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카카오톡 15년 만의 대개편…이용자들 "업무용 메신저 맞나" 불만 확산
- SNS형 피드 도입에 사생활 노출·광고 논란

특히 업무용으로 카카오톡을 쓰던 이용자들은 원치 않는 사생활 노출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며, 자동 업데이트를 차단하거나 프로필 공개 범위를 제한하는 '우회 꿀팁'까지 공유하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 23일 개발자 컨퍼런스 '이프 카카오 25'에서 카카오톡과 SNS·AI 결합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 변화를 발표했다. 기존에 친구 이름이 목록 형태로 나열돼 있던 '친구탭'은 이제 사진·영상 기반의 타임라인형 피드로 바뀌어 인스타그램과 유사한 형태로 개편됐다.
하지만 이용자들은 이번 변화가 메신저 본연의 기능 강화와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한다. 사진과 영상 중심으로 바뀐 화면 구성은 과도한 사생활 노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X(옛 트위터) 등 온라인에서는 "사생활 노출이 심해졌고 광고도 많아 답답하다", "메신저 앱에서 왜 이런 짓을 하는지 모르겠다", "업데이트 후 광고 배너 크기까지 커졌다" 등의 비판이 잇따랐다.
특히 업무용 메신저로 카카오톡을 사용해온 직장인들의 불만이 집중됐다. 원치 않는 사생활이 업무 관계자들에게 노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부 이용자들은 아예 업데이트를 피하는 방법을 공유하고 있다. 삼성 갤럭시 이용자의 경우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카카오톡을 검색한 뒤 '자동 업데이트 사용'을 해제하면 된다. 아이폰 사용자는 설정 메뉴에서 앱스토어로 들어가 '자동 다운로드' 기능을 끄면 된다. 다만 이 같은 방법은 어디까지나 임시 방편으로, 향후 강제 업데이트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오히려 프로필 공개 범위 설정을 강조하는 움직임도 나타났다. 개편된 피드 기능에서 '친구에게만 게시물 공개'를 선택하면 게시물이 제한적으로 노출되며, '프로필 업데이트 나만 보기'를 활성화하면 친구들의 피드에 해당 업데이트가 뜨지 않는다.
카카오의 이번 변화가 '메신저 앱'의 정체성을 흔드는 시도가 될지, 아니면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확장의 기점이 될지는 향후 이용자 반응과 회사의 대응에 달려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코스피, 美 금리·관세 협상 불확실성에 3400선 깨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절대 1강이라던 KIA의 추락, 역대급 굴욕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조희대 압박·진실 공방 여파…李대통령 지지율 55%[갤럽]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법제화는 출발점일뿐…韓 토큰증권 미래, ‘유연성’에 달렸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큐리언트, 론자와 빅딜…'ADC로 난치암 정조준'[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