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12

부동산 일반

지난해 서울 분양시장에서는 '로또 청약'으로 평가받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가 분위기를 이끌었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주변 시세 대비 높은 차익이 보장됐기 때문이다. 다만 올해는 전년 대비 7000가구 이상 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쏠림 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지난달 2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 25곳의 올해 분양 예정 물량은 전국 158개 사업장에서 14만6130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22만 2173가구)보다 34% 줄어든 수치로, 글로벌 금융 위기 여파로 물량이 급감했던 2010년(17만 2670가구)보다도 2만 6000가구 적다.강남3구의 분양 물량은 더 줄어들 예정이다. 지난해 1만2248가구가 공급되면서 서울 전체의 46%를 차지했으나 올해는 4899가구로 약 7359개가 감소한다.이렇다 보니 쏠림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1월 유일하게 분양을 앞둔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는 방배6구역 재건축 사업으로 지하 4층~지상 22층, 16개 동, 1097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그중 482가구가 일반분양으로 나온다. 예상 분양가는 전용면적 84㎡ 기준 22억 원으로, 인근 아파트 시세(22억~28억원) 대비 약 5억원 저렴한 수준이다. 반포3주구 재건축 단지인 '래미안트리니원'도 주목받고 있다. 2091가구 규모에 2026년 8월 입주 예정이다. 세화고·세화여고·세화여중 등 명문 학군이 가까워 '기숙사 단지'라는 별칭이 붙을 만큼 학군 수요가 높은 곳이다.잠원동 신반포21차 재건축 단지인 '반포더샵OPUS21'은 275가구 규모로 서울 지하철 7호선 반포역 초역세권에 자리 잡고 있다. 인근 메이플자이와 함께 상권과 교통이 뛰어난 곳으로 평가받는다. 송파구에서는 미성·크로바를 재건축한 '잠실르엘'이 내년 상반기 일반분양을 앞두고 있다. 최고 35층, 13개동, 1865가구로 조성된다.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신축아파트 선호 현상이 있는데 원하는 만큼 분양이 안되다 보니 신축 선호가 더 강화될 수 있다"며 "입지나 가격에 따라 양극화될 수 있다. 시세 차익이 기대되는 강남권 등 특정 단지 쏠림 현상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2025.01.03 15:59

2분 소요
무작정 주택 공급 약속…문제 지적되면 땜질 처방

정책이슈

서울 아파트값이 20주 연속 상승하고 있다. 지방에서는 미분양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지만 서울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시장 양극화의 기세는 멈추지 않을 듯이 보인다. 지난 8월 8일 정부는 서울 그린벨트를 해제하는 등 특단의 대책을 언급하며 주택 공급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서울 부동산 시장이 다시 과열되는 원인은 무엇인지 분석해 봤다.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가 심상치 않게 움직이면서 정부가 수도권에 향후 6년간 42만 가구를 공급하는 등 주택공급을 확대하겠다고 나섰다. 하지만 아파트 가격을 안정화할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 집값 상승세를 조기에 진화하지 못한 정부가 부랴부랴 공급을 늘리겠다는 방안을 발표하면서 기대 효과를 부풀리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상황은 다르지만 정부가 정책을 일단 던지고 본다는 점에서 문재인 정부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이런 행동이 서울 집값을 잡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지난 8일 발표한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방안(8.8 대책)’을 보면 서울과 인접한 지역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등을 풀고, 수도권 신규택지에 주택을 공급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8만 가구 공급, 재건축·재개발촉진법(가칭) 제정, 수도권 공공 신축매입주택으로 11만가구+α 공급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향후 6년간 서울과 수도권에 총 42만7000가구 이상의 주택과 신규택지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문제는 실효성 여부다. 정부는 비(非)아파트 시장을 정상화하겠다며 내년까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11만 가구를 신축 매입하겠다고 했다. 서울은 비아파트 공급 상황이 정상화될 때까지 무제한 매입하기로 했다. 11만 가구 중 최소 5만 가구는 분양전환형 신축매입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매입임대 중 구조와 입지가 좋은 주택을 저렴한 임대료로 최대 6년간 거주하게 한 뒤 임차인에 우선 매각하는 방식이다. 또 입주 및 분양 전환 비용은 주택도시기금에서 저리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다.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런 정책이 비아파트 시장을 어느 정도 안정시키는 효과는 있겠지만, 아파트를 중심으로 치솟는 부동산 가격을 잠재우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 거래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아파트 매매량은 23만 6374건, 전체 주택 매매량 31만 751건 중 76.1%를 차지했다. 깡통전세‧전세사기 등 주로 비아파트를 중심으로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가격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지면서 아파트로 쏠림 현상이 심화한 것이다. 재건축·재개발 촉진법 제정과 도시정비법 개정안 마련과 관련한 대안도 공염불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관련법을 추진할 수는 있지만, 최종적으로 국회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12년만에 그린벨트 해제, 집값 안정 효과는 미지수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를 풀어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정부와 서울시의 대책도 비판을 받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8일 성명서를 통해 “수십 년에 걸쳐 수도권에 대규모 주택을 공급해왔지만 결과적으로 집값을 잡지 못했다”며 “서울과 수도권 과밀을 부추기는 주택공급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수도권 허파인 그린벨트를 한 평도 훼손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노무현 정부 때도 판교와 위례 등 신도시 주택공급을 위해 그린벨트를 풀었지만 수도권 땅값이 요동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경실련은 “그린벨트는 도시의 무분별한 확산을 막고 생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국토를 미래 세대에 남겨주기 위한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며 “정부가 이제라도 그린벨트 해제 계획을 즉각 철회하고 제대로 기능하도록 관리를 강화하고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그린벨트를 풀어 저렴한 가격에 신규 분양하더라도 결국 집값이 오른 전례를 볼 수 있다”며 “대규모 임대주택을 확보하는 결단이 없다면 결국 일부 청약 당첨자들만 ‘로또’ 분양을 받는 것으로 효과가 끝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주택공급 계획과 실현 가능성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건 그동안 추진한 정책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지난 5월 1기 신도시(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 재건축과 선도지구 지정 등 정책이 제대로 추진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현재 집값과 재건축‧재개발에 필요한 비용, 향후 예상하는 가격 상승폭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할 때 분당을 제외한 나머지 4곳의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다. 정부는 1기 신도시 재건축에 따라 이 지역 주택 물량(순공급)이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사실상 분당에서만 재건축 사업이 진행되면 정부가 약속한 주택 공급 계획이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그러자 정부는 ‘8.8 대책’을 통해 재건축·재개발 촉진법의 내용을 분당 등 1기 신도시에도 적용해 정비사업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오는 11월에 '2만6000가구+α'(최대 3만9000가구) 규모의 선도지구를 지정하는 등 2029년까지 4만6000가구의 착공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대규모 재건축 사업이 진행될 경우 주민들의 이주 문제도 해결해야 하는데, 정부는 이런 방안도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했다. 국토부는 올해 1월 발표한 ‘1·10 부동산 대책’을 통해 내년부터 1기 신도시별로 1곳 이상 이주단지를 조성해 이주 수요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임대주택형 이주단지 조성에 대한 반대 여론이 커지고 3기 신도시 인근 주민들이 이주단지 조성을 달가워하지 않자 6개월이 채 지나기도 전에 이주단지 조성 계획을 사실상 철회하고 주민 선호부터 다시 파악하기로 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필요하다면 기존에 용도가 정해져 있는 땅을 용도 변경을 하거나 공공에서 새로운 소규모 개발 사업도 추가로 해 이주에 문제가 없도록 관리하겠다”면서도 “이렇게 해도 어려우면 이주시기를 조정하는 방식을 쓸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광수 광수네복덕방 대표는 “(주택가격이 오르는 원인에 대한) 진단이 잘못됐다. 그렇다보니 처방도 잘못나왔다”고 말했다. 최근 집값 상승의 원인은 수요 증가에 있는데, 정부가 ‘수요’를 억제할 대안을 내놓기보다 재개발‧재건축을 통한 ‘공급’ 확대에 방점을 찍었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정부는 집값을 떨어뜨리겠다며 재건축을 추진하겠다는데 이를 활성화 하려면 집값이 오른다는 기대가 있어야 한다”며 “집값을 떨어뜨리는 재건축을 찬성할 주민들이 어디 있겠느냐”고 말했다.

