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농산물 가격의 절반은 유통비용… 일부 품목은 70% 넘어
- 월동무·고구마·양파 등 유통비용 70%↑

지난 1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보고서에 따르면 농산물 유통비용률은 2023년 기준 49.2%로 10년 전인 2013년(45.0%)보다 4.2%포인트 높아졌다. 소비자가 배추 한 포기를 1만원에 샀다면 유통업체들이 4920원을 가져가는 셈이다. 1999년 38.7%였던 유통비용률은 24년 만에 10%포인트 넘게 높아졌다.
품목별 편차는 컸다. 쌀 등 식량작물은 35.9%로 낮았으나, 양파·대파는 60.8%, 배추·무는 64.3%에 달했다. 일부 품목의 유통비용률은 70%를 웃돌았다. 월동무(78.1%), 양파(72.4%), 고구마(70.4%) 등은 70%를 웃돌았다. 양파·대파 등 조미채소류는 60.8%, 배추·무(엽근채소류)는 64.3%에 달했다. 과일류와 과채류, 축산물은 50% 안팎으로 집계됐다.
유통비용이 늘어난 주요 배경에는 인건비 상승뿐 아니라 유통업체 이윤 확대가 꼽힌다. 실제로 2023년 유통이윤은 14.6%로, 10년 전보다 1.2%포인트 올랐다. 농산물 유통에 세금이 붙지 않아 실제 이윤은 더 클 거로 추정된다. 한국은행도 지난해 보고서에서 "영세한 농가에 비해 도매·소매업체의 시장지배력이 크다"며 농가 판매가격 상승률이 소비자가격보다 낮다고 분석했다.
불투명한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였다. 최근 이 대통령은 추석을 앞두고 "소비자와 생산자가 모두 체감할 수 있도록 불합리한 유통 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달라"고 주문했다.
농식품부는 온라인 도매시장을 키워 유통 단계를 줄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송미령 장관은 최근 국무회의에서 "온라인 도매시장 중심으로 유통구조를 전환하겠다"면서 "연간 거래 규모 20억원 이상이어야 판매자로 참여할 수 있는 기준을 없애겠다"고 밝혔다. 도매시장에서 정가·수의매매도 가능하도록 체계를 마련하고, 가격 정보 제공을 확대해 투명성을 높일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실수로 죽였다" 생후 35일 아들 죽인 아빠...그때 엄마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그건 팔면 안 돼” 박보검, 팬미팅 암표 거래 박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코스피, 사상 최초 3400선 돌파…양도세 대주주 기준 유지 영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문어발 확장의 부메랑…스마트스코어 정성훈 회장 피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디앤디파마텍·지아이이노베이션, MSCI+FTSE 겹경사...의미와 전망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