보도 및 공표 시점은 낮 12시였다.그러나 이후 배포된 자료에서 빠른 수정이 어려운 중대한 오류가 발견됐고, 예정된 브리핑과 자료 배포 시점은 연기됐다.통계청 관계자는 "분배 지표 쪽에서 수치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단순 오탈자 수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전부 다시 뽑아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3개 기관이 공동으로 작성하는 연간 지표에서 공표 당일 오류가 발견돼 일정이 연기된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정부 공식 소득분배지표의 발표가 미뤄지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연구 및 부가 조사 계획도 차질을 빚게 됐다.통계청에 대한 국민 신뢰도 저하도 불가피해 보인다.통계청 관계자는 "발견된 오류를 수정하고 최대한 신속히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2024.12.05 10:39

1분 소요
“집값 떨어뜨린 부동산 안정화 정책, 사실상 1기 신도시 개발 뿐

부동산 일반

“‘사전청약’ 제도는 집값 안정화 정책이 맞습니다”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폐지한다고 밝힌 사전청약 제도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는 “역대 대부분의 정부가 펴온 정책을 보면 집값 안정화를 위해 내놓은 제도는 주택 가격의 점진적인 우상향, 혹은 현상 유지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런 측면에서 집값 하락에 영향을 주지 못했던 사전청약 제도도 집값 안정화 정책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실제 문재인 정권은 26번의 부동산 안정화 정책을 내놨는데, 임기 내내 집값이 올랐다. 2021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2003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서울시 22개 단지의 6만3000여 가구 시세를 정권별로 비교·분석한 결과를 보면 문재인 정부 출범 후 2020년까지 서울 전용 82.5㎡(25평) 아파트값은 6억6000만원에서 11억9000만원으로 약 82%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문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인 2019년 11월 “부동산 정책은 자신 있다”, 2020년 1월에는 “투기와의 전쟁에서 지지 않을 것”, “급등한 집값을 되돌려 놓겠다”고 했지만, 이듬해 “부동산만큼은 정부가 할 말이 없는 그런 상황”이라고 사과의 표현을 해야 했다.건설업계 관계자는 “노태우 정부에서 거의 유일하게 집값 떨어뜨리기 정책이 성공했는데, 1기 신도시 개발로 분당‧일산 등에 30만 호를 공급한 게 주효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후 정부에서 부동산 안정화를 외쳤지만, IMF 사태나 리먼브라더스 사태를 제외하면 사실상 집값은 계속 올랐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일각에서는 정부가 집값 상승보다 하락에 민감하다고 지적한다. 우리 국민 자산의 상당 부분이 부동산에 묶여있는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면 가계는 물론 국가 경제 위기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지난해 12월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2023년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272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3.7% 감소한 수준인데, 2012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평균 자산 감소의 주된 원인은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나타났다. 가계가 보유한 자산 중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6.1%에 달하는데, 주택자산이 10% 감소하면서 전체 평균 자산이 쪼그라든 것이다.문제는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는 점이다. 50~59세의 실물자산 비중은 75.7%인데, 60세 이상은 82%를 실물자산으로 보유했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고령자들의 노후 문제도 심각해질 수 있다는 뜻이다.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공급 과잉으로 주택 가격이 하락한 이후 박근혜 정부가 주택 시장 정상화 정책을 편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평가다. 박근혜 정부는 경기 회복을 위해 각종 규제를 완화했다. 서민 주거 안정 정책을 포함해 대출 규제 문턱을 대폭 낮추면서 ‘빚내서 집 사라는 부동산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당시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초이노믹스’로 불리는 경기 부양책으로 전 금융권에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70%로 일괄 적용했다. 예를 들어 LTV가 70%면 10억원짜리 아파트를 구매하려는 개인이 빌릴 수 있는 주택담보대출액은 최대 7억원이라는 뜻이다. 현재 규제 지역의 경우 무주택자는 LTV 50%, 다주택자는 30%로 제약을 받는 것과 비교하면 얼마나 파격적인 조건인지 짐작할 수 있다. 믿을 곳은 서울 ‘똘똘한 한 채’정부의 부동산 안정(정상)화 정책이 상황에 따라 수시로 바뀌고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는 강화하면서 주택시장의 매수세는 ‘똘똘한 한 채’로 집중되고 있다. 소득 증가, 대형 아파트 공급 부족, 교통과 직주근접 등 이점을 지닌 서울 강남 등 초고가 아파트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다. 주택 가격 상승기에는 매매 시장을 선도하고 하락기에도 상대적으로 타격을 덜 받는다는 것도 똘똘한 한 채의 특징이다.지난해 7월 한국은행이 ‘거시건전성 정책이 우리나라 가구의 부채 및 자산 불평등에 미친 영향’ 보고서를 보면 2017년부터 시행한 부동산 조정대상지역에 대한 LTV, DTI 규제 강화가 가계부채를 잡는 데는 효과가 있었지만, 해당 지역의 주택자산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정대상지역에 대출 규제를 강화했음에도 주택자산은 9.3% 증가했다는 것이다. 대출 규제가 강화됐던 부동산 조정대상지역 대부분이 서울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부동산 매수세는 서울로 몰렸다는 뜻으로 풀이된다.지난달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등) 가격이 0.05% 내린 가운데서도 서울(0.00%→0.09%)은 보합에서 상승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안에서도 성동구(0.25%), 용산구(0.22%), 마포구(0.21%), 광진구(0.13%), 서초구(0.2%), 송파구(0.2%)가 상승세를 보였다.

