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잇따른 사태로 궁지 몰린 MBK파트너스 [AI 픽]

금융감독원은 지난 2일부터 롯데카드 본사에 현장조사반을 투입했다. 이번 해킹으로 유출된 내부 파일은 약 1~2GB 규모로 추정된다. 무엇보다 보안사고 발생 후 17일이 지나서야 이를 인지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기본적인 내부통제조차 부실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4일 “보안사고를 반복하는 기업에 대해 징벌적 과징금을 포함한 강력한 제재를 신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와 동시에 MBK를 향한 금융당국의 시선도 차갑다. 신임 이찬진 금감원장은 지난달 27일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MBK파트너스에 대한 추가 조사에 착수했다. 불공정거래 여부와 인수 과정에서의 펀드 출자자 모집 절차 등 전반을 들여다보고 있다는 후문이다.
금융위원회 역시 강경한 입장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서 “위법 행위가 발견되면 엄중 조치하겠다”고 못박았다. 금감원이 이미 MBK를 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상황이라 법적 공방은 불가피해 보인다.
이번 사태는 사모펀드 제도 자체에 대한 재검토로 이어지고 있다. 이 후보자는 “사모펀드 제도가 도입된 지 20년이 지났다”며 “글로벌 규제 수준에 비춰 개선할 부분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MBK 리스크를 넘어 제도 전반으로 논의가 확산될 수 있음을 예고한다.
결국 홈플러스와 롯데카드라는 ‘투 트랙 리스크’가 한꺼번에 불거지면서 MBK파트너스의 책임론은 불가피해졌다. 단순한 보안사고와 경영 실패를 넘어 사모펀드 거버넌스 자체를 둘러싼 근본적 논란이 불붙는 양상이다.
*이 기사는 AI를 활용해 작성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아빠가 엄마를…” 아내 살해한 40대, 장모까지 찌르고 도주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임영웅 "예전부터 좋아했다" 최애 고백…누구?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제2의 현대차·LG 공장 사태 나올라…美 비자 리스크 공포감(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보다 더 큰 문제…LS 에식스솔루션즈, 다층 지배구조에 상장 난항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권 셀비온 대표 “말기암 환자 ORR 35% 주목할 성과...머크와 협업 강화 논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