2024.08.16 10:00

5분 소요
‘선망의 대상’ 된 대한민국 아파트, 어떻게 진화했나

부동산 일반

건축법 및 동법 시행령 상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층 이상인 공동주택’을 나타내는 아파트는 국내에서 명실공이 주거형태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대한민국 특유의 아파트 선호 현상은 프랑스 지리학자이자 한국학 교수인 발레리 줄레조의 동명 서적 ‘아파트 공화국’으로 표현되며 최근에도 각종 통계에서 극명히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12월 부동산 거래 플랫폼 ‘직방’이 자사 어플(App) 이용자 1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내년에 주택매입 계획이 있다”는 응답자 중 대다수가 아파트를 매입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매입 의사가 있는 응답자 50.5%가 ‘기존 아파트’를 매수할 예정이었으며 ‘신규 아파트 청약’이 23.7%, ‘아파트 분양권·입주권 매수’가 9.9%를 차지했다. ‘연립·빌라 매입’은 9.9%에 그쳤다. 즉 ‘내 집 마련’ 의사가 있는 잠재적 주택 매수자의 약 84%가 아파트를 선호하고 있는 셈이다.2000년대 출발한 브랜드 아파트, 주거시장 장악 산업화와 도시화가 시작된 1960~1970년대 급증하던 도시인구에 주거시설을 공급하기 위해 도입된 아파트는 2000년대 초반 들어 본격적인 고급화의 길로 들어섰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침체된 건설, 주택 경기를 살리기 위해 정부가 각종 부동산 규제를 풀었기 때문이다. 2000년 분양가 상한제 폐지와 이어진 발코니 확장 합법화로 인해 국내 주택시장에는 ‘상품성’에 초점을 맞춘 브랜드 아파트가 탄생하기 시작했다. 이 시점부터 아파트는 ‘중산층 거주지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래미안’, ‘자이’부터 ‘푸르지오’, ‘e편한세상’, ‘아이파크’, ‘롯데캐슬’, ‘힐스테이트’ 등 현재 전국 주택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브랜드는 이때부터 생겨났다. 국내 건설사들은 분양가 규제 폐지에 발맞춰 높은 공급가격을 매긴 아파트를 판매하기 위해 고급화 브랜드를 내놓고 광고에 유명 연예인을 출연시키기 시작했다. 발코니 확장 설계와 주민공동시설 또한 적극 선보였다.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같은 전용면적 기준 한 가구의 실사용 면적은 커졌고 지하주차장이 조성되면서 지상공간은 어린이놀이터뿐 아니라 조경, 커뮤니티 시설이 차지하게 됐다. 특히 저층 주택가에 부족한 놀이시설과 녹지, 보안은 신축 브랜드 아파트의 차별점으로 부상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온 가족이 단칸방에 사는 가정이 많았던 시절에는 소형 면적에도 방이 따로 있는 주공아파트, 시영아파트가 획기적인 주거형태였지만 여유가 있는 가정은 1990년대까지도 여전히 단독주택을 선호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2000년대 규제완화를 거치며 강남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아파트 상품들이 고급화됐고 편의성 또한 좋아 아파트 선호도가 급격히 높아지는 계기가 됐다”고 덧붙였다.잘 살수록 아파트 거주, 주거계급화 극명2010년대 들어 대형 건설사들은 강남권을 중심으로 한 재건축, 재개발 등 핵심 정비시장 수주를 위해 기존에 자사가 보유한 주거 브랜드보다 한 차원 높은 하이앤드 브랜드를 탄생시켰다. DL이앤씨가 ‘아크로’, 대우건설이 ‘푸르지오 써밋’을 선보인데 이어 현대건설이 ‘디에이치’, 롯데건설이 ‘르엘’을 내놨다. 2016년 입주한 서초구 반포동 소재 ‘아크로 리버파크’가 3.3㎡(공급면적 기준) 당 1억원 신화를 쓰며 아파트는 부의 상징으로 진화했다. 한강조망이 보이는 스카이라운지와 조식서비스 등도 화제가 됐다. ‘도심 속 타운하우스’ 형태로 설계된 용산구 ‘한남더힐’은 아예 분양가 규제를 피하기 위해 임대 후 분양 방식으로 공급됐다. 실제 임대 후 분양 전환된 한남더힐은 지난해뿐 아니라 부동산 경기가 침체된 올해에도 100억원 대 거래가 나와 부유층 대상 하이앤드 아파트로 평가되고 있으며, 유명 연예인은 물론 구광모 LG그룹 회장과 정기선 HD현대 사장 또한 주민으로 알려져 이 같은 평가를 뒷받침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매년 발표하는 ‘주거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등락을 거듭하던 소득분위 9~10분위에 속하는 고소득층의 아파트 거주 비율은 2014년 76.2%를 기록한 뒤 2021년까지 70% 중반 대를 유지하고 있다. 소득 1~4분위 저소득층의 아파트 거주 비율은 고소득층 절반 수준인 30% 대를 기록하고 있다. 각 가구 당 주거면적으로 보면 아파트 거주 여부에 따른 주거 양극화 현상을 더욱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국토연구원 조윤지 연구원이 발표한 ‘주거실태조사를 통해 본 최근 10년간 주거양극화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비교적 넓은 집에 사는 주거면적 상위 20%가구 중 아파트에 사는 비중은 2008년 53.6%에서 10년이 지난 2018년 63.2%로 높아졌다. 반면 주거면적 하위 20%의 아파트 거주 비율은 2008년 22.9%에서 2018년 15.5%로 낮아졌다. “아파트 주민은 좁은 데 모여 사는 것”이라는 통념을 깬 결과다. 같은 기간 비싼 집에 사는 주택가격 상위 20%의 아파트 거주 비중도 68.3%에서 77.5%로 높아졌다. 그동안 젊은 1인가구가 늘고 집값이 급등하면서 아파트의 상대적인 고급주택화 현상을 더욱 부채질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 연구원은 “주거면적 상·하위가구 간 격차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오피스텔, 고시원 등 주택 이외의 거처가 증가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2023.07.01 07:08

