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인도 진출 K-스타트업 밸런스히어로, 2분기 매출 387억·세전이익 81억으로 '역대 최대'
- AI 금융 플랫폼 기반 수익성 극대화
올해 세전이익 목표 260억 원으로 상향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K-핀테크 기업 밸런스히어로가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증명했다.
밸런스히어로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387억원, 세전이익 81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상반기 누적 세전이익은 122억원에 달한다.
이번 호실적의 배경에는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금융상품 추천 비즈니스가 자리하고 있다. 밸런스히어로는 파트너 금융사와 협력하여 자체 개발한 'AI 파이낸스 디시저닝 플랫폼'을 통해 고객과 금융상품을 효과적으로 매칭하며 수익성을 극대화했다. 이 플랫폼은 대안신용평가시스템(ACS)을 기반으로 금융 정보가 부족한 고객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최적의 상품을 추천하는 역할을 한다.
고도화된 AI 기술은 수익성 개선의 핵심 동력이었다. 정교한 리스크 관리를 통해 상품 연체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효율적인 마케팅 비용 집행으로 비용 구조를 최적화했다. 그 결과, 신규 취급액(AUM)은 1분기 대비 4.6%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이익률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내실 있는 성장을 이뤄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밸런스히어로는 올해 연간 사업 목표를 상향 조정했다. 연간 매출 목표는 1600억원, 세전이익 목표는 기존 계획보다 높은 260억원으로 설정했다. 향후 보험, 신용카드 등 중개 상품군을 확장하며 'AI 금융 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밸런스히어로 관계자는 "2분기 성과의 핵심은 AI 기반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강화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확보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술 중심의 성장 기조를 이어가 저개발도상국 특화 AI 핀테크 플랫폼으로 입지를 확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2014년 설립된 밸런스히어로는 '모두를 위한 금융(Finance for All)'이라는 비전 아래 인도 내 10억여 명에 달하는 중·저신용자 및 금융 소외 계층을 위한 금융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파미셀, PEG-기반 합성 인공혈액 ‘헴파민-16’ 합성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김건모 '복귀 콘서트'로 6년 만에 활동 재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투자 모범생' 정의선·조원태의 통큰 결단…77조원 더 써 한·미동맹 지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현대건설·SK이노·코웨이 등 AA급 우량채 줄줄이 출격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치료 수혜 부각" 지투지바이오 '上'…제놀루션·셀비온도 ↑[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