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내일 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시작…여행·유통가 '큰손' 잡기 총력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시행을 하루 앞둔 28일, 국내 관광·유통업계가 막바지 손님 맞이에 분주하다.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국내외 전담여행사가 모집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관광객은 비자 없이 15일간 한국 체류가 가능하다. 제주도는 기존처럼 개별·단체 모두 30일 무비자 입국이 유지된다. 정부는 이번 조치로 내년 6월까지 약 100만명의 중국 관광객 추가 유입을 기대한다.
시선은 중국의 최대 명절인 국경절 연휴(10월 1~7일)를 앞두고 정책 효과가 얼마나 나타날지에 쏠린다. 지난해 10월 방한한 중국인은 39만2천명으로, 코로나19 이전(2019년 10월)의 69% 수준이었다. 지난 7월에는 60만2천명으로 회복세가 뚜렷했다.
관광업계는 초기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경절 여행은 이르면 1년 전부터 예약한다”며 “무비자 시행 발표가 늦어 당장 눈에 띄는 변화는 없겠지만, 제도 자체가 긍정적 신호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명동 한 4성급 호텔 역시 “중국인 예약률이 전년 대비 큰 차이는 없다”고 전했다.
대형 리조트는 발 빠르게 중화권 마케팅에 나섰다. 파라다이스 호텔은 음악 페스티벌 티켓과 테마파크 이용권을 묶은 패키지를, 제주 드림타워는 위챗페이 할인 프로모션을 내놨다.

유통업계는 ‘큰손’ 맞이에 공을 들인다. 신라면세점은 29일 인천항에 입항하는 중국 크루즈 승객을 유치해 화장품 최대 60% 할인과 사은품을 제공한다. 롯데면세점은 다이궁(중국 보따리상)과 거래를 재개했고, 신세계면세점은 단체 관광객 대상 위챗페이 캐시백과 경품 이벤트를 준비했다.
백화점과 편의점, 화장품 업계도 분주하다. 롯데백화점은 중국인 고객 대상 기념품을 증정하고, GS25는 알리페이 결제 고객을 위한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인천공항 면세점에 ‘설화수 팝업스토어’를 열고, LG생활건강은 중국 관광객 전용 리플렛을 제작했다. CJ올리브영은 외국어 가능 직원을 확충하고 즉시 환급 단말기를 도입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무비자 시행은 중국인 관광객 매출 확대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변화된 쇼핑 트렌드에 맞춘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시대, 첫 국경절 연휴는 어떤 성적표를 내놓을까.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손예진, 불꽃축제 ‘지옥철’도 미소로... 지하철 퇴근 인증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거스를 수 없다’ 손흥민 MLS 7·8호 득점 폭발…LAFC 4연승 질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주말 은행 비대면 서비스 일시중단…‘운전면허증’만 인증 가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인수 유력 후보자’ 언급에도…홈플러스에 드리운 청산 그림자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연구 플랫폼이 매출로… 입셀, 돈 버는 비상장 바이오텍 입증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