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미 국채금리 상승에 약보합…나스닥 0.14%↓
10년 만기 국채 금리, 장중 한 때 2.88%대 기록
![](/data/ecn/image/2022/04/19/ecn79463e74-623b-4404-8323-7ac087bbca30.jpg)
18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9.54포인트(0.11%) 떨어진 3만4411.69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0.90포인트(0.02%) 하락한 4391.69에, 나스닥지수는 18.72포인트(0.14%) 하락한 1만3332.36에 장을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실적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우려를 주시했다. 이번 주에는 넷플릭스와 테슬라 등 기술 기업들의 실적을 가늠할 주요 기업의 실적이 나올 예정이다. 아울러 아메리칸항공, 유나이티드항공 등 항공주, 다우지수에 편입된 IBM, 존슨앤드존슨 등의 실적도 공개된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분기 실적이 실망스러울 수 있다고 경고한다. 연준의 긴축 우려에 채권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는 점도 주가에 부담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윌슨 주식전략가는 “실적이 예상보다 실망스러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Fed의 긴축 행보, 국채 금리 움직임도 주가에 영향을 끼쳤다. 채권 시장에서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장중 한 때 2.88%대를 찍었다. 이는 2018년 말 이후 최고 수준이다. 세계은행(WB)은 올해 글로벌 경제 성장률을 기존 4.1%에서 3.2%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경제 타격을 반영한 것이다.
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26달러(1.2%) 오른 배럴당 108.2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리비아의 국영 석유 시설에 시위대가 난입해 원유 생산 차질을 빚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안전 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0.6% 상승한 1986.4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원태영 기자 won.taeyo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2‘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3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4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
5“세금 한 푼 안내고”…자녀에 50억 아파트 편법 증여, 156명 세무조사
6美 계란값 폭등 '12개 7200원'...바이든 정부 책임?
7레페리, 알렉스디자인 인수 2년 성과 발표...“올해도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8“우리 아티스트 비웃지 마라”...가상 아이돌 시대, ‘플레이브’ 비하 논란
9“코스트코 어쩌나”...韓 창고형 할인점 대박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