4분 소요
‘9년여 만에 최저’ 내년 민영아파트 분양 25만여가구

부동산 일반

내년 전국에서 25만여가구의 민영아파트를 공급할 예정이다. 내년 민영아파트 공급량은 2014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부동산R114가 연합뉴스와 공동으로 2023년 민영아파트(민간분양+민간임대) 분양계획을 조사한 결과 전국 303개 사업장에서 총 25만8003가구가 분양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민영아파트 분양가구수는 계획물량 기준으로 2014년(20만5327가구) 이후 가장 적고, 올해(41만6142가구)와 비교하면 38% 감소한 수준이다. 월, 반기 등 시점과 지역을 확정하지 않은 5만여 가구는 계획물량에서 제외했는데, 이를 포함하더라도 최근 2년에 비하면 절대적으로 적은 물량이다. 부동산R114는 경기 둔화와 미분양 우려로 분양물량을 축소 계획하거나 아직 사업계획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는 건설사들이 상당수기 때문에 내년에는 민간의 주택공급이 부진한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민영아파트 분양시장은 계획물량(41만6142가구)의 73%인 30만4142가구(예정물량 포함)만 실적으로 이어졌고 일부는 2023년으로 이월했다. 수도권에서는 계획물량(20만2016가구)의 68%인 13만8826가구가 공급된 가운데 서울, 경기, 인천 모두 계획에 못 미치는 실적을 기록했다. 서울의 민영아파트 분양실적은 2만7048가구로, 연초 계획물량(4만8589가구) 대비 55% 수준에 그쳤다. 지방은 계획물량(21만4126가구)보다 4만8810가구 적은 16만5316가구로 조사됐다. 부산·광주·대구 등 광역시에서 실적이 저조한 반면 전남·강원·전북 등은 계획보다 많은 물량을 쏟아냈다. ━ 올해 분양계획 중 31%, 내년으로 이월 올해 초 분양 조사한 계획물량(41만6142가구) 중 31%에 해당하는 13만1756가구를 2023년으로 이월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은 6만1106가구(46%), 지방은 7만650가구(54%)이다. 서울 송파구 ‘잠실진주재건축’ 2678가구, 경기 광명시 ‘광명5R구역’ 2878가구, 성남시 ‘성남중1구역’ 1972가구 등은 2023년에 공급할 전망이다. 다만 금리 인상,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에 실제 실적으로 이어질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부동산R114는 분석했다. 올해 민영아파트 월별 분양물량을 살펴보면 12월(4만5361가구)에 가장 물량이 많았으며 10월(3만2672가구), 11월(3만2163가구) 순으로 4분기에 밀어내기 분양에 나서면서 분양물량이 가장 많았다. 2023년은 3월(3만4392가구), 2월(2만5620가구)에 전체물량의 약 28%를 계획하고 있다. 9월은 보통 가을 성수기로 꼽히지만 추석이 끼어 있어 예정물량이 7257가구로 많지 않다. 분기별로는 ▶1분기 8만2001가구 ▶2분기 5만5577가구 ▶3분기 3만9270가구 ▶4분기 3만6747가구 ▶시점 미정 4만4408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내년 권역별 분양 예정물량은 수도권 11만6682가구(45.2%), 지방 14만1321가구(54.8%)다. 수도권에서는 경기가 7만521가구로 가장 많고 ▶서울 2만7781가구 ▶인천 1만8380가구 순으로 조사됐다. 지방에서는 부산이 2만7661가구로 가장 많은 분양예정 물량이 몰려있다. ▶대구 1만5435가구 ▶경남 1만4656가구 ▶충남 1만4442가구 ▶광주 1만2937가구 ▶충북 1만2771가구 ▶대전 1만686가구 순으로 집계됐다.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택 대기수요가 적은 데다 미분양이 적체되는 지역이 많기 때문에 상당수의 사업지에서 공급 시기를 조정할 것이라고 부동산R114는 예상했다. 내년 분양계획 물량은 유형별로 자체사업(도급 포함)을 통한 분양물량이 총 10만9532가구(42%)이고, 재개발·재건축 아파트의 비율은 전체 분양예정 물량의 약 48%(12만5065가구)를 차지한다. 정비사업 물량으로는 서울에서는 서울 동대문구 ‘래미안라그란데(이문1구역)’ 3069가구, ‘휘경자이디센시아(휘경3구역)’ 1806가구, 은평구 ‘대조1구역’ 2083가구 등이 있다. 경기 지역에선 광명시 ‘광명1R구역’ 3585가구, ‘베르몬트로광명’ 3344가구, 안양시 ‘안양뉴타운맨션삼호’ 2723가구, 파주 운정 1556가구, 인천 검단 5971가구, 용현학익 도시개발 ‘시티오씨엘6단지’ 1734가구, ‘시티오씨엘7단지’ 1478가구 등이 예정돼 있다. 지방에선 부산 남구 ‘대연3구역’ 4488가구, 남구 ‘우암1구역’ 2205가구, 광주 북구 ‘운암3구역’ 3214가구 등이 공급 계획 중이다. ━ 내년 분양시장, 금리 인상과 가격 하락에 양극화 심화 시공능력평가 상위 5개 건설사의 2023년 계획 물량은 7만5106가구로 2022년 계획(11만337가구)에 비해 68% 수준으로 집계됐다. 건설사별로 현대건설이 2만1126가구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GS건설 2만1000가구 ▶포스코건설 1만3453가구 ▶삼성물산 9971가구 ▶DL이앤씨 9556가구 순이다. 서울 서초구 ‘래미안원페를라(삼성물산)’ 1097가구, 경기 광명시 ‘철산주공 10,11단지(GS건설) 1490가구, 부산 동래구 ‘사직1-6지구(현대건설)’ 1090가구 등이 있다. 올해 분양시장은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매수세가 크게 위축된 한 해였다. 고금리, 고분양가, 집값 추가 하락 우려감이 맞물리면서 청약시장에서 이탈하는 수요자가 늘었다. 미분양 위험성이 커지면서 정부가 청약 당첨자에 대한 기존주택 처분기한 연장, 중도금 대출 보증확대 등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방위적인 규제 완화책을 발표했다. 최태순 부동산R114 빅데이터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규제 완화에 따라 알짜입지, 가격 경쟁력이 있는 상품에 대해 청약 수요자들에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며 “수요자들이 선별청약에 나서면서 입지 열위 및 공급과잉 지역은 미분양 적체 우려도 커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최 연구원은 “내년 분양시장은 분양가·규모·입지 등에 따른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2022.12.26 15:59

4분 소요
올해 청약 경쟁률 7.7대 1 기록…지난해 절반 수준에 그쳐

분양

올해 분양시장은 높은 대출 이자 부담과 분양가 상승, 집값 추가 하락 우려 등으로 청약 경쟁률이 평균 7.7대 1을 기록했다. 지난해 (19.8대 1) 비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청약 불패를 이어가던 서울에서 초기 분양률 100% 기록이 깨졌고, 공급과잉 및 가격 하락폭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미분양 리스크가 커지는 분위기다. 정부가 11월부터 서울과 과천, 성남 분당·수정, 광명, 하남을 제외한 전국 규제지역을 모두 해제하고 무순위 청약 거주지 요건을 없애는 등 규제 완화에 나서고 있지만, 일부 지역 및 단지를 제외하면 분위기 반전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2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의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7.7대 1을 기록했다. 지역별로 세종(49.6대 1), 부산(37.2대 1), 인천(16.1대 1), 대전(12.3대 1) 순으로 높았고,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지역은 전무했다. 일반분양에 나선 384개 단지 가운데 175곳(45.6%)에서 미달이 발생했다. 경쟁률이 높았던 아파트에서도 당첨 후 계약 포기 사례가 속출했다. 당첨자들의 가점 평균도 크게 낮아졌다. 올 1월부터 12월 14일까지 집계한 전국의 민간분양 아파트의 당첨가점 평균은 지난해 34점에 비해 13점 하락한 21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3개 단지(래미안원베일리, 힐스테이트초월역, 오포자이디오브)에서 만점(84점) 당첨자가 나왔던 것과는 다르게 올해 최고 당첨가점은 79점에 그쳤다. 올해부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3단계를 조기 시행했고, 연이은 금리 인상으로 금융비용 등 가격 부담까지 커지면서 청약 수요가 급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도금 대출 가능 여부도 청약 성적에 영향을 미쳤다. 올해 10월까지 서울에서 9억원 이하로 분양한 아파트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42.3대 1로, 9억원 초과(14.9대 1)에 비해 3배 정도 높았다. 올 한해 전국에서 39만6216가구(예정물량 포함)를 공급했다. 분기별로는 ▶1분기 9만9382가구 ▶2분기 7만691가구 ▶3분기 8만3238가구 ▶4분기 14만2905가구를 분양했다. 내년 경기 악화를 우려한 건설사들이 더는 공급을 미룰 수 없다고 판단해 연말 밀어내기 분양에 나서면서 4분기 가장 많은 물량이 풀렸다. 서울은 1만2032가구의 올림픽파크포레온을 비롯해 장위자이레디언트(2840가구), 강동헤리티지자이(1299가구) 등 대단지 분양이 몰리면서 올해 공급물량 2만7964가구 가운데 2만899가구(75%)가 4분기에 공급됐다. 경기, 광주, 경남 등지에서도 연말 분양물량을 쏟아내는 분위기다. 여경희 부동산R114 리서치팀 수석연구원은 “이 같은 밀어내기 분양은 입지 우위 지역 등 사업성이 좋은 아파트를 위주로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그 외 분양을 앞둔 상당수 사업지에서는 미분양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을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정부가 청약 규제를 완화했지만 고금리, 고분양가로 가격 부담이 커진 만큼 수요자들은 청약 통장 사용에 신중을 기할 전망이다. 내년 분양시장은 가격 수준에 따른 청약 온도차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재건축·재개발 아파트는 조합의 수익성 확보를 위해 일반 분양가 수준을 높게 책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중도금 대출 가능 여부가 청약 성패에 주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도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해 가격 경쟁력이 있는 공공분양 아파트는 입지 여건에 따라 수요자들의 관심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주택공급은 미분양 리스크 확대로 민간 사업이 위축되면서 공공이 주축이 되는 사업이 상대적으로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금 조달이 상대적으로 원활한 대형 건설사의 브랜드 아파트를 중심으로 공급이 이뤄지거나 미분양을 막기 위해 유리한 계약조건을 내건 분양단지들도 늘어날 전망이다. 여 수석연구원은 “수분양자들은 혜택을 적극 활용하면서 자금력과 입주 후 가치 상승 여부까지 고려한 옥석 가리기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2022.12.21 07:47

