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주상영 “올해 물가 상승률 4% 근접할 것…예상보다 장기화”

한은 금통위, 4월 정례회의서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
우크라이나 사태로 물가 상승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가능성

 
주상영 금융통화위원(의장 직무대행)이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주상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의장 직무대행이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올해 물가 상승률이 4%에 근접한 수준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4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4일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1.25%에서 0.25%포인트 인상한 1.50%로 운용하기로 결정했다.
 
금통위 후 기자간담회는 이주열 한은 총재 퇴임 이후 이 후보자의 취임이 아직 이뤄지지 않아 주상영 금융통화위원이 진행했다.
 
주 위원은 간담회에서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겠다 하는 판단이 들었다”며 “총재 공석임에도 불구하고 저희가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좀 더 가파르게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올 초부터 나왔지만  기본적으로 금통위가 금리 결정을 하는 데에는 국내 물가와 성장 흐름에 더 주안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당초 시장에서는 연내 기준금리 수준을 1.75∼2.0% 이 정도로 예상했지만, 최근 가파른 물가 상승과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빠른 긴축 등으로 기대 금리 수준이 더 높아졌다.
 
주 위원은 “시장의 기대도 다소 높아지기는 했지만, 어떤 좁은 범위에 모여있다기보다는 다양해졌다는 그런 측면도 있다”며 “금통위의 의견 역시 그 전보다 조금 다양해진 것 같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두 달째 진행되면서 국제 유가와 원자재가격을 상승시키고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 위원은 “물가는 대략 연간으로 4%나 또는 그에 근접한 수준으로 상승률이 올라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내다봤다.
 

김다운 기자 kim.daw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실시간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