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8월까지 159건…2019년부터는 총 781건 발생
업권별로 4년간 케이뱅크·NH투자증권·교보생명 최다
피해 추정액만 346억4137만원 달해

23일 금융감독원이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발생한 금융권 전산장애는 ▶은행 60건 ▶증권사 56건 ▶보험사 25건 ▶저축은행 10건 ▶카드사 8건 등 모두 159건이다.
금융권의 전산장애는 2019년 196건, 2020년 198건, 지난해 228건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781건이 발생했다. 이 기간에 은행에서는 275건이 발생했고, 이어 증권사 246건, 보험사 137건, 저축은행 66건, 카드사 57건 등으로 전산장애가 많이 발생했다.
지난 4년간 전산장애가 발생한 금융사를 보면 케이뱅크에서 34건 발생했고, 이어 신한은행 32건, 카카오뱅크 27건, 산업은행 25건, SC제일은행 23건, 토스뱅크 17건, 하나은행 16건, KB국민은행 15건, 수협은행·우리은행 14건 등이 발생했다.
특히 케이뱅크 전산장애는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7건, 2021년 14건, 올해 들어 8월까지 6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에서는 최근 4년간 신한저축은행과 OSB저축은행에서 전산장애가 각각 10건 발생했다. 보험사는 교보생명 18건, 증권사는 NH투자증권 22건, 카드사는 삼성카드 12건으로 각각 최다를 기록했다.
윤 의원실은 최근 4년간 전산장애로 발생한 금융권 피해 추정액이 346억4137만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 기간 키움증권의 전산장애 피해 추정액이 56억1557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은행의 경우 경남은행이 24억6000만원, 보험사는 하나손해보험 1억6469만원, 카드사는 비씨카드가 24억3117만원으로 피해 추정액이 컸다.
윤 의원은 “비대면 거래만 가능한 인터넷전문은행에는 시중은행보다 더 높은 수준의 전산 실력이 요구되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박진영-시진핑 만남, ‘한한령 해제’ 기대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조병규 40억 패소 ”학폭 인정 아니지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샤오미폰' 화면은 '한국 제품'…시진핑 선물 의미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회삿돈으로 샴페인에 에펠탑 관광”…과기공 산하 VC 해외출장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동국제약, 차세대 DDS 거점 기지 건설...해외 공략 박차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