3분 소요
“둔촌주공도 미달 우려인데” 마포 분양가 1평당 4000만원 넘어

부동산 일반

‘강남4구’라고 불리는 서울 강동구의 둔촌주공 재건축 ‘올림픽파크포레온’의 특별공급 일부 전형서 미달이 발생한 가운데, 비강남권 가운데 처음으로 1평(3.3㎡)당 일반 분양가가 4000만원을 넘는 단지가 나와서 관심이 모아진다. 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마포구 분양가심의위원회는 최근 마포더클래시 일반분양가를 3.3㎡당 4013만원에 의결, 승인했다. 마포더클래시는 아현동 내 유일한 재건축 단지(아현2구역)로 SK에코플랜트와 HDC현대산업개발이 컨소시엄으로 시공했다. 아현동 662번지 일대에 위치한 마포더클래시는 지하 5층~지상 25층, 17개 동, 1419가구 규모로 이중 53가구가 후분양되며, 입주 기간은 내년 2월 5일까지다. 책정된 분양가를 적용하면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면적 84㎡ 가격은 13억원대다. 이는 업계에서 전망한 시장예상 분양가를 크게 웃도는 금액이다. 업계에서는 당초 이 단지 84㎡ 분양가를 9억원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합원분양가는 3.3㎡당 1900만원대로 84㎡ 기준 6억원대의 낮은 금액으로 책정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합 측에서 입지가 마포구라는 점과 일반 분양 가구 수가 적다는 점, 즉시 입주가 가능한 환경 등을 이유로 1평당 4000만원 수준의 분양가를 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84㎡ 기준 13억원대의 높은 금액이 승인되자 논란이 불거졌다. ━ 강북 마포더클래시, 강동 둔촌주공보다 3.3㎡당 184만원 많아 입지가 가장 큰 장점으로 떠오른 올림픽파크포레온도 3.3㎡당 3829만원에 일반분양가가 책정돼 집값이 급락한 인근 송파구 아파트와 비교해 고분양가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강북권에 위치한 마포더클래시는 이와 비교해 3.3㎡당 무려 184만원이 높은 가격이 책정되자 고분양가 시선이 나온 것이다. 특히 올해 분양시장 최대어로 꼽힌 올림픽파크레온마저 흥행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단지의 청약 첫날 경쟁률이 ‘기대 이하’라는 평가가 나오면서 분양시장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어서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5일 둔촌주공 특별공급 청약에서 1091가구 모집에 3580명이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 경쟁률은 3.28대 1이다. 일부 전형 경쟁률은 1대 1을 밑돌기도 했다. 다자녀 가구 대상으로 나온 49㎡ 62가구에 45명이 신청했다. 39㎡ 신혼부부 전형 301가구에 90명, 같은 면적 노부모 부양 34가구에 5명, 기관추천 115가구에 28명씩 신청자 수가 각각 집계됐다. ‘청약불패’라고 불리는 서울 분양시장은 올해 들어 냉 기운이 감돌고 있다. 강북의 일부단지 청약에서 미달이 나왔지만, 한 때 강남 4구로도 불렸던 강동구의 대장 아파트에서 미달이 나오자 업계도 놀라는 모양새다. 물론 이번에 미달이 나온 소형 면적은 주변 시세보다 비싼데다 물량까지 많아 성적이 부진했다는 평가다. 하지만 인기가 높을 것으로 보이는 전용 84㎡는 중도금대출마저 불가한 상황이라 안심할 수 없다. ━ 둔촌주공 특공 일부 전형 미달…분양 시장 긴장 마포더클래시도 아직 입주자 모집공고 전으로 분양가에 변동이 없을 경우 전용면적 84㎡는 13억원대로 중도금 대출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마포더클래시와 올림픽파크포레온 모두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로, 입주 가능일로부터 2년간 의무적으로 실거주해야 한다. 아파트 잔금이 부족할 때 전세를 놓는 방식으로 분양가를 충당할 수 없다는 의미다. 전매제한 8년과 재당첨 제한 10년 규제도 적용 받는다. 다만 마포더클래시가 흥행에는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비강남권에서 처음으로 3.3㎡당 4000만원을 돌파하는 높은 일반분양가가 책정됐으나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기 때문이다. 마포구 대장주라고 불리는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전용 84㎡은 최근 17억원대에 거래 중이다. 업계에서는 고분양가 논란에 대해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공사비 등이 분양가에 현실적으로 반영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은형 대한건설 정책연구원은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로, 최근 2년 동안 꾸준히 이슈가 되고 있는 자재가격 등 공사비 상승 요인 등이 분양가에 반영한 결과로 보면 된다”며 “저값에 팔리느냐 안팔리느냐도, 결국은 시장수요에 맞춰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MD비즈니스학과)는 “분양시장에서 고분양가가 나오는 이유는 결국 인건비의 상승, 건축 자재의 상승, 금리의 인상 이런 것들이 원인이 돼서 나타나고 있다”며 “마포도 강남에 버금가는 도심 지역이기 때문에 건설사 입장에서는 전략적으로 비용 증가를 분양가로 반영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입지가 좋은 곳은 그래도 청약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겠지만 입지가 나쁜 곳들은 청약 성적이 저조한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다”고 예상했다. 이승훈 기자 wavelee@edaily.co.kr

2022.12.06 16:55

3분 소요
[주거 트렌드 변천사 살펴 보니] 2010년대 핵심 키워드는 ‘소형·월세’