2024.05.24 14:00

4분 소요
맞춤형 주거시설로 떠오른 ‘하이엔드 시니어 레지던스’ VL르웨스트

분양

풍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구매력을 갖추고, 자신을 위한 소비를 아끼지 않는 A세대가 등장하면서 하이엔드 시니어 레지던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차별화된 상품성을 바탕으로 풍요로운 일상을 누리고 싶은 A세대의 니즈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A세대는 Ageless(늙지 않는), Accomplished(성취한), Alive(생동감 있는) 등 영어 단어의 앞자리를 따온 단어로 풍부한 경제력 갖춰 노후에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액티브 시니어’를 말한다.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50대 이상 A세대의 순자산액은 4억 9184만원으로 39세 이하 MZ세대의 순자산 2억 3678만원 대비 두 배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최근 고급화를 통해 차별화된 상품성을 갖춘 하이엔드 시니어 레지던스에는 많은 수요자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가령, 롯데건설이 서울 마곡 마이스 복합단지에 공급 중인 ‘VL 르웨스트’는 호텔식 다이닝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호텔식 다이닝’ 서비스에는 전문 호텔 셰프를 통해 입주민들의 건강 상태에 맞춰 제철 건강식을 포함해 고혈압 ∙ 골다공증 ∙ 저염식 등 각종 치료식이 제공될 예정이며, 모임 및 연회를 위한 프리미엄 외식형 메뉴도 준비 중에 있다. 이외에도 예약 대행, 비즈니스 업무지원, 우편물관리와 ‘호텔식 컨시어지 서비스’, 세대 내 각종 청소가 가능(주 2회)한 ‘하우스키핑 서비스’, 각종 문의 및 요청을 하나의 창구에서 처리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가 제공된다.아울러 ‘보바스기념병원 건강관리센터’를 통해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를 제공할 방침이며, 이화의료원과의 협약으로 단지 인근 ‘이대 서울병원’에 마련된 입주민 전용창구를 활용해 즉각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세대 내부에서도 다양한 헬스케어 시스템이 적용된다.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입주민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상황에 따른 건강 케어를 받을 수 있고, 비상콜 시스템을 도입해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날씨와 상관없이 골프연습을 할 수 있는 실내 골프연습장과 GX룸, 필라테스 룸, 일상의 피로를 회복할 수 있는 스파 및 사우나 시설도 확보했다. 이외에도 독서 공간과 각종 영상 시청이 가능한 AV룸, 이웃과 소소한 담소를 나눌 수 있는 살롱드 VL이 마련된다.한편, 막바지 계약이 진행 중인 ‘VL 르웨스트’는 서울 강서구 마곡도시개발사업지구 내 CP3-1일원에 들어선다. 지하 6층~지상 15층 4개동, 전용 51㎡~149㎡ 총 810가구 규모로 조성된다.현재 최초 입주자에게 10년간 임대 보증금 동결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계약금 1천만원 정액제, 계약금 10%에 대한 금리 5% 지원, 중도금 50% 무이자 제공으로 수요자의 부담을 한층 덜었다. 견본주택은 서울시 양천구 목동 일원에 마련돼 있다.

