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CHNOLOGY - 인터넷은 잊어라, 아우터넷이 온다

지금까지 당신이 알던 인터넷은 잊어라. 특히 접속하기 위해 돈을 내야 했던 부분 말이다. 미디어개발투자펀드(MDIF)라는 뉴욕시 회사가 ‘큐브샛’이라는 저가의 소형위성들을 띄운다. 수백 개 위성으로 지구주위 궤도에 아우터넷을 형성한다는 계획이다. 세상 사람 모두가 무료로 이용할 수있는 무선 웹연결망이다.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이르면 2015년 6월에는 아우터넷이 구축될 수 있다.
각 큐브샛은 세계 각지의 지상 기지국망으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 그리고 새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이 정보를 반복적으로 전송한다. 아우터넷 이용방식이 TV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형태에 더 가까우리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의 우선순위 리스트를 작성하고 새 콘텐트를 제안하게 된다는 점이 다르다.
기술의 대부분은 다른 소형위성 프로그램과 실험에서 이미 개발됐다. 아우터넷 프로젝트의 지도자 중 한 명인 사이에드 카림이 소셜 뉴스 사이트 레딧에 말했다. “우리는 관련 비용을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수의 우주선을 개발한 경험도 있다”고 사이에드 카림이 말했다.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는 전혀 없다.”
아우터넷은 무료 접속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어디서든 이용 가능하다. 중국과 북한 같은 나라 사람들이 검열법을 우회할 수 있다. MDIF는 또한 긴급사태와 자연재해 때 아우터넷이 글로벌 경보 시스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단파 라디오의 현대판 모델 또는 우주의 비트토렌트(p2p 파일 공유 프로그램)다.” 아우터넷의 공식사이트가 설명했다.
세계적으로 인터넷 접속 가능 인구는 60%에 지나지 않는다. 구글과 페이스북 모두 자체적으로 야심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그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한다. “지식과 정보에의 접근은 인간의 권리다. 아우터넷은 정보공급에 실용적인 접근법을 취함으로써 이 권리를 보장할 계획이다.” 아우터넷 웹사이트가 주장했다. “누구든 인터넷 접속 기능의 부재로 인해 시사문제, 트렌드를 이루는 토픽, 혁신적인 아이디어 정보를 입수하지 못해서는 안 된다.”
MDIF는 수백만 달러의 기부금을 받아 아우터넷을 출범시킨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오는 6월까지 위성의 초기 모형을 완성한다는 목표다. 그리고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아우터넷 기술을 테스트할 계획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 테스트를 허가해 준다면 말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 가능성 주목[클릭, 글로벌 제약·바이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제베원 멤버, 예능 욕심에 女 신음소리 무리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국인 美 특별취업비자 신설 힘받나…정부 "비자 체계 개선"(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BBB급 케이카캐피탈, 회사채 시장 데뷔전 나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서보광 유빅스테라퓨틱스 대표 "BTK 분해제 글로벌 기술이전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