산업 일반

피데스개발, 10년 간의 ‘주거공간 7대 트렌드’ 분석… 틈새 주택형 상품 등 각광 받을 듯 팔리지 않아 주택건설업체의 골칫거리였던 저층은 언제부터, 왜 주택 수요자에게 인기를 끌기 시작한 걸까. 성냥갑을 세워둔 것 같았던 판상형 아파트는 언제부터 입체감 있는 타워형 아파트로 바뀌기 시작했을까. 예전에는 같은 조건이라는 큰 집이 인기였는데 언제부터, 왜 작은 집이 더 인기를 끄는 걸까….그동안 주거 트렌드는 변화에 변화를 거듭해왔다. 인구 감소와 핵가족화에 따른 가구 분화, 소득 3만 달러 시대 등 주거 외적인 요소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주거 트렌드도 급격한 변화를 맞은 것이다. 여기에는 주택이 더는 자산 증식이나 단순히 잠을 자는 공간이 아니라 평생을 살아가야 하는 안식처, 개개인 삶의 가치를 결정하는 공간이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는 영향도 있다. 물론 주택건설기술의 발전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 2000년대 말 핵심 트렌드는 ‘절약’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떨까. 부동산개발회사인 피데스개발에 따르면 향후 1~2년 내 주택시장에서는 ‘틈새 주택형’과 이른바 ‘아파텔(주거형 오피스텔)’ 등 대안 상품이 주류로 떠오를 전망이다. 지금까지 이들 상품은 말 그대로 비(非)주류, 틈새 상품에 불과했다. 찾는 사람도 많지 않았고, 따라서 공급 물량도 많지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들 상품이 주택시장을 선도하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피데스개발은 2008년부터 매년 한국갤럽과 공동으로 미래주택 설문조사와 전문가 세션, 소비자 간담회 등을 토대로 ‘주거공간 7대 트렌드’를 선정해 발표해왔다. 2008년 발표한 ‘2009년 주거공간 7대 트렌드’를 시작으로 지난해 말 내놓은 ‘2018~2019 주거공간 7대 트렌드’까지 모두 8차례다. 최근에는 이걸 한 데 묶은 자료집을 발간했는데, 자료집을 따라 지난 10년 간 주거공간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따라가 봤다.2000년대 주택시장은 급등했다가 급락하는 등 롤러코스터 움직임을 보였다.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표면화하면서 2006년 전후로 집값이 급등했지만, 2008년 터진 세계 금융위기로 집값이 급락하기도 했다. 불황의 여파는 주거공간에도 영향을 미쳤다. 2009년 주거공간을 관통했던 키워드는 ‘절약’과 ‘축소’였다. 아끼고(실속소비 경향), 줄이고(규모 축소 경향), 맞춤(맞춤선택 경향) 공간이라는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된 것이다. 주택건설회사는 수납공간을 극대화하기 위해 세면대 아래나 세면대 거울 뒷면, 상부 선반 등 구속구석을 활용했다. 에너지 절약을 위해 태양광 발전시스템 외에도 전기를 적게 쓰는 LED(발광다이오드) 조명이 쓰이기 시작했다. 주부의 발언권이 커지면서 주방이 넓어지고, 주방 내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가계부를 정리할 수 있는 ‘맘스 데스크(mom’s desk)‘가 등장하기도 했다. 딩크족(자녀를 두지 않는 맞벌이 부부)·통크족(자녀의 부양을 거부하고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노인세대) 등 라이프스타일이 세분화함에 따라 ‘맞춤형 공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기 시작했다.2010년대 들어서는 건강과 여가가 주거공간의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집이 단순히 쉬는 곳에서 적극적으로 몸과 마음을 돌보는 케어센터로 진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아파트에 살균옷장·살균신발장·적외선체온감지기 등이 등장한 것도 이 이즘이다. 남자들이 주거공간에 대한 관심과 참가가 늘어나면서 남성 중심의 인테리어와 설계 등이 인기를 끌기도 했다. 소형 주택에 대한 관심이 생기기 시작한 것도 2010년대 들어서다. 2000년대부터 이어진 1~2인 가구 증가세가 더욱 가팔라지면서 원룸형 등 초소형 주택이 인기를 끌기 시작한 것이다. 서울의 경우 시의 ‘연도별 가구원 유형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1인 가구는 2007년 138만4921가구에서 2011년 151만800가구로 4년 새 9.1% 증가했다. 같은 기간 2인 가구와 3인 가구는 각각 8.2%, 1.8% 늘어난 반면 4인 가구는 감소했다. 5인 이상 가구도 2007년에 비해 5.1% 줄었다.이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는 주거 공간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소형 주택의 대표주자였던 오피스텔과 도시형생활주택의 인기가 정점을 향해 달려갔고, 소형 아파트값도 치솟기 시작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012년 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주택 면적별 집값 상승률은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이 6.2%로, 같은 기간 중소형(전용면적 60~85㎡ 이하) 상승률(0.1%)을 크게 앞선다. 이런 분위기는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2015년 1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면적별 아파트값 상승률은 소형이 22.19%로 가장 높고, 중소형이 19.83%로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대형 아파트값 상승률은 13.82%에 그쳤다. 김희정 피데스개발 R&D센터 소장은 “1~2인 가구 증가로 인한 ‘강소주택(强小住宅)’ 현상은 2010년대 주거공간을 정의할 수 있는 핵심 키워드”라며 “저출산과 고령화 등으로 강소주택 현상은 앞으로도 주거공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개발 활발 2010년대 또 하나의 트렌드는 재개발·재건축으로 대변되는 ‘도시재생’이다. 서울 강남권 재건축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이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달동네 판자촌 정비사업으로 대표 됐던 도시재생사업(1970~80년대)을 ‘도시재생 1.0시대’라고 본다면, 저층 노후 아파트 중심의 도시재생사업(1990~2013년)인 ‘도시재생 2.0시대’를 지나 도시재생사업의 전환기로 접어든 ‘도시재생 2.5시대’가 본격화한 것이다. 강남구 압구정동 등지가 본격적으로 재건축 사업에 착수했고, 서울 강북권에서는 한강변 등지를 중심으로 대규모 재개발 사업이 봇물을 이뤘다. 또 작은 면적의 주택 한 채를 중대형 한 채로 확대하던 기존의 도시재생 패러다임에도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법령 개정 등으로 이른바 ‘1+1’ 재건축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 중대형 한 채를 중소형 두 채로 개발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은퇴 후 노후자금이 필요한 사람은 소형 주택 한 채와 현금을 받을 수 있었다.취직을 위해 대학생이 스펙 쌓기를 하듯 집·아파트도 스펙 쌓기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면접자들이 지원자의 스펙을 확인하고, 주부가 식품을 구매할 때 인증마크를 확인하듯 주택을 구매하거나 전세계약을 할 때 주거공간의 스펙을 확인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친환경주택인증, 녹색건축인증, 에너지효율등급인증, 우수주택인증, 공동주택 차음성능 등급, 우수디자인인증, 금연아파트인증 등이 대표적이다. 층간소음으로 시작된 등급제가 주거공간에 광범위하게 적용돼 주거공간의 성능 평가 잣대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에는 관할기관이나 지자체의 기준 강화뿐만 아니라 주민 자발적 지정 신청 증가에 따라 집 스펙도 점점 확대되고 보편화해 갔다.임대시장에 월세가 본격화하면서 수익형 부동산이 부동산 시장에서 주연으로 급부상한 것도 2010년대의 주요 특징 중 하나다. 주택시장이 전월세 시장에서 월세시장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한 것이다. 주거공간이 상업용 부동산 상품으로 거듭났고, 이에 따라 기업형 뉴스테이나 준공공임대주택 등이 생겨났다. ‘5060 투자자, 2030 세입자’ 공식도 파괴되며 2030세대도 오피스텔 등 소형 주택 투자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팀장은 “주택 공급 부족으로 전셋값이 치솟는 와중에 금융당국의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월세시장이 급속도로 확대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 주거공간이 인공지능·사물인터넷 전초기지로 올해와 내년은 어떤 요소가 주거공간의 변화를 이끌까. 피데스개발은 올해와 2019년 주택시장에 미칠 4가지 주요 요인으로 ▶주택 관련 제도 및 부동산 정책 변화 ▶강남발 도시재생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요소 상용화 ▶한반도 상황을 꼽았다. 특히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청약가점제 확대, 금리 인상 등 주택시장을 둘러싼 정책과 환경이 크게 변해 수요자들이 여러 대안을 마련하고 이 같은 대안이 주류가 되는 ‘옵션B 전성시대’가 향후 2년 간 주택시장의 주요 트렌드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김 소장은 “주택시장에 대한 규제가 이어지고 정책이 빠르게 바뀌고 있지만 수요자들은 이를 피한 대체시장을 만들어내고 결국 이 같은 상품들이 주류로 떠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피데스개발 조사에 따르면 ‘현재 투자하고 있는 부동산 상품’ 항목에 대한 응답에서 아파트와 상가, 오피스텔 등이 아닌 토지와 오피스가 새로 등장하기도 했다. 신규 분양시장에서는 청약가점제로 당첨이 어려운 수요자들이 몰리면서 전용면적 84㎡를 초과하는 중형 틈새상품, 아파텔 등 대안 상품이 주류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했다.또 주거공간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의 전초기지가 되는 ‘플랫홈’ 현상도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집이 단순한 물리적인 공간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으로 편리한 삶을 지원하는 공간이 된다는 것이다. 나홀로 족과 더불어 욜로(YOLO·현재를 즐기는 라이프스타일) 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주거 공간에서도 ‘횰로(나홀로 욜로)’ 공간이 각광받을 전망이다. 회사 측은 “향후 2년간 주거 공간은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예전보다 큰 폭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 김승배 피데스개발 사장 - “주택시장 양극화 더 빨라지고 더 심해진다” “부동산 개발, 특히 주거공간 개발은 긴 시간 많은 공을 들여야 합니다. 한 번 만들어지면 30년, 50년 이상 소비자의 삶을 닮아내는 그릇이 되고, 치열한 인생 행로의 베이스캠프이자 라이프스타일센터입니다. 그만큼 디벨로퍼의 사회적 역할이 중요한 거죠.”부동산개발회사인 피데스개발이 2008년부터 ‘주거공간 7대 트렌드’를 선정해 발표한 이유다. 김승배 사장은 “시대와 문화, 소비자 니즈(needs) 변화를 관찰하고 연구해 트렌드를 찾아내고, 이를 실제 개발사업에 적용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려고 애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그와 피데스개발이 추구하는 부동산개발 방향은 수익이 아니라 사람이고, 개발자 중심이 아니라 소비자 중심이다.“(주거공간 7대 트렌드는) 처음 몇 년 간은 매년 선정해 발표했고, 이후 몇 년은 2년에 한 번씩 선정해 발표하고 있습니다. 2010년대 초반만 해도 사회가 급속히 변화하면서 주거공간 역시 숨 가쁘게 변화해 왔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변화의 텀이 길어지기 시작했어요. 그러다 다시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최근 1년 간 너무 많은 게 바뀌고 변했어요.”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주택시장을 숨가쁘게 몰아치고 있다는 얘기다. 그는 “앞으로 사람이 몰리는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차별화(양극화)가 더 빨라지고 심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국내 부동산시장에서는 (차별화보다는) 양극화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쓰는데, 양극화는 평준화를 전제로 한 부정적인 표현”이라고 전제한 후 “미국·일본·유럽 등 세계 어느 나라를 봐도 부동산시장에서 평준화는 찾기 힘들다”며 “도심과 비(非)도심의 격차는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서울 등 일부 대도시의 집값이 뛰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정부는 이를 일부 투기 세력에 의한 왜곡된 현상으로 보고 있다. 그 증거가 초과이익환수제 등 서울 강남권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각종 규제다. 김 사장은 “인구가 5000만 명인 나라에서 일부 세력에 의해 시장이 왜곡된다는 것은 있을 수도,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라며 “주택시장을 안정화하려면 지금이라도 정부가 시장을 바라보는 시선에 변화를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2018.07.29 16:21