2024.02.21 09:00

2분 소요
가구 5곳 중 1곳 ‘억대 소득’…소득 불평등 줄었나

산업 일반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득이 증가하고 소득분배 지표(지니계수)는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1억원을 웃도는 가구 비중은 처음으로 20%선까지 높아졌다.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은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소득-지출 지표는 2022년 연간 기준으로, 2021년과 비교·작성됐다.2022년 한해 ‘가구소득’은 평균 6762만원으로 조사됐다. 2021년(6470만원)과 비교해 4.5% 증가한 규모다. 중앙값에 해당하는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5.2% 증가한 5362만원이었다.세부 내용을 보면 근로소득이 4390만원으로 6.4% 증가했다. 사업소득은 4.0% 늘어난 1206만원, 재산소득은 2.5% 증가한 436만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코로나 지원금 감소로 공적이전소득은 656만원에서 625만원으로 4.8% 줄었다.구간별로 가구소득은 1000만∼3000만원 미만이 21.6%로 가장 많았고 ▲1억원 이상 20.0% ▲3000만∼50000만원 19.8% ▲7000만∼1억원 17.0% ▲5000만∼7000만원 16.4% 순이었다.특히 1억원 이상 가구비중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20% 선을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50대와 40대인 가구에서 소득 1억원 이상이 각각 30.5%와 27.9%로 비중이 가장 컸다.종사상지위 별로는 상용근로자 가구에서 1억원 이상 비율이 29.8%에 달했다. 소득이 가장 많은 5분위 가구의 평균소득은 1억5598만원으로 3.8% 증가했다. 저소득층인 1분위 가구 소득은 1405만원으로 4.3% 늘었다.소득 1분위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이 전체소득의 절반에 가까운 43.5%(611만원)를 차지한 반면 근로소득은 28.0%(394만원)에 그쳤다. 고소득층인 5분위 가구에서는 근로소득이 70.6%를 차지했다.소득 5분위이면서도 순자산은 적은 자산 1∼2분위 가구의 비율은 6.9%로 전년(7.3%) 대비 0.4%포인트(p) 하락했다. 정반대로 소득 1분위로 소득은 적지만 자산이 많은 4∼5분위 가구는 13.0%로 0.5%p 증가했다.소득 불평등 지표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인 지니계수(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는 지난해 0.324로 전년보다 0.005p 하락했다.이는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지니계수는 2011년 0.388에서 2012년(0.385), 2013년(0.372), 2014년(0.363), 2015년(0.352), 2016년(0.355) 2017년(0.354), 2018년(0.345), 2019년(0.339), 2020년(0.331), 2021년(0.329) 등으로 완만히 낮아지는 흐름이다.지니계수는 0이면 완전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의미한다.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도 전년의 5.83배에서 지난해 5.76배로 하락했다.상위 20% 소득이 하위 20%의 5.76배라는 의미로, 2년 만에 개선된 것이다. 5분위 배율은 커질수록 소득 격차가 심화, 작을수록 완화했다고 풀이된다.다만 부문별로는 엇갈린 양상이다. 일하는 연령대의 지니계수는 0.303으로 0.007p 감소했지만, 은퇴연령층의 지니계수는 0.383으로 0.005p 증가했다.중위소득 50% 이하에 해당하는 인구의 비율인 상대적 빈곤율도 나빠졌다. 지난해 상대적 빈곤율은 14.9%로 전년보다 0.1%p 증가했고, 은퇴 연령층은 39.7%로 0.4%p 높아졌다.

