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고물가, 고금리'에 기업 자금 사정 악화…"투자위축 넘어 생존 걱정"
- 생산비 증가→은행 대출 증가→고금리 이자→기업 자금난
자금운용 리스크 우려 이유 1위는 ‘대출금리 상승’

대한상공회의소 전국 217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최근 경제 상황 관련 기업 자금 사정’을 조사한 결과, 기업들의 자금조달 수단이 ‘은행·증권사 차입’(64.1%)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자금을 조달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4곳 중 1곳에 불과했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은행대출에 대한 기업 의존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전과 비교해 늘어난 자금조달 수단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64.4%의 기업이 ‘은행·증권사 차입’을 선택했다. ‘내부 유보자금 활용’(32.2%), ‘정부지원금’(17.0%) 등이라고 답한 기업이 뒤를 이었다. ‘주식·채권 발행’을 꼽은 기업은 3.3%에 불과했다.
실제 최근 회사채 발행 규모는 감소세다. 금감원 통계에 따르면 일반회사채 발행 규모가 올해 1분기 12조 9050억원, 2분기 8조 8975억원, 7~8월 4조 6135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채권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뜻이다.
기업의 단기채무 지급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현금흐름보상비율도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상황이 반영돼 1년 전보다 급락했다. 대한상의가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함께 897개 제조업 상장사의 분기별 현금흐름보상비율을 분석한 결과, 올해 2분기 현금흐름보상비율은 45.6%로 나타났다. 지난해 2분기 대비 43.8% 감소했다.
김현서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매출채권까지 포함시켜 산출되는 이자보상비율에 비해 현금흐름보상비율은 실제로 지급가능한 현금을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기업들의 감당 여력을 더욱 명확하게 보여준다”며 “고금리 추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앞으로가 더 걱정된다”고 했다.
자금운용상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73.3%)를 택한 기업이 가장 많았다. 고환율로 인한 ‘외화차입 부담 증가’(25.2%), ‘자금조달 관련 규제’(18.3%)가 문제라고 답한 곳도 있었다.
이같은 이유로는 ‘매출부진에 따른 현금흐름 제한’(63.7%), ‘생산비용 증가’(57.5%), ‘고금리 부담’(43.6%)을 꼽은 기업이 많았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지난 9월 대한상의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기업들이 손익분기를 고려해 감내할 수 있는 기준금리 수준이 ‘2.91’이었는데 이번 금리인상 조치로 감내수준을 넘어서게 됐다”며 “이제는 투자위축을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국내 경기상황을 고려한 통화정책과 단기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을 위한 정책자금 지원을 늘리고, 기준금리와 시중금리와의 갭을 줄이고, 자금조달 수단을 다양화하는 금융정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가로수에 칼 꽂아"…흉기 난동범 잡고 보니 '현직 경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영철, 라디오도 불참하고 응급실行..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내년 실업급여 하한액 月198만1440원…상한액 넘는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형인우 대표, "엔솔바이오 디스크치료제 美 임상3상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