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국정자원 화재, 금융권으로 불똥…비대면 서비스 곳곳 차질
- 신분증 확인·대출 심사 차질
시중은행, 비상대응 체계 가동…고객 불편 최소화 총력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여파가 금융기관으로 번지면서 일부 비대면 서비스가 마비됐다. 신분증 진위 확인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자 시중은행들은 긴급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며 대응에 나섰다.
지난 26일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 사고로 금융권에서는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등 신분 확인 서비스 ▲인터넷 지로·과금 납부 등 행정기관 연계 서비스 ▲우체국 연계 서비스 등에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실제로 다수 은행에서 모바일 신분증 발급과 주민등록증·여권 등을 통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중단됐다. 일부 은행은 실물 운전면허증만 본인 확인 수단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공지했다.
특히 비대면 업무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인터넷전문은행은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다. 카카오뱅크는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을 신청하는 소비자에게 공공 마이데이터 대신 실물 서류를 제출하도록 요구했고, 케이뱅크는 화재 직후 개인사업자대출과 아파트담보대출이 중단됐으나 현재는 정상 취급 중이라고 밝혔다. 토스뱅크 역시 주택담보대출 등 일부 상품 심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업권 협회 등과 긴급회의를 열고 “각 금융회사는 세심한 대응 계획을 마련하고 사태가 안정화될 때까지 대응센터를 운영해 당국과 긴밀히 소통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상정 가능한 모든 상황을 대비해 대응 수단을 준비해 달라”고 강조했다.
시중은행도 잇달아 비상 대응에 나섰다. 신한금융그룹은 27일 지주 위기관리협의회를 소집하고, 이튿날 주요 그룹사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주민등록증 관련 비대면 실명인증 및 신분증 진위확인 서비스 중단 사실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안내했으며,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대체 인증 수단을 공지했다. 29일부터는 영업점과 콜센터를 중심으로 화재 사고로 처리하지 못한 업무를 신속히 지원할 방침이다.
또 그룹 데이터센터 사고 예방책을 마련하고, 문제 발생 시 재해복구센터를 즉시 가동하는 방안도 점검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어떤 상황에서도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며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은행장 직속 ‘국정자원 대응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해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 사업그룹별로 영향도를 점검하고, 전 직원에게 중요 안내사항을 배포했다. 아울러 영업점에서 활용할 소비자 응대 매뉴얼도 준비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그룹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고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우리금융그룹과 KB금융그룹도 화재 직후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시스템 영향도를 점검하는 등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보석심문 이후 건강 이상 증세…"구토·현기증으로 출석 어려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샤이니 민호, 대한체육회 홍보대사로 위촉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정부24·우체국 금융 정상 운영…정보시스템 47개 복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국민연금, 갑질 의혹 불거진 실장 대상 조사 착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뉴코’ 성공 사례에 나이벡 부각…ECM 스킨부스터株, 규제 쇼크[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