7분 소요
[문재인 정부 1년 경제정책 평가해보니] 소득주도 성장 정책 효과 미미 지적

정책이슈

세계 경제성장률과 격차 벌어져...산업 경쟁력 강화, 규제 완화도 부족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문재인 정부 1년 간 시행된 경제 정책 중 최악의 정책으로 꼽혔다. 이와 달리 ‘갑질 근절 등 공정거래 정책’은 최고의 정책으로 선정됐다. 중앙일보가 경제 전문가 40명을 대상으로 지난 1년 간의 경제 정책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다. 조사 결과 ‘최저임금 급격 인상’이 2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최악의 정책에 선정됐다. ‘공무원 증원 및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와 ‘소득세 및 법인세율 인상’이 19%씩을 얻어 그 뒤를 이었다. 16.4%인 올해 최저임금 인상률의 적정성에 대해서도 40명 중 19명이 “다소 높았다”, 15명이 “과도하게 높았다”고 답했다. 최고의 경제정책으로 뽑힌 ‘프랜차이즈 갑질 근절 등 공정거래 정책’도 29%의 득표율을 보였다. ‘한·미 FTA 재협상 등 통상 정책’과 ‘부동산 시장 규제 강화’가 각각 13%씩을 얻어 공동 2위에 올랐다. ━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최악의 정책 한국 경제의 리스크 요인으로는 ‘고용 악화’ ‘미·중 무역전쟁 등 통상 환경 악화’(이상 14%), ‘법인세 인상 및 기업경영 규제 강화’ ‘가계부채 심화’ ‘미진한 노동시장 개혁’ ‘저출산’(이상 13%) 등이 지목됐다. 앞으로 정부가 중점을 둬야 할 경제 과제로는 ‘일자리 창출’과 ‘규제 완화 및 성장정책’이 18%씩으로 가장 많이 꼽혔고 ‘노동시장 개혁’이 16%로 뒤를 이었다. 설문조사 대상자들에게 지난 1년 간의 경제 정책을 1점(최하)~10점(최고) 사이의 점수로 평가해 달라고 요청한 결과 평균 5.76점이 나왔다. 6점이 12명으로 가장 많았고 최고점은 8점(3명), 최저점은 3점(1명)이었다.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반올림해서 58점이다. 전문가의 주관적 견해라곤 하더라도 최소한 경제 운용에서 만큼은 아쉬움이 컸다는 얘기다. 표학길 서울대 명예교수는 “생산성이 가장 낮은 공공부문에 정부 예산을 배정했고 성장잠재력 회복이나 투자 활성화를 등한시했다”고 말했다.지난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 3.1%다. 2014년 이후 3년 만에 3%대 성장을 회복했다. 올해 1분기 성장률도 전 분기 대비 1.1%로 양호한 흐름을 이어갔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1년을 맞아 경제 정책의 성과를 묻는 설문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이 지표를 긍정적으로 보지 않았다. 이유가 있다. 세계 경기와 비교하면 그리 좋은 성적표가 아니어서다. 2014년 한국과 세계 경제 성장률은 3.3%로 같았다. 이후로 한국의 성장률은 줄곧 세계 경제성장률을 밑돌고 있다. 그리고 지난해 이 격차는 더 벌어졌다. 2016년에는 0.4%포인트(한국 2.8%, 세계 3.2%) 차이가 났는데, 지난해는 격차가 0.7%포인트(한국 3.1%, 세계 3.8%)였다.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제 정책의 성과가 세계 주요국과 비교해 저조하다”라고 말했다.이는 문재인 정부 경제 정책의 핵심인 소득주도 성장 정책이 지난 1년 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얘기와 같다. 소득주도 성장은 수출·대기업 주도의 성장 방식에서 벗어나 취약계층의 고용과 소득을 끌어올려 소비를 늘리는 방식으로 경제를 성장시키겠다는 개념이다. 최저임금 인상이 대표적인 정책이다. 하지만 2, 3월 취업자 증가수가 두달 연속 10만 명대에 그치는 등 고용 수준은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얼어붙은 민간 소비도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올 1분기 민간소비는 전 분기보다 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율로는 4분기 만에 최저치다. 권순원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양극화 및 이중구조가 구조화돼 있는 상황에서 저임금계층의 소득이 실질적으로 늘지 않고, 오히려 양극화가 심해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세계 경제성장률보다 성장률 계속 밑돌아 그나마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년 간 한국 경제를 지탱한 건 수출과 반도체 등 일부 제조업이다. 비록 4월에 1.5% 줄며 주춤하긴 했지만 한국 수출은 지난 3월까지 18개월 연속 증가하며 3%대 성장을 견인했다. 수출은 대외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세계 경제가 호전되며 교역량이 늘어난 게 한국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특히 반도체의 경우 지난해 전체 수출의 17.1%를 도맡았다. 올 1~4월 이 비중은 20.1%를 도맡았다. 반도체가 이끈 수출 호조가 소득주도 성장 위주 경제 정책의 실패를 가렸다는 지적이 나온다.소득주도 성장 정책의 효과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산업 정책은 부재하고 법인세율 인상 등의 정책으로 기업의 경영 환경을 악화했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미국 등 주요국이 법인세율을 경쟁적으로 내리며 자국으로의 투자 유치 및 고용 증가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한국은 반대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얘기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복지를 무분별하게 늘리고 재원 조달을 위해 법인세율을 인상하며 기업의 투자 위축을 초래했다”라고 말했다. 규제 완화 수준도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다. 권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정부의 정책이 경제구조 및 산업환경의 세부적인 다양성을 투영하는 데에는 실패했다”라며 “산업·노동 환경 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획일적인 규제 등으로 인해 정부의 산업정책이 제대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라고 말했다.향후 경기 전망은 불투명하다. 이미 일부 지표에선 경고등이 켜졌다. 3월 전체 산업생산은 전달보다 1.2% 떨어졌다. 2006년 1월(1.2% 감소)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무엇보다 수출 호조에 기여했던 세계 경제의 호황세가 잦아들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경제의 확장 국면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왔을 가능성이 크다”라며 “여기에 내년 중국 내부의 구조조정이 글로벌 경기 침체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라고 말했다. ━ 규제 완화와 성장에 집중해야 특히 현재의 정책이 지속할 경우 부작용이 쌓여 향후 한국 경제에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있었다.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40명은 한국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복수 응답 가능)로 통상환경 악화(17명)와 함께 고용시장 악화(17명), 법인세 인상 및 기업 경영 규제 강화(16명), 미진한 노동시장 개혁(15명) 등을 꼽았다.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성장 정책에 좀 더 집중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응답자의 절반인 20명은 향후 정부가 중점을 둬야 할 경제 정책(복수응답 가능)으로 ‘규제 완화 및 성장 정책’을 꼽았다. 노동시장 개혁(18명)과 같은 구조적 문제 해결에도 힘써야 한다는 진단이다. 홍성일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팀장은 “일자리 창출, 소득 증대를 위해서도 성장 엔진의 재점화는 필수 불가결하다”고 말했다. 이종화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에 대한 규제를 줄여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박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지방선거 이후에는 노동개혁·연금개혁 등 ‘비인기 정책’도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 부동산 정책 따져보니 - “대출규제 잘해” 45% “재건축규제 잘못” 38% “요즘에는 하루에 전화 1~2통 받기가 힘들어요. 집을 팔려는 사람도 사려는 사람도 확 줄었습니다.” 서울 잠실동에 있는 한 공인중개소 대표의 얘기다. 지난 5월 3~5일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에 있는 10여 곳의 공인중개소에 문의했지만 답은 비슷했다. 지난 1년 간 ‘다주택자·강남·투기’와 전쟁을 벌였던 문재인 정부가 고전 끝에 승기를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고강도 규제를 비웃듯 치솟던 강남권 집값이 4월 들어 하락세로 돌아서면서다. 강여정 한국감정원 주택통계부장은 “8·2 부동산 대책과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이 순차적으로 정책 효과를 나타내면서 부동산시장이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후 부동산시장 안정과 실수요자 보호를 정책 목표로 내걸고 여섯 차례 대책을 내놨다. 특히 8·2 대책에서는 쓸 수 있는 거의 모든 규제를 총동원했다. 투기과열지구 부활,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시행, 다주택자 양도세 부과 등 굵직한 규제만 14개였다. 10·24 가계부채 대책 때는 다주택자와 갭투자자를 겨냥한 신(新)총부채상환비율(DTI)과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도입을 발표했다. 하지만 시장을 억누를수록 용수철 효과가 나타났다. 강남 재건축·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급등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올 4월까지 강남 4구의 주택 매매 가격 상승률은 9.66%다. 1년 새 30% 안팎 오른 아파트도 많았다. 같은 기간 전국 상승률은 1.67%였다. 강남 집값은 4월 양도세 중과가 시행되고 나서야 진정되는 분위기다. 지난 1년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성과에 대해 설문에 응한 경제 전문가 40명의 견해는 엇갈렸다. ‘보통’으로 평가한 응답자가 17명(42.5%)으로 가장 많았다. ‘매우 만족’(1명)을 포함한 ‘만족’은 11명(27.5%)이다. ‘매우 미흡’(3명)을 포함해 ‘미흡하다’는 응답은 12명(30%)이었다. 잘한 부동산 정책으로 응답자 중 18명(복수응답)은 DSR 등 대출 규제를 꼽았다. 다음은 공공임대주택 확대(17명),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15명) 순이었다. 잘못한 정책으로는 재건축 규제(15명)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은 양도세 중과(11명), 청약제도 개편(8명) 순이었다. 청약 가점제 확대로 무주택자의 분양 주택 당첨 비율이 90%대로 높아진 것에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다. 공공주택 100만 가구 공급 등 주거복지정책도 방향을 잘 잡았다는 평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팀장은 “갭투자 등 투기적인 가수요를 시장에서 걷어냈다는 부분도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과도한 분양가 통제로 로또 아파트를 양산하고 재건축 규제로 서울이나 강남 등 특정 지역 가격만 오르는 쏠림현상을 부추겼다는 비판이 많다. 수요 억제책이 장기적으로 공급 부족을 일으켜 향후 집값이 재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향후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설문 응답자 40명 중 26명이 주택 공급 확대를 꼽은 이유다. 특히 서울과 지방 간 부동산 시장 양극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 실장은 “지방 주택시장의 경착륙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태윤·황의영 중앙일보 기자

