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테슬라, 미국 생산 차량 '노 차이나' 선언…미·중 갈등 속 공급망 대전환
- 중국산 부품 단계적 배제 방침 협력사에 통보
16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중 갈등 심화와 관세 부담 증가로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자, 올해 초 '미국 생산 차량에 중국 기반 공급업체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협력사에 통보했다.
일부 핵심 부품은 이미 다른 국가 생산품으로 대체됐으며, 향후 1,2년 내 나머지 부품에서도 모두 중국산을 제외하는 것이 목표로 전해졌다.
테슬라는 팬데믹 당시 중국 봉쇄로 공급망이 흔들린 것이 계기가 되어 미국 판매 모델에서 중국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을 지속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중국 협력사들에게 멕시코·동남아 등지에 별도 생산시설을 확보하도록 유도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와 불안정한 대중 통상정책까지 더해져 '중국산 부품 배제 전략'을 더욱 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 변동성이 심해지면서 차량 가격 전략 수립이 복잡해졌고, 중국이 네덜란드 반도체 기업 '넥스페리아' 관련 분쟁 속에 자동차용 칩 일부 수출을 차단하면서 공급 차질이 발생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중국은 칩·배터리를 포함한 주요 자동차 부품의 대규모 생산·수출국으로, 낮은 비용과 약세 통화는 글로벌 부품 가격 인하에 기여해왔다.
그럼에도 테슬라가 미국 시장에서 중국산 비중을 줄이는 이유는 관세·정책 리스크가 기술·가격 메리트보다 더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여전히 대체가 쉽지 않은 품목으로 꼽혀, 테슬라는 중국의 배터리를 대체하기 위해 2026년 1분기 가동을 목표로 미국 네바다주에서 자체 LFP 배터리 생산시설을 구축 중이다.
바이바브 타네자 테슬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미국 내 LFP 셀 생산을 추진 중이며, 중국이 아닌 공급망 확보에도 노력하고 있다"며 "하지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테슬라의 이번 조치는 미중 갈등 속에서 세계 공급망이 재편되는 흐름을 보여주는 사례로, 업계에서는 테슬라의 결정이 미국 완성차 업체 전반의 '탈중국' 움직임을 가속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시영 '비동의 임신' 요목조목 짚어 본 법적 쟁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남친 먹여 살려” 한혜진, ♥연하남과 결혼 골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섬뜩한 경고' 반도체마저 5년 후 중국에 추월 당한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원금보장·모험자본 공급…IMA 증권사, 두 마리 토끼 가능할까[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엘앤케이바이오,실적 상승세…매출 1000억 돌파 가능한 이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