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서 빛나는 ‘태양광’…업계 1위 굳히기
[2023 100대 CEO] 24위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1983년생인 김 부회장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이다. 김 부회장은 2010년 한화에 차장으로 입사해 경영수업을 시작했다. 이후 한화솔라원 기획실장, 한화큐셀 전략마케팅실장, 한화솔라원 영업담당실장, 한화큐셀 전무 등을 두루 거쳤다. 2020년 10월에 한화솔루션 대표를 맡았고, 2022년 8월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김 부회장이 이끄는 한화솔루션은 2022년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2022년 연결기준 매출 13조6539억원, 영업이익 966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1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7%, 영업이익은 30% 증가한 것이다.
김 부회장은 올해 태양광 관련 대규모 투자도 단행하면서 태양광 1위 굳히기에 나섰다. 올해 초 한화솔루션은 미국 조지아주에 총 3조2000억원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힌 뒤,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2024년까지 잉곳·웨이퍼·셀·모듈 등의 현지 생산을 위한 태양광 통합 생산단지 ‘솔라 허
브’를 구축할 예정이다.
한화솔루션이 2024년 말 솔라허브 구축을 마치면 현지 태양광 모듈 생산능력은 모두 8.4GW로 늘어난다. 이는 실리콘 전지 기반 모듈을 만드는 태양광 업체 가운데 생산능력으로는 북미 최대 규모에 해당한다.
한화솔루션은 2022년까지 미국 주택용 및 상업용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 각각 5년, 4년 연속으로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김 부회장은 해당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해 북미 태양광 시장 내 1위 지위를 굳건히 하겠다는 복안이다.
앞서 지난 4월 김 부회장은 미국 조지아주 달튼 한화솔루션 태양광 모듈 공장에서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과 만나기도 했다. 당시 김 부회장은 “클린 에너지 솔루션을 통해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며 “솔라 허브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태양광 밸류체인 생산 라
인을 미국 내에 구축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
6최상목 “관세협상 서두르지 않겠다…새정부가 최종결정"
7“1000일 됐어요” 해외여행 필수템 된 ‘이 서비스’
8코스피 상장사 배당금 30조원…밸류업 법인 '앞장'
9국제당뇨병연맹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 진단 안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