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근로자 사망’ 건설사 CEO들 국감서 사과 “안전이 최우선”
- 산재 사망사고 관련 증인 출석… “중대 재해 일으켜 송구"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이재명 정부가 건설 현장 산업재해 발생 건설사에 대해 강력한 제재 방안을 내놓은 가운데, 건설사 대표들이 국감에서 잇단 중대재해 발생과 관련해 사과했다.
지난 13일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 현장에는 근로자 사망 사고가 발생한 건설사 대표이사들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은 증인심문이 시작되자 포스코이앤씨 송치영 대표와 대우건설 김보현 대표를 호명했다.
정 의원은 우선 송 대표에게 “전임인 정희민 대표가 취임 8개월 만에 연이은 인명사고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며 사임을 했다”며 “대통령이 직접 면허취소를 언급하는 등 강도 높은 제재방안을 지시했는데 기업 내부 분위기는 어떠한가”라고 물었다.
이에 송 대표는 “먼저 중대재해를 일으킨데 대해 송구한 마음이고, 대표로서 책임감을 느낀다”며 “저희 직원들은 중대재해로 인해 혹시 미래에 회사가 어떻게 나아갈지 모르겠다는 불안감을 갖고 있는게 사실”이라고 답했다.
이어 “제가 부임한 후 안전경영을 통해 회사가 앞으로 반듯하게 성장해나갈 수 있다는 것을 직원들과 지속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면서 경영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8월5일 취임한 이후 또 한 번의 중대재해가 발생한다면 자칫 잘못하다가는 회사 업을 접을 수 있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전 현장을 스톱(중단)시켰다”며 “이후 제3자의 안전 전문 진단을 받아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공사를 한 달여 만에 재개했다”고 말했다.
송 사장은 “이에 따른 경영 손실이 많은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조기에 경영 정상화를 통해 손실된 금액을 만회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김보현 대표에게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여전히 사고가 감소하지 않는 것은 경영 책임자가 안전 확보 의무를 소홀히 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대표는 “책임을 면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안전에 대한 책임을 소홀히 했다는 관점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안전이 보장되지 않고는 어떠한 일도 하지 못하는 관점에서 조치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 사장은 사고 발생에 따른 공사 중단으로 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최고경영자(CEO) 입장에서 구체적 액수로는 판단해보지 않았다”며 “안전이 보장되지 않고서는 어떤 사업도 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있기 때문에 안전 최우선으로 가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날마다 살얼음판을 걷는 기분으로 근무하고 있고 이는 현장이나 본사 다 마찬가지”라며 “중대재해에 대한 책임을 이야기할 때 정말 건설사가 모든 책임을 다했느냐,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책임을 다했는가에 대한 것은 좀 더 면밀히 따져 주시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세종안성고속도로 교량 붕괴 사고로 어려움을 겪은 현대엔지니어링의 주우정 대표는 “사고 발생 이전과 지금까지도 깊고 무겁게 책임 의식을 갖고 있다”며 “안전과 품질이 생존을 위한 가장 기본적 수단과 목적, 최고 가치임을 인지하고 안전·품질의 문화가 더 높은 수준으로 안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국토위는 당초 국감에 부르려던 주요 건설사 대표에 대한 증인 신청을 철회했다. 허윤홍 GS건설 사장,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는 이날 증인 변경 신청을 통해 국회 출석 명단에서 빠졌다.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는 오는 29일 종합감사 때 출석하는 것으로 일정이 조정됐다.
DL그룹은 이해욱 회장 대신 여성찬 DL건설 대표이사가 마찬가지로 종합감사 때 자진 출석 하기로 변경됐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정경구 대표 대신 조태제 대표(CSO)가 증인으로 변경됐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7월 국무회의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을 맡은 현장에서 연이은 산재 사고로 노동자들이 사망한 사실을 언급하며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등 표현을 쓰며 강하게 질타했다.
이어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산재 반복 기업에 영업이익의 5% 이내 과징금을 부과하고 등록 말소까지 추진하는 내용 등을 담은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 中상무부, 한화오션 산하 美자회사 반제재 조치 발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번아웃 아니라더니…지예은, '활동 중단'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삼성의 통큰 결단…주가 오를수록 보상도 커진다(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MBK 국감 소환에 'PEF 긴장'…정책 리스크, 새 변수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의료AI 다크호스]"업무 효율·수익 동시에 UP"…와이즈AI, 성장 날갯짓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