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3600달러 뚫은 금값…불확실성이 키운 '안전자산 전성시대'
- 관세 분쟁·금리 변수 겹치며 금·은 가격 사상 최고치

2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가격은 오후 5시20분 기준 2.44% 급등한 온스당 3601.90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날 미국 증시는 불안 심리가 확대되며 일제히 하락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55%,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0.69%, 나스닥 지수는 0.82% 각각 떨어졌다.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본격화한 것이다.
투자 심리를 자극한 핵심 요인은 관세 불확실성이다. 지난달 29일 연방항소법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근거로 부과한 상호관세가 권한을 넘어선 불법이라고 판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판결 직후 "모든 관세는 여전히 유효하다"며 대법원 상고를 시사했지만, 법적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무역 갈등 장기화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금값은 올해 4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관세 유예와 협상 국면이 이어지면서 박스권에 갇혀 있었다. 그러나 법원 판결을 계기로 불확실성이 재점화되자 투자자들의 시선이 다시 안전자산으로 쏠리고 있다.
금리 전망 또한 금값을 떠받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할 확률은 92%로 반영됐다. 다만 이번 주 발표 예정인 미국 고용지표에 따라 인하 폭과 시점이 변동될 수 있다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귀금속 전반으로 확산되는 안전자산 선호는 은 가격에도 반영됐다. 은 현물 가격은 전날 0.3% 상승해 온스당 40.8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시진핑 "中 부흥 못막아…단결하고 싸워 반드시 승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지나, 성매매 논란 후 심경 "살기 위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시진핑 "中 부흥 못막아…단결하고 싸워 반드시 승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딜 가뭄에 인력 수요도 한풀"…회계법인 채용시장도 '차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고바이오랩, ‘주사 대신 자연 GLP-1…비만 치료제 판도 흔드나[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