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올해 은행과 증권사 등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159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전산장애가 가장 많은 금융사는 케이뱅크였다. 피해 추정액이 가장 큰 곳은 키움증권으로 나타났다. 23일 금융감독원이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발생한 금융권 전산장애는 ▶은행 60건 ▶증권사 56건 ▶보험사 25건 ▶저축은행 10건 ▶카드사 8건 등 모두 159건이다. 금융권의 전산장애는 2019년 196건, 2020년 198건, 지난해 228건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781건이 발생했다. 이 기간에 은행에서는 275건이 발생했고, 이어 증권사 246건, 보험사 137건, 저축은행 66건, 카드사 57건 등으로 전산장애가 많이 발생했다. 지난 4년간 전산장애가 발생한 금융사를 보면 케이뱅크에서 34건 발생했고, 이어 신한은행 32건, 카카오뱅크 27건, 산업은행 25건, SC제일은행 23건, 토스뱅크 17건, 하나은행 16건, KB국민은행 15건, 수협은행·우리은행 14건 등이 발생했다. 특히 케이뱅크 전산장애는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7건, 2021년 14건, 올해 들어 8월까지 6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에서는 최근 4년간 신한저축은행과 OSB저축은행에서 전산장애가 각각 10건 발생했다. 보험사는 교보생명 18건, 증권사는 NH투자증권 22건, 카드사는 삼성카드 12건으로 각각 최다를 기록했다. 윤 의원실은 최근 4년간 전산장애로 발생한 금융권 피해 추정액이 346억4137만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 기간 키움증권의 전산장애 피해 추정액이 56억1557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은행의 경우 경남은행이 24억6000만원, 보험사는 하나손해보험 1억6469만원, 카드사는 비씨카드가 24억3117만원으로 피해 추정액이 컸다. 윤 의원은 “비대면 거래만 가능한 인터넷전문은행에는 시중은행보다 더 높은 수준의 전산 실력이 요구되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