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월 1% 고수익에 원금도 보장"…이렇게 좋은 걸 뭐하러 광고해?

#. 투자자 A씨는 최근 한 자산운용사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의 추천을 통해 미국 국채펀드에 3000만원을 투자했다. 월 1%의 고수익을 낼 수 있고 원금까지 보장되는 상품이었다. 그러나 이는 운용사 이름을 도용한 불법업체의 광고였고, 해당 업체는 돈만 챙긴 뒤 연락이 두절됐다.
금융회사의 홈페이지나 이메일 등을 사칭하는 온라인 투자 사기가 성행하고 있어 주의가 당부된다.
금융감독원은 11일 "홈페이지나 이메일 등을 이용한 온라인 투자사기 방식이 갈수록 교묘하고 대담해지고 있다"며 소비자 경보 '주의'를 발령했다.
실제 자산운용사 정보를 도용해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유튜브·블로그 등에 미국 국채펀드 투자 등을 권유해 투자금을 편취한 불법업체가 대표적인 사례다.
투자자가 자산운용사의 이름을 믿고 투자금을 지정 계좌로 납부하면, 불법업체가 이를 받아 챙긴 뒤 연락이 두절돼 투자금을 그대로 날리는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최근에는 금감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의 '제도권 금융회사 조회' 메뉴에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해 불법업자의 이메일을 등록하려는 행위까지 적발돼 수사기관 통보조치됐다.
이외에도 금감원에는 비슷한 방식으로 해외 금융회사를 사칭해 '연 11~14% 고수익 해외채권 펀드'를 판매한 불법업체의 피해 사례가 다수 접수됐다.
금감원은 "온라인에서 확인된 정보만을 이용한 계좌개설 또는 자금이체 등 금융거래는 투자사기의 위험 소지가 있다"며 "금융회사의 공식적인 복수 채널(전화·이메일·홈페이지 등)을 통해 직접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금융사가 온라인으로만 접근해 입금을 유도하는 경우 투자금만 편취하고 잠적할 가능성이 높다"며 "온라인 투자성공 후기는 불법업체의 유인 수단일 가능성을 의심하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사기가 의심되면 거래를 즉시 중단하고, 관계회사에 유선으로 확인하고 경찰청이나 금융감독원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현대바이오, 뎅기열 신약 베트남 북·남부 국립병원서 제형변경 동시 승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韓 야구 명예의 전당 16일 착공식, 개장은 언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주주 10억 고집 안해"…李 말 한마디에 또 천장 뚫었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5조' 복정역 환승센터 개발, 토지계약 '아직'…연말까지 협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연내 빅딜 기대감’ 큐라클·지투지바이오 급등[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