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고물가, 고금리'에 기업 자금 사정 악화…"투자위축 넘어 생존 걱정"
- 생산비 증가→은행 대출 증가→고금리 이자→기업 자금난
자금운용 리스크 우려 이유 1위는 ‘대출금리 상승’

대한상공회의소 전국 217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최근 경제 상황 관련 기업 자금 사정’을 조사한 결과, 기업들의 자금조달 수단이 ‘은행·증권사 차입’(64.1%)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자금을 조달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4곳 중 1곳에 불과했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은행대출에 대한 기업 의존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전과 비교해 늘어난 자금조달 수단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64.4%의 기업이 ‘은행·증권사 차입’을 선택했다. ‘내부 유보자금 활용’(32.2%), ‘정부지원금’(17.0%) 등이라고 답한 기업이 뒤를 이었다. ‘주식·채권 발행’을 꼽은 기업은 3.3%에 불과했다.
실제 최근 회사채 발행 규모는 감소세다. 금감원 통계에 따르면 일반회사채 발행 규모가 올해 1분기 12조 9050억원, 2분기 8조 8975억원, 7~8월 4조 6135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채권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뜻이다.
기업의 단기채무 지급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현금흐름보상비율도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상황이 반영돼 1년 전보다 급락했다. 대한상의가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함께 897개 제조업 상장사의 분기별 현금흐름보상비율을 분석한 결과, 올해 2분기 현금흐름보상비율은 45.6%로 나타났다. 지난해 2분기 대비 43.8% 감소했다.
김현서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매출채권까지 포함시켜 산출되는 이자보상비율에 비해 현금흐름보상비율은 실제로 지급가능한 현금을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기업들의 감당 여력을 더욱 명확하게 보여준다”며 “고금리 추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앞으로가 더 걱정된다”고 했다.
자금운용상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73.3%)를 택한 기업이 가장 많았다. 고환율로 인한 ‘외화차입 부담 증가’(25.2%), ‘자금조달 관련 규제’(18.3%)가 문제라고 답한 곳도 있었다.
이같은 이유로는 ‘매출부진에 따른 현금흐름 제한’(63.7%), ‘생산비용 증가’(57.5%), ‘고금리 부담’(43.6%)을 꼽은 기업이 많았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지난 9월 대한상의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기업들이 손익분기를 고려해 감내할 수 있는 기준금리 수준이 ‘2.91’이었는데 이번 금리인상 조치로 감내수준을 넘어서게 됐다”며 “이제는 투자위축을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국내 경기상황을 고려한 통화정책과 단기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을 위한 정책자금 지원을 늘리고, 기준금리와 시중금리와의 갭을 줄이고, 자금조달 수단을 다양화하는 금융정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의 사위·아들·친구’…중원 표심 공략 나선 후보 3人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