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 달 새 30% 빠졌다…‘카카오 코인’ 클레이튼에 무슨 일이?

클레이(KLAY) 가격 연일 저점 경신 행보
10월 현금화 물량만 25억 넘어…홀더들 반발
선미야·클레이시티 등 주요 프로젝트 이탈 움직임

 
 
클레이튼 이미지. [사진 클레이튼]
최근 ‘카카오 코인’으로 유명한 클레이튼(KLAY)의 가격이 급락하며 연일 저점을 갈아치우고 있다. 공시 없는 대량 현금화, 운영사의 방임 등의 문제가 하락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클레이튼 관련 프로젝트들의 ‘탈(脫)클레이튼’ 현상이 줄을 잇고 있다.
 
20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KLAY(클레이) 코인의 가격은 이날 오후 3시 20분 기준 24시간 전보다 5% 내린 0.1358달러(약 194.2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2020년 7월 이후 최저점이다. 한 달(30일) 전과 비교해선 30.91%나 급감했다. 최근 들어 ‘크립토 윈터(암호화폐 하락기)’가 장기화되고 있다곤 하나, 이더리움(ETH)·바이낸스코인(BNB)·폴리곤(MATIC)·아발란체(AVAX) 등 다른 주요 메인넷 체인보다 더 심한 낙폭을 나타내는 중이다.
 
주요 메인넷 180일 가격 변화. [사진 쟁글]
현재 클레이튼 체인 프로젝트는 클레이 코인으로 투자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클레이튼 성장 펀드(KGF)라는 제도가 있다. KGF는 클레이를 프로젝트에 지급해 클레이튼 기반 디앱(DApp·탈중앙화 앱) 개발을 지원한다. 문제는 이렇게 배포되는 클레이가 프로젝트 활성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대다수 물량이 중앙화·탈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현금화된다는 점이다.
 
지난 11일 블록체인 탐색기 클레이튼스코프에 따르면, 클레이튼 재단 리저브 주소로 라벨링된 주소에서 700만 클레이가 출금됐고, KGF로 라벨링된 주소에서 1000만 클레이가 나갔다. 이달 들어 커뮤니티에서 공시 없이 거래소에 이체돼 현금화된 것으로 추정되는 KGF 물량은 1300만 클레이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로 약 25억원이 넘는다.
 
이전에도 엄청난 양의 매도세는 클레이 가격이 하락할 때마다 자주 포착됐다. 일부 홀더(보유자)들은 대량 매도가 결국 클레이튼 가치 하락을 부추겨 각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악화시켰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지난 6월 클레이튼 재단은 홀더들에게 KGF 투자 내역, 소각 여부 등을 정기적으로 투명하게 공시하겠다고 밝혔다. 존 조 클레이튼 대외협력 디렉터는 공식 텔레그램 방을 통해 “현재 시장 상황과 클레이 유통 현황 등을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토크노믹스, 토큰 순환 시스템 등을 개선하는 방안들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클레이튼 재단은 지금까지 한 차례도 관련 공시를 커뮤니티에 공유한 바가 없다. 도리어 홀더들이 반발하자 ‘클레이 시세를 언급하면 채팅 금지’ ‘3회 이상 경고 시 추방’ 등의 규칙을 내걸었다. 클레이튼 재단은 클레이 관련 공시의 시작을 11월로 미루기도 했다.
 
이에 클레이튼 생태계에서 생성된 프로젝트들에 대해 체인 이전(마이그레이션)을 요구하는 투자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실제 클레이튼 체인 대표 PFP(프로필사진) NFT 프로젝트였던 ‘메타콩즈’는 마이그레이션을 끝마쳤다. 지난 4월 이더리움 마이그레이션 거버넌스 제안 투표를 진행한 결과 약 96.7%의 찬성으로, 5월 이더리움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했다.
 
지난 4월 30일부터 5월 3일까지 진행된 메타콩즈 마이그레이션 투표. [사진 메타콩즈 디스코드]
현재 투자자들이 탈클레이튼을 요구하고 있는 프로젝트로는 ‘선미야클럽’(NFT), ‘클레이시티’(P2E 게임) 등이 있다.
 
특히 클레이시티의 거버넌스카운슬(GC)은 지난 14일 공식 디스코드 채널에 긴급안건으로 체인 이전 요구를 올렸다. 거버넌스 카운슬은 블록체인 기술·사업 등에 대한 주요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운영하는 협의체를 말한다. 해당 안건은 GC의 과반수 이상이 찬성해 현재 체인 변경 여부 관련 투표를 진행 중이다. 투표가 통과되면 클레이시티는 다른 블록체인으로 이관할 예정이다.
 
한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클레이튼은 유명한 벤처 캐피털(VC)들이 많이 투자한 대형 프로젝트인데, 유통량 공시 등 기본적인 검증이 이뤄지지 않으면 개인 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검찰, ‘아내 살해’ 미국 변호사에 무기징역 구형…“반성 없어”

2美 4월 고용 17.5만건 증가…예상치 크게 밑돌아

3심장병 앓는데…中여대생, 교수 강요로 달리기 후 사망

4일본서 ‘치아 자라게 하는 약’ 나왔다···가격은 얼마?

5되살아난 명동 ‘북적’…가로수길은 어쩌나

6전기차 시대 내다본 조현범...한국앤컴퍼니, 한온시스템 품는다

7“호빈이가 움직이네?”…네이버웹툰, 애니 ‘싸움독학’ 韓 OTT서 공개

8변기 뒤 침대인데도…中상하이 아파트 불티나는 이유

9고피자, 강소기업 지원 사업 선정…“해외 사업 확장 속도”

실시간 뉴스

1검찰, ‘아내 살해’ 미국 변호사에 무기징역 구형…“반성 없어”

2美 4월 고용 17.5만건 증가…예상치 크게 밑돌아

3심장병 앓는데…中여대생, 교수 강요로 달리기 후 사망

4일본서 ‘치아 자라게 하는 약’ 나왔다···가격은 얼마?

5되살아난 명동 ‘북적’…가로수길은 어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