2023.12.07 20:09

3분 소요
집값 하락에 가구당 자산 감소했다…평균 5억2727만원

부동산 일반

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로 집값이 하락하자 가구 평균 자산이 2000만원 넘게 줄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2727만원으로 1년 전보다 3.7% 감소했다.가계 자산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2년 통계 작성 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거주 주택 자산이 10% 줄면서 전체 자산 보유액이 축소됐다. 주택 가격 전망이 나빠지면서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가구주 비율도 줄었다.가구당 평균 부채는 9186만원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부채 역시 통계 작성 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조사 결과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2045만원(3.7%) 감소한 5억2727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354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줄었다.가구의 자산 보유액 감소는 집값 하락 영향이 컸다. 금융자산은 1억2587만원으로 3.8% 증가했다. 하지만 실물자산은 4억140만원으로 5.9% 감소했다. 특히 부동산 중 거주 주택이 10.0% 감소했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브리핑에서 “통계 작성 후 처음으로 자산이 감소했다”며 “2021∼2022년 높은 자산 증가율에 따른 기저요인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이 23.9%, 실물자산이 76.1%를 차지해 금융자산 구성비가 전년 대비 1.7%포인트(p) 늘어났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452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5억6122만원), 60대 이상(5억4836만원), 39세 이하(3억3615만원) 등의 순이었다.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가구주 종사상지위별로 보면, 자영업자 가구 자산이 6억643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근로자(5억6907만원), 무직 등 기타(4억6278만원), 임시·일용근로자(2억3152만원) 등으로 집계됐다.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1억7458만원으로, 1분위 가구(1억7287만원)의 6.8배였다. 순자산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5억6085만원으로, 순자산 1분위 가구(3956만원)의 39배에 달했다.

2023.12.07 19:26

2분 소요
“지역 격차 이 정도였나”…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 비수도권의 1.7배

은행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가구의 평균 자산이 비수도권보다 70% 가까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30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의뢰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수도권 가구의 평균 자산은 6억9246만원으로 비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 4억935만원보다 69.2% 많았다.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구의 자산 격차는 점점 커지는 추세다. 2018년에는 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5억465만원)이 비수도권(3억4220만원)보다 47.5% 많았다. 이후 2019년 53.6%, 2020년 59.6%, 2021년 65.6%, 지난해 69.2%로 점차 격차가 벌어졌다.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른 것이 자산 격차가 확대된 주된 요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전국 가구 총자산 중 수도권 가구 총자산의 비율인 수도권 집중도는 2018년 57.8%에서 2019년 58.7%, 2020년 60.2%, 2021년 61.2%, 지난해 61.8% 등으로 높아졌다. 지난해 기준 전국 총자산의 약 62%를 수도권 가구가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다.다만 자산에는 부채가 포함돼 있고, 가계금융복지조사는 가계의 경제적 삶의 수준을 미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전국 2만여 가구를 표본 조사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 수치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수도권 가구의 평균 경상소득(근로소득 등 비교적 정기적이고 예측이 가능한 소득·2021년 연간)은 7022만원으로 비수도권(5832만원)보다 20.4% 많았다. 2018년 22.2%, 2019년 21.3%, 2020년 20.2%, 2021년 20.8%와 비교하면 격차가 비슷하거나 줄었다.총 경상소득의 수도권 집중도는 2018년 53.1%, 2019년 52.9%, 2020년 53.2%, 2021년 53.5%, 지난해 53.5%로 집계됐다.김 의원은 “기업, 인프라, 구직자, 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리면서 자산·소득 격차가 확대되고 지역은 소멸 위기에 처하고 있다”며 “비수도권으로 본사를 이전하거나 본사와 유사한 규모의 지사를 신설하는 기업에 행정·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등 ‘지역 본사제’를 추진하고, 지역 인프라 구축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2023.09.30 10:42

2분 소요
상위 20% 자산 16억5000만…하위 20%보다 64배 높아 [그래픽 뉴스]

부동산 일반

올해 자산 상위 20% 가구와 하위 20% 가구 간의 자산 격차가 역대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의 불평등도를 보여주는 순자산 지니계수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7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자산 상위 20%(자산 5분위) 가구의 자산은 평균 16억5457만원이었다. 이는 하위 20%(자산 1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 2584만원의 64배에 이르는 규모다. 상위 20%와 하위 20%의 자산 격차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2년 이후 최대다. 부동산 시장이 호황을 이루면서 관련 자산의 비중이 높은 상위 20%의 자산이 더 많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가계금융복지조사 비교 시점인 2021년 3월부터 지난 3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 가격은 7.47% 상승했다. 상위 20%의 경우 자산이 1년 전보다 1억3769만원(9.1%) 늘었다. 이중 부동산이 1억2853만원(10.7%) 증가해 대부분을 차지했다. 분위별로 부동산 자산을 보유한 가구 비중을 보면 5분위 중에서는 98.6%가 부동산 자산을 보유했다. 상위 20% 대부분이 부동산을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반면, 1분위는 10.1%에 그쳤다. 1분위의 자산은 1년 전보다 13만원(0.5%) 줄었다. 부동산 자산이 9.3% 감소하는 등 분위 가운데 유일하게 전체 자산이 줄었다. 이는 젊은 세대의 1인 가구가 많이 늘어난 결과라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가구를 기준으로 집계하는 가계금융복지조사 특성상 자산을 적게 가진 사회초년생 등이 취업 등을 이유로 독립하면서 새로 1분위에 편입되는 경우가 늘었다는 것이다. 불평등도를 측정하는 순자산 지니계수는 0.606이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2년(0.617)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도가 높다는 의미다. 김채영 기자 chaeyom@edaily.co.kr