2018.05.12 17:52

7분 소요
[열기 식어가는 오피스텔 시장] 수도권 인기 지역도 ‘마이너스’ 매물

부동산 일반

전매제한·대출 규제에 울상…신규 공급 많아 임대수익률 갈수록 하락 ‘급매물 싸게 팝니다. 마이너스 프리미엄 1000만원.’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도시에서 최근 입주를 시작한 A오피스텔 주변 부동산중개업소에는 이런 매물이 적잖이 쌓여 있다. 분양가보다 1000만원 싸게 판다는 얘기다. 1000만원까지는 아니더라도 분양가보다 600만원, 500만원 저렴한 매물이 수두룩하다. 입주 직후 형성된 임대료가 기대에 못 미치자 손해를 보고서라도 팔려고 내놓은 것이다. 한 부동산중개업소 사장은 “2015년 분양 때는 임대료가 보증금 1000만원에 월 60만원 이상은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지금 시세는 월 40만 원도 안 된다”며 “세금 등을 빼고 나면 사실상 수익이 마이너스여서 처분하려는 투자자가 적잖다”고 전했다. 또 다른 중개업소 관계자는 “주변에 오피스텔이 너무 많은 게 탈”이라며 “입주를 앞두고 있는 오피스텔만 해도 많은데 또 신규 분양 물량까지 나온다”고 말했다. 최근 아파트 입주 물량이 급증하면서 집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는 경기도 화성시 동탄2 신도시도 사정은 비슷하다. 중개업소마다 분양가보다 200만~700만원 싼 매물이 쌓여 있다. 대출을 끼고 오피스텔을 분양받은 투자자들이 전·월세 가격이 떨어지자 손해를 보더라도 매도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지난해 여름 미사강변도시에서 분양한 한 오피스텔은 청약 접수만 9만건이 넘었다. 청약 때 내야 하는 청약금만 920억원이 몰렸다. 지난해 5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직후부터 주택시장을 옥죄자 시중 유동자금이 수익형 부동산의 대표 상품인 오피스텔로 쏠렸다. 오피스텔이 주택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를 톡톡히 누린 것이다.하지만 최근 오피스텔 시장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서울 강남 등 입지 여건이 좋거나 주변에 대학·기업 등 충분한 배후 수요를 갖추지 못한 곳에서는 매매가격이 내리고 미분양이 쌓이고 있다. 주택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가 1년도 안 돼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신규 입주 물량이 넘쳐나는 데다 대출 금리마저 상승세로 돌아선 영향이다. ━ 1년도 안 돼 사라진 규제 풍선효과 서울·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요가 많지 않은 지방에서는 오피스텔 매매가격이 눈에 띄게 빠지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방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올 들어 2월까지 0.23% 하락했다. 1·2월 모두 각각 0.1% 넘게 내렸다. 이 기간 서울·수도권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그래도 소폭 오름세를 기록했다. 감정원 관계자는 “수도권 지역은 개발 호재 등으로 국지적 상승세를 보이며 소폭 상승했지만 지방은 기존 오피스텔 노후화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아 매매가격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분양시장에서는 미분양이 쌓이고 있다. 630실 모집에 청약자 한 명도 없는 ‘청약 제로’ 오피스텔도 나온다. 2월 춘천시에서 분양된 한 오피스텔은 청약자가 한 명도 없었다. 2월과 3월 각각 파주시와 수원시에서 분양한 오피스텔 3곳도 청약 제로 단지라는 오명을 썼다. 분양마케팅회사인 내외주건의 김신조 사장은 “지역별 부동산 경기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오피스텔 시장에서도 옥석 가리기가 시작된 것 같다”며 “입주 물량이 크게 늘면서 개별 호재 등 특별한 이슈가 없는 단지는 분양에 고전하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오피스텔 시장에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는 건 무엇보다 공급 물량이 많기 때문이다. 우선 올해에만 전국에서 7만6000실이 신규 입주한다. 2013년 3만5000실 이후 매년 4만실 정도가 신규 입주했는데 올해는 그 두 배에 이르는 오피스텔이 입주하는 것이다. 그런데 내년에도 신규 입주 물량은 7만4000실이다. 저금리 기조 속에 2015년부터 오피스텔 신규 분양이 급증한 것이 ‘입주 폭탄’이라는 부담으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2013~2014년 평균 4만5000실씩 분양되던 오피스텔은 부동산 경기가 호황이던 2015~2016년에 연평균 7만6000여 실이 공급됐다. 지난해에는 전국에서 8만실 넘게 분양됐다. 한 부동산개발회사 관계자는 “주요 지역에선 오피스텔에 ‘오’자만 붙어도 불티 나게 팔리니 너도 나도 오피스텔을 지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오피스텔과 임대수요가 겹치는 중소형 아파트 공급이 계속 늘어났다. 부동산정보회사인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분양된 아파트 중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이 전체 분양물량(32만5590가구)의 91.8%였다.결국 입주 폭탄이 터지면서 세입자를 찾지 못하는 오피스텔이 늘자 ‘공실률 증가→임대수익률 악화→매매가격 약세’라는 악순환의 고리가 만들어진 것이다. 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 도심 오피스텔 공실률은 12.8%로 지난해 1분기 11.8%보다 상승했다. 서울 강남의 공실률은 같은 기간 6.3%에서 8.9%로 높아졌다. 해당 지역에 오피스텔이 몰려 시장을 주도하는 만큼 공실률 상승이 임대수익률 악화로 이어졌다. KB국민은행 조사 결과 2월 서울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연 4.85%로 지난해 동기(연 5.11%) 대비 0.28%포인트 떨어졌다. 특히 지난해 7월 임대수익률이 연 4%대로 주저앉은 이후 계속 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동탄2신도시 등 공공택지가 집중돼 있는 경기도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의 하락세가 뚜렷한 편이다. 경기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지난해 1월 연 5.55%를 기록한 이래 올 2월 5.31%로 떨어졌다. 여전히 금리가 낮은 편이어서 연 5%대의 수익률도 높은 편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각종 세금과 준조세·중개수수료 등 부대비용을 고려한 실질 임대수익률은 연 2~3%대로 확 떨어진다. ━ ‘청약 제로’ 오피스텔도 줄 이어 먹구름은 쉬이 물러갈 것 같지 않다. 내년에도 7만실 넘게 입주하는 데 올해 신규 분양 물량도 적지 않다. 이미 3월에만 6000여실이 분양됐다. 특히 이 중에서 절반이 넘는 3600여실이 경기도에서 나왔다. 1월부터 청약조정대상지역에서 분양된 오피스텔은 소유권 이전(등기) 때까지 분양권 전매를 할 수 없어 이전보다 분양 물량이 줄 것으로 예상됐지만 막상 공급량이 줄지 않은 것이다. 부동산개발회사들이 투자자를 잡기 위해 전매제한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물량을 공급한 때문이다. 실제로 3월 분양 물량의 86%인 5145실이 청약조정대상지역 외 지역에서 나왔다.공급 물량은 줄지 않고 있지만 투자 환경은 녹록하지 않다. 당장 3월 26일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임대업이자상환비율(RTI)이 시행돼 오피스텔 임대사업자가 받을 수 있는 대출 한도가 줄어든다. DSR은 대출 때 마이너스통장 등 모든 대출 원리금을 따져 한도를 정하므로 대출 한도가 종전보다 줄어든다. RTI는 연간 부동산 임대소득을 연간 이자비용으로 나눈 것으로 오피스텔은 RTI가 1.5배 이상이어야 임대업 대출이 가능하다. 신한금융투자 이남수 부동산팀장은 “오피스텔은 대출을 지렛대 삼는 레버리지 투자가 많았는데 대출 규제로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될 것”이라며 “투자 때는 배후수요나 주변 공급 물량, 교통 여건 등을 꼼꼼히 따져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018.03.31 11:59

