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려면 주민들이 사업 운영에 직접 참여하는 사업모델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지속가능성장실 이지원 과장은 18일 오후 제주시 메종글래드 제주 크리스탈홀에서 열린 ‘BOK 지역경제 심포지엄’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지속 가능한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사업 발전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자체 에너지 전환 사업은 주민들의 동의를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재생에너지 설비는 주민 생활반경 가까이에 건설되기 때문에 주민들이 설비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추가적인 경제 보상을 요구하게 되고, 주민 동의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사업이 지연되거나 취소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한은 설문조사를 보면 이 같은 사업을 위해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간접 참여방식(채권형·59.7%)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직접 운영에 참여하는 지분형(24.1%) 수요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과장은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지분형이 장기적으로 지역발전, 지역 주민소득 보전·지방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운영참여권에 관한 잠재적 수요를 실수요로 전환할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은에 따르면 전력 가격 변동성 확대가 지분형 투자의 위험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시뮬레이션 모형 분석 결과 전력 가격 변동성 확대는 부채상환능력비율을 크게 악화시키고 내부수익률(IRR) 분포를 비선형적으로 확산시켜 투자 위험을 키웠다. 특히 과거 수준의 가격 변동성이 지속되는 기본 시나리오에서도 높은 확률로 지분형 투자자 배당 제한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과장은 “지분형 에너지 사업에 주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전력 가격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정부가 계획하는 대로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를 정부 주도 경쟁입찰로 전환하고 장기 고정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수익 변동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수익률이 떨어질 가능성이 큰 현재 상황에서는 기금·채권형을 활용하되 향후 제도 개선을 통해 수익 안정성이 확보되면 지분형 주민 투자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단계적 혼합모형을 도입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무치악 치료 디지털로 완전 전환"…레이, 레이이트레이 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두산맨' 박찬호, 단숨에 역대 유격수 몸값 2위 등극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엔비디아 전량 매도' 실리콘밸리 거물이 쓸어담은 종목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지스 인수 3파전 확전…국내 원매자 잇단 악재 변수되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AI 신약개발사 최고 성과...정부·삼성 점찍은 프로티나 뭐가 달랐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