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6·27 대책 통했다” 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뚝’
- 증가 규모 4조→2조…계절적 요인도 영향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효과 살펴야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6·27 대출 규제 시행과 비(非)이사철 수요 감소 영향으로 지난 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이 2조원대로 줄었다. 비은행권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증가규모도 1조원대에 그쳤다. 이에 더해 정부가 지난 10월 15일 내놓은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부동산 시장과 금융시장에 어떤 파급효과를 낼지도 주목된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70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8월 말보다 2조원 늘어난 수치다. 지난 6월 6조2000억원에 이르던 가계대출 증가폭은 6·27 대책 이후 7월 2조7000억원으로 줄었다가 8월 4조원대로 반등했지만, 9월에는 다시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932조7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조5000억원 늘었다.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 잔액은 236조6000억원으로 전월보다 5000억원 줄었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6·27 대책 영향이 이어진 데다 7∼8월 이사철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전세자금 수요가 적은 계절적 요인 등으로 증가 폭이 축소됐다”며 “기타 대출은 신용대출 한도 축소 효과가 지속되고, 분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영향까지 더해져 감소세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은행권뿐 아니라 비은행권을 포함한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도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1조1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폭이 전월 4조7000억원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고, 지난 3월 7000억원 이후 최소 기록이다
은행 가계대출은 2조원 늘었지만, 2금융권에서는 오히려 9000억원 감소했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3조6000억원 불었다. 다만 증가액은 8월 5조1000억원보다 1조5000억원 줄었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2조4000억원 급감했다. 올해 3월 3조원이 감소한 뒤, 최대 감소 폭이다.
한국은행은 정부가 지난 15일에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효과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수도권 15억원 초과 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기존 6억원에서 축소했다. 구체적으로 15억 초과~25억원 이하 주택은 4억원, 25억원 초과 주택은 2억원까지만 대출이 가능하다.
박 차장은 “최근 수도권 주택시장이 과열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반가운 소식이지만 아직 대책의 효과를 판단하기 이른 시점”이라며 “9월에 늘어난 주택 거래량은 2∼3개월 시차를 두고 주택구입용 대출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9월 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1360조1000억원으로 5조3000억원 늘었지만, 증가 폭이 8월8조4000억원보다 작았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 1조3000억원, 4조원 증가했다.
박 차장은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상환 등으로 기업 대출 증가 규모는 8월보다 줄었지만, 은행들이 기업 여신 확대 전략을 추진하는 데다 추석 자금 수요도 겹쳐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갔다”며 “앞으로 은행이 기업 여신 공급을 계속 늘리더라도 미국 관세 등 불확실성이 커 당분간 기업의 대출 수요가 큰 폭으로 확대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은행 수신(예금)의 경우 지난달 예금은행에서 31조9000억원 불었다. 수시입출식예금이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 등을 위한 법인자금 유입으로 35조5000억원 늘었다. 반대로 정기예금은 지방자치단체 재정 집행과 기업의 추석 자금 수요 등으로 4000억원 감소했다.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머니마켓펀드(MMF)가 28조원 급감했고 주식형펀드는 10조9000억원, 기타펀드는 11조5000억원 늘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통령실 “李대통령, 캄보디아 스캠 총력 대응 지시”…조속한 송환 등 합의(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수사반장' 故박상조, 투병 끝 사망…향년 79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10.15대책으로 비주택 LTV 40% 하향 없다…국토부·금융위 불통 탓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돈 없는 기업에 팔리는 드림어스…소액주주 ‘긴장’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자체 개발 100%"…한국유나이티드제약, 개량 신약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