5분 소요
[따로 노는 지방 부동산] 수도권 청약 열기는 남의 얘기

부동산 일반

분양권·주택거래 주춤... 부산·제주도 부동산 시장은 활황 #1. 지난 10월 5일 서울 잠원동에서 신반포5차를 재건축하는 아크로리버뷰는 1순위 청약 접수에서 평균 30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올해 서울 아파트 최고 경쟁률이다. 일반분양 28가구 모집에 8585명이 몰렸다. 분양가가 3.3㎡당 평균 4194만원이나 됐지만 올해 수도권 최고 경쟁률을 보였다.#2. 지난 7월 강원도 동해시에서 분양된 ‘현대썬앤빌 동해 파크빌’ 아파트는 청약 당시 145가구 모집에 단 한 명도 청약하지 않았다. 청약 신청이 1건도 없는 청약률 ‘제로’의 굴욕을 겪은 것이다. 같은 달 충남 천안시 영성동에서 선보인 주상복합단지 ‘영성 펜타폴리스25’ 역시 170가구 모집에 단 2명만이 청약을 하는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주택시장에서 수도권과 지방이 따로 움직이는 ‘디커플링(탈 동조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가계부채 경고음에 따른 정부의 8·25대책의 반작용으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분양시장이 뜨거운 가운데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한 영향이다. 정부의 주택 공급 축소 예고가 집값 상승의 동력으로 작용하면서 인기 지역의 쏠림 현상도 여전하다. ━ 수도권 분양권 거래총액 비중 커져 올해 아파트 분양권 거래는 서울·수도권에서 호조세를 탄 반면 지방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부동산 조사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분양권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올해 9월 전국 아파트 분양권 실거래 총액은 3조9673억원이었다. 지난해 동월 2조9572억원보다 34% 증가한 수치다. 분양권 거래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이 주도했다. 9월 수도권 분양권 실거래 총액은 8931억원으로 전년 동월(8876억원)의 두 배 가까이 늘었다.이와 달리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9월 분양권 실거래 총액은 2조1866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5.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경상남도(-48%)·경상북도(-13.4%)와 울산시(-45.8%), 전라남도(-33.4%)는 분양권 거래총액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이 실거래액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5%로 전년 동월(30%)에 비해 수도권의 비중이 커졌다. 그만큼 수도권의 분양권 거래액이 증가하고 지방이 부진했다는 얘기다.이 같은 현상은 주택 거래 시장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9월 전국 평균 매매가는 전월 대비 0.14% 상승했다. 수도권은 0.23% 상승하며 전체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서울은 0.31%, 인천과 경기 0.17% 등 모두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이와 달리 지방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5대 광역시(부산·대구·울산·광주·대전)는 0.04% 상승하는 데 그쳤고, 나머지 지방은 0.02% 하락했다. 경북(-0.13%)·충남(0.07%) 등의 하락폭이 컸다.지방 안에서도 지역별로 온도 차가 극명하게 나타났다. 투자 수요가 몰리는 부산·제주도의 부동산은 서울 강남 못지 않은 활기를 띠고 있지만 대구·경북 지역의 부동산 시장은 얼어붙은 모습이다.연초부터 9월까지 부산 아파트 청약경쟁률은 93.6대 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9월 GS건설이 부산 동래구에 분양한 ‘명륜자이’는 523.6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346가구 모집에 2만6683명이 몰렸다. 해운대 ‘마린시티자이’ 역시 평균 450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9월 전국 평균 청약경쟁률 23.02대 1보다 20배에 이르는 수치다. 9월 부산 해운대구의 전년 동월 대비 주택 매매가격 상승률은 5.7%로 서울 강남보다 높았다. 서울 재건축을 대상으로 한 규제 움직임에도 크게 흔들리지 않는 모습이다. ━ 수도권 vs 지방, 지방 vs 지방 양극화 심화 부산지역이 청약경쟁률이 고공행진하는 데는 저금리가 장기화하면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여윳돈이 몰려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다른 지방 도시에 비해 입주 물량이 많지 않고 재건축 추진도 속도를 내고 있어 투자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부산 부동산 시장 열풍이 계속되자 서울의 큰 손들도 부산 아파트를 사기 위해 대거 몰려들고 있다.제주도 부동산 시장의 상승세도 무섭다. KB국민은행 자료에 따르면 제주도 전체 아파트 가격이 작년 3분기부터 올해 3분기까지 1년 동안 약 42% 올랐다. 제주도 아파트 평균 시세는 1년 새 3.3㎡당 755만7000원에서 1075만8000원이 됐다. 서귀포시는 3.3㎡당 587만4000원에서 854만7000원으로 약 46% 올랐다. 제주시는 3.3㎡당 792만원에서 1122만원으로 약 42% 상승했다.제주도의 경우 땅값 상승률도 높은 것이 특징이다.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전국 땅값 상승률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제주도 땅값 상승률은 7.6%이다. 서귀포시가 8.0%, 제주시 땅값이 7.3% 올랐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땅값 상승률은 약 2.4%다. 중국·일본 등 외국인이 꾸준히 유입되고 제주 제2신공항 등 여러 개발 호재로 투자 수요가 들어온 것이 장기간 상승세의 배경이다. 제주도의 지난해 1분기 외국인 소유 토지 면적은 16.45㎢에서 올해 1분기에 21.96㎢로 1년 새 약 33% 늘어났다. 이 중 중국인 소유 토지면적은 작년 1분기에 8.26㎢에서 9.03㎢로 증가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개발 기대감에 외국인 투자 수요와 더불어 내국인 투자 수요도 늘면서 아파트 가격과 땅값 모두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이와 달리 최근 수 년 간 강세를 보였던 대구·경북 지역 부동산 시장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KB부동산 월간 가격동향에 따르면 대구의 주택가격은 9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 지역 집값 하락세는 공급 과잉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또 대구 수성구 인근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대구로 들어왔던 외지의 투자자금이 최근 부산과 제주 등지로 이동하면서 집값 하락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경북 지역 역시 구미시 산업시설 철수와 내년까지 약 2만 가구의 입주물량 영향으로 11개월 연속 집값이 떨어졌다.

2016.10.30 09:22

4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