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나의 실수’ 증권사 보고서 등장하기도
금리 인상 기조 여전, 중소형株 위주로 접근해야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날보다 44.05포인트(1.93%) 하락한 2236.40에 장을 마쳤다. 코스피 지수는 올해 1월 초(2988.77) 대비 25.17% 빠졌다. 1년 동안 종가 기준 3000을 넘긴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연초부터 이어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금리 인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반영된 결과다.

길어지는 금리 인상 기조에 증권사들이 예측했던 것보다 증시가 하락하면서 신영증권 리서치센터는 ‘2022년 나의 실수’라는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다. 신영증권은 올 초 코스피 예상 밴드를 2710~3300으로 전망한 바 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2022년에 범한 가장 큰 실수는 중앙은행의 긴축 장기화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본 것”이었다면서 “실제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는 점과 금리에 대한 고정관념도 판단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기업들이 체감하는 내년 1분기 경기 전망 지수도 좋지 않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225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내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올해 4분기보다 7포인트 하락한 74로 집계됐다. 이는 심지어 코로나19 영향으로 경기 전망이 좋지 않았던 지난 1분기(75)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고물가 기조로 올해 증시는 강도 높은 긴축을 이어가면서 뚜렷한 약세를 보였다”면서 “본격적인 실적 시즌이 다가오면 추가 이익 하락 등으로 1분기에 오히려 주가 하방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도 “1월 효과가 막연한 기대에 의한 주가 지수 상승이라면 나타나기 어렵고 대형주의 실적 전망치 하향이 진행되는 기간엔 중소형주가 강세일 것”이라고 밝혔다.
증권가에선 4분기 실적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이익률 개선과 높은 수준의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업종을 주목하라고 조언한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상기에 과도한 주가 조정을 받았음에도 미국·유럽 시장에서 점유율이 오르고 있는 건강관리 업종과 산유국 설비투자 기대감이 높은 건설, 매출 성장시 주가 반응 속도가 센 디스플레이를 추천한다”고 설명했다.
업종 내 종목별로는 건강관리(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건설(삼성엔지니어링·현대건설), 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덕산네오룩스·서울반도체)를 제시했다. KB증권은 1월 코스피 예상 밴드를 2200~2400선으로 내다봤다.
홍다원 기자 daon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삼성화재, ‘5호선 방화’ 피해 보상금 먼저 지급한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최병길, 서유리 저격 "자기 팔자 망치고 있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OPEC+, 9월 원유 생산 하루 54만7000배럴 증산 합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몸값 4조 달성한 ‘K뷰티 큰손’…구다이글로벌의 FI 활용법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 “단점에 솔직하지 못한 기업 피해라”[바이오 VC 집중조명]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