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솔트룩스, 중앙노동위원회 ‘AI 디지털노동위원회 구축’ 사업 수주
- 복잡·다양한 노동분쟁 사건 디지털 시스템으로 신속 해결 가능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솔트룩스는 중앙노동위원회가 추진하는 ‘AI 디지털노동위원회(지능형서비스) 구축 1차 사업’을 수주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3년에 걸쳐 총 36억 원 규모로 추진된다.
중앙노동위원회와 함께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AI 등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해 기존 조사 행정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노동분쟁 해결 등을 통해 신뢰사회 구축이 핵심 목표다. 을 넘어 ‘신뢰사회 구축’을 실현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최근 노동분쟁 사건은 복잡하고 다양화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조사 자료가 필요한 데 한정된 인력 때문에 신속한 처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디지털 시스템 도입이 절실한 상황이다.
중앙노동위원회는 1단계로 AI를 활용해 조사관·위원에게 판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2단계에서는 분쟁당사자 간 소통을 지원하고, 3단계에서는 당사자들이 분쟁을 사전에 예측하는 등 디지털 노동행정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솔트룩스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문서 초안 자동 생성 ▲지능형 검색 시스템 구축 ▲문서·음성 자료 자동 분석 ▲대화형 상담 챗봇 등 네 가지 핵심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신청인과 피신청인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해 조사보고서 및 판정서 작성을 지원하고, 사용자의 의도와 의미를 이해하는 고도화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개인정보 자동 비식별화 기술과 고도화된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을 접목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솔트룩스는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세 가지 핵심 전략을 수립했다. 조사에서 판단까지 전 과정을 연결하는 지능형 조사 행정 기반 마련, 조사관 업무에 특화된 Agentic AI 기반 정보 탐색 자동화 실현, 지속 가능한 운영과 자체 학습을 통한 맞춤형 AI 서비스 제공이다. 71만 건 이상의 법령정보를 학습한 법률 특화 초거대 언어모델 ‘루시아 LLM’을 활용해 검색 정확도를 대폭 높일 계획이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복잡해지는 노동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라며, “솔트룩스는 공공 AI 분야에서 축적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조사 행정의 효율성과 공정성을 높이고,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실현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트럼프 "파월은 멍청하고 정치적" 5연속 금리 동결에 분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우승 '드라이브' 걸었다! 한화, NC 손아섭 영입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韓 무역합의 이끈 협상단과 ‘엄지척’…백악관서 환한 미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상상인저축은행, OK금융 이탈에 PEF 인수설 부상…매각 장기전 가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실적 호조 HK이노엔 상승, 셀비온 관심 고조[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