2022.12.10 14:00

2분 소요
한국의 가구당 평균 자산은 5.4억…평균 연소득 ‘6000만원’

은행

올해 3월 말 한국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4772만원을 기록했다. 가구의 평균 부채는 9170만원이었다. 지난해 말 가구의 연간 평균 소득은 6414만원으로 2020년 6125만원에 비해 4.7% 증가했다. 한은이 발표한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4772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19만원(9.0%) 증가했다. 가구의 평균 부채는 9170만원으로 4.2% 늘었는데 가구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5602만원을 기록했다. 자산 중에서 금융자산은 22.1%, 실물자산은 77.9%로 구성됐다. 자산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을 보면 금융자산이 7.1%, 실물자산은 9.5% 증가했다. 부동산 중 거주주택가격 상승으로 실물자산 증가율이 높았다. 순자산 보유액 구간별 가구 분포를 보면 전체 가구의 55.7%가 3억원 미만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있고, 10억원 이상인 가구는 11.4%로 나타났다. 1억원 미만 가구 29.5%, 1~2억원 미만 가구 14.8%다. 전년보다 1~2억원 미만 보유 가구의 비중은 1.1%포인트 줄고, 8~9억원 미만과 10억 이상 보유한 가구의 비중이 각각 0.8%포인트, 2.0%포인트 증가했다. 평균 순자산은 가구주가 50대인 가구에서 5억3473만원, 자영업자인 가구에서 5억3875만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의 부채 규모를 보면 부채는 금융부채 74.2%와 임대보증금 25.8%로 구성됐다.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는 6803만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4%, 임대보증금은 2367만원으로 3.6% 증가했다. 금융부채 중 신용대출 보유가구 비율은 전년에 비해 0.1%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기타, 신용카드 관련 대출, 담보대출은 각각 1.4%포인트, 0.2%포인트, 0.2%포인트 감소했다. 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보유가구의 중앙값은 각각 9238만원, 2500만원을 기록했다. 아울러 평균 부채는 가구주가 40대인 가구에서 1억 2328만원, 자영업자인 가구에서 1억 238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처분가능소득 구간별 가구 분포를 보면,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4000만원 미만이 전체가구의 47.8%로 전년 동기 대비 1.5%포인트 감소했고, 1억원 이상인 가구는 11.1%로 1.9%포인트 증가했다. 자산의 운용을 보면 가구주는 여유자금 운용 방법으로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에 47.9%, ‘부동산 구입’은 26.3%, ‘부채 상환’은 20.9%의 순으로 선호했다. 전년 동기보다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는 0.7%포인트 증가했지만, ‘부동산 구입’은 0.8%포인트 감소했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예금’이 83.5%로 가장 많았고, ‘주식’ 13.3%, ‘개인연금’ 1.9% 순으로 나타났다. 내년 지역 주택가격 전망에 대해 가구주의 37.8%가 ‘변화가 없을 것이다’라고 답했고, 31.2%는 ‘상승할 것이다’, 8.9%는 ‘하락할 것이다’라고 응답했다. 소득이 증가하거나 여유자금이 생기면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가구주는 전년 대비 0.3%포인트 증가한 58.0%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가구의 평균 소득은 6414만원으로 2020년 6125만원에 비해 4.7% 증가했다. 근로소득은 4125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고, 사업소득은 1160만원으로 2.2% 늘었다. 2021년 균등화 시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405로 전년과 동일했다. 다만 처분가능소득 기준은 0.333으로 전년에 비해 0.002 증가했다.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써, ‘0’이면 완전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의미해 1로 이동할수록 불평등해진다는 것을 말한다. 한편 한은은 가계금융복지조사와 관련해 통계청이 금융감독원 및 한국은행과 공동으로 전국의 2만여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라고 전했다. 조사 단위는 가구(가구원)지만, 직장 학업 등을 위해 일시적으로 떨어져 사는 가족도 포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2022.12.01 13:32

3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