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K-뷰티 허브’ 실리콘투, ‘모이다’로 유럽 공략 본격화 [진격의 K-뷰티]②
- 2분기 유럽 매출 1년 새 141.6% ↑…상반기 매출 비중 1위
오프라인 매장 통해 소비자 접점 확대…내년까지 50개 출점 목표
연평균 60% 성장…‘1조 클럽’ 진입 눈앞
실리콘투는 한국 화장품을 직매입해 수출하는 회사다. 국내 최대 화장품 역직구 플랫폼 ‘스타일코리안닷컴’을 통해 150개가 넘는 국가에 K-뷰티 제품을 유통한다. 미국 아마존 선케어 부문 1위에 오르며 ‘K-선크림’으로 인지도를 높인 ‘조선미녀’와 ‘에이피알 메디큐브’ ‘아누아’ ‘바이오던스’ ‘코스알엑스’ 등이 실리콘투를 활용해 해외에 제품을 판매한다.
K-뷰티의 인기에 힘입어 실리콘투의 실적은 고공 행진 중이다.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지난 2021년 1310억원이던 실리콘투의 매출은 ▲2022년 1653억원 ▲2023년 3429억원 ▲2024년 6915억원으로 연평균 60%가량 늘었다.
올해는 매출 1조원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실리콘투는 올해 매출 1조965억원, 영업이익 209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58.6%, 영업이익은 52.2% 오른 수치다. 지난 2020년 1000억원대였던 매출이 5년 만에 10배로 뛰는 셈이다.
실리콘투의 매출 성장에는 유럽 시장이 큰 역할을 했다. 실리콘투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유럽 매출액은 1073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전체 매출액인 2653억원의 절반 수준이다. 1년 전보다 141.6%, 전 분기 대비로는 32% 늘었다. 작년 매출 비중이 32%로 가장 컸던 북미를 제치고 올해 상반기 기준 매출 비중 1위(36.9%)로 올라섰다.
증권가는 3분기 실적도 유럽 매출이 견인할 것으로 예상한다. 삼성증권은 3분기 실리콘투 유럽 매출을 전년보다 180% 증가한 1201억원으로 전망했다.
이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영국의 ‘부츠’(Boots) 등 대형 유통사와 오프라인 도매상, 온라인몰·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채널 등에서의 매출이 고르게 성장 중”이라며 “각 고객사에 납품하는 브랜드 수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K-뷰티 쇼룸 ‘모이다’, 유럽 성장 거점
실리콘투가 유럽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데는 ‘글로벌 공급망 확장’과 ‘주요 유통사와의 협업’ 등의 전략이 주효했다.
실리콘투는 폴란드에 4000평 규모 물류센터를 세워 유럽 공급망 기지로 삼고 있다. 올해 초부터는 영국 ‘부츠’, 독일 ‘DM’, ‘더글라스’ 등 유럽의 주요 화장품 유통 채널에 K-뷰티 제품을 납품하며 유럽에서 실적이 빠르게 성장했다.
실리콘투가 직접 운영하는 K-뷰티 편집숍 ‘모이다’(MOIDA)가 향후 유럽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모이다’는 단순 판매 채널을 넘어 K-뷰티 쇼룸으로서 유동 인구가 많은 주요 상권에 자리 잡고 브랜드 홍보와 체험형 마케팅을 병행한다.
이 연구원은 “부츠 등 고객사가 미처 발굴하지 못한 잠재 인기 브랜드의 수요를 모이다 매장에서 직접 홍보하며 만들 수 있다”면서 “소비가 각 채널·국가별로 파편화된 유럽 시장의 고무적 성과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리콘투는 지난 6월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 인근에 모이다 매장을 열었다. 프랑스 첫 직영점이자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히는 전략적 거점 매장이다.
입점 브랜드는 ▲닥터엘시아 ▲아누아 ▲조선미녀 ▲코스알엑스 ▲메디큐브 ▲엑시스와이 ▲믹순 ▲퓨리토서울 ▲라운드랩 ▲바이오던스 ▲스킨1004 ▲브이티코스메틱 등 총 13개다. 향후 프랑스와 유럽에 진출하고자 하는 K-뷰티 브랜드를 계속 추가할 예정이다.
현재 유럽에 모이다 매장은 영국 런던 2곳, 프랑스 파리 1곳 등 총 3개다. 지난해 말 영국 런던 웨스트필드 런던 쇼핑몰에 모이다 1호점을 낸 실리콘투는 지난 3월 런던 쇼핑 중심가 소호에 두 번째 매장을 개점했다. 내년 상반기 중에는 이탈리아 밀라노에 오프라인 매장 1호점을 열 계획이다.
실리콘투 관계자는 “모이다를 플래그십 스토어 형태로 운영하면서 현지 고객과 주요 채널 사업자에게 K-뷰티를 소개하는 마케팅 및 판매 공간으로 활용하는 게 주요 전략”이라며 “유럽에서는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스위스를 최우선 지역으로 확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실리콘투는 내년까지 모이다 매장 약 50개 출점을 목표로 진출 지역을 검토 중이다. 실리콘투 관계자는 “대부분의 매출이 유럽 지역에서 나오는 상황이기 때문에 유럽을 중심으로 매장을 확대할 방침”이라면서 “물류센터를 세운 폴란드의 경우 내수 매출이 크지 않아 매장을 낼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실리콘투에 따르면 모이다 매장의 월평균 매출은 2~4억원 수준이다. 대부분의 매장이 손익분기점(BEP)을 넘겼다.
이승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높은 임대료와 인건비를 고려하면 실리콘투는 수익성보다는 브랜드 인지도와 K-뷰티 홍보 강화를 목적으로 모이다를 운영한다고 본다”며 “장기적으로 모이다가 ▲부츠 ▲세포라 ▲얼타뷰티 등 글로벌 유통사의 K-뷰티 입점 확대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고개 떨군 오타니, 3점포 맞고…결국 강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김종민, 드디어 2세 보나 "내년 2·6월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97분간 한중 정상회담…한화오션 제재 해제 기대감 '성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회삿돈으로 샴페인에 에펠탑 관광”…과기공 산하 VC 해외출장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동국제약, 차세대 DDS 거점 기지 건설...해외 공략 박차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