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증시 거품 우려”...지나친 낙관론 경계해야
과도한 밸류에이션 주의 당부

7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막스는 미국 증시의 높은 밸류에이션을 지적하며 단기적으로 상당한 규모의 하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날 막스 회장은 고객들에게 보낸 투자 메모에서 S&P500지수가 1998년 이후 가장 수익률이 좋은 2년을 보낸 뒤 미국 주식시장에 몇 가지 경고 신호가 떴다고 알렸다. 미국 증시가 버블 상태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시장에 나타난 거품의 징조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막스 회장은 "S&P500 지수가 지난 1998년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20%대의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극히 드문 일"이라며 "주식 시장에서도 과열 징후들이 계속 감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S&P500 지수의 주가수익비율(PER)이 약 22배에 달함을 지적하며 "PER이 역사적인 평균치와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시장의 과도한 밸류에이션을 결코 무시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높은 밸류에이션이 단기간에 조정될 경우 2000년대 초반에 발생한 닷컴버블과 비슷한 수준의 매도세를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워드 막스는 2000년 닷컴 버블을 정확히 예측한 인물 중 하나다.
그는 "투자 수익률은 그 투자 대상에 얼마를 지불했느냐에 따라 상당 부분이 결정되는데 이는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라며 "이런 이유로 투자자들은 오늘날 시장의 밸류에이션에 무관심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매그니피센트7(M7) 종목이 너무 크기 때문에 실패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시장의 '암묵적 추정'도 걱정스럽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2"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3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4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5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6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7현대차가 짓는 삼성동 GBC, '105층 1개동→54층 3개동'으로
8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14억달러 해킹...'최대 규모'
9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