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44

기업 체감경기 2월도 ‘한파’…코로나 이후 최악

은행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코로나19가 대유행이던 2020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부동산·소비 위축 등으로 건설·도소매 관련 기업들의 타격이 컸다.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월 기업경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0.6포인트(p) 낮은 85.3으로 집계됐다. 해당 지수는 작년 11월부터 4개월 연속 떨어져 코로나19 대유행 첫해인 2020년 9월(83.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에 이르렀다.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주요 지수(제조업 5개·비제조업 4개)를 바탕으로 산출한 심리 지표다. 과거(2003년 1월∼2024년 12월) 평균(100)을 웃돌면 경제 전반에 대한 기업 심리가 낙관적, 반대로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산업별로 제조업 CBSI(90.1)는 구성 5대 지수 가운데 생산(+0.6p)·업황(+0.4p)을 중심으로 1월보다 1.1p 올랐다.하지만 건설·서비스업 등 비제조업(81.7)은 업황(-1.1p)·자금 사정(-1.0p) 악화로 1.9p 하락했다.3월 CBSI 전망치의 경우 전산업(88.0), 제조업(91.1), 비제조업(85.8)에서 이달 전망치보다 각 2.6p, 2.0p, 3.2p 모두 높아졌다.세부 업종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변화를 보면, 제조업에서는 자동차, 1차 금속, 전자·영상·통신장비를 중심으로 업황·생산·수주 등이 개선됐다. 자동차는 승용차 수출과 영업일 수 증가, 1차금속은 트럼프 상호관세 시행 전 물량 확보 수요 등의 영향으로 실적이 좋아졌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그러나 비제조업의 경우 건설, 도소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위주로 업황·매출·자금 사정 등이 나빠졌다. 특히 건설업 업황지수는 전월보다 9p나 떨어졌는데, 부동산 경기 둔화에 따른 신규 수주 감소의 결과로 분석됐다.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까지 반영한 2월 경제심리지수(ESI)는 90.2로 전월보다 3.5p 올랐다. 2019년 6월(+4.0p) 이후 5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오름폭이다.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88.4)도 0.9p 하락했다.한편, 이달 조사는 이달 6∼13일 전국 3524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중 3312개 기업(제조업 1867개·비제조업 1445개)이 답했다.

2025.02.21 09:10

2분 소요
현대건설, 지난해 1조2000억 손실·대우건설 영업익 39% 감소

부동산 일반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지난해 실적에 대한 부진한 성적표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건설 경기가 좋지 않았던데다 공사비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현대건설은 최근 실적 발표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조2209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영업이익 7854억원) 대비 적자 전환한 것은 물론, 2001년 이래 첫 연간 영업손실이다. 현대건설이 연간 기준으로 적자를 기록한 것은 2001년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때 영업손실(3828억원)을 낸 이후 23년 만이다. 실적 발표 전 증권사들의 영업이익 전망 평균치는 5448억원이었으나 시장 예상을 크게 벗어난 어닝 쇼크를 기록했다.현대건설은 고환율과 원자잿값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특히 해외 현장에서의 사업비 증가가 주원인으로 손꼽힌다.원자잿값 상승·공사비 상승 직격탄현대건설의 이번 실적 부진은 연결 자회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이 인도네시아에서 수주한 발릭파판 정유공장 프로젝트,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이 공동 수주한 사우디아라비아 자푸라 가스플랜트 사업에서 발생한 약 1조2000억원의 손실을 작년 4분기 실적에 한꺼번에 반영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들 사업을 시작할 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사태가 발생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건설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던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연간 수주 누계는 30조5281억원으로 목표치인 29조원의 105.3%를 달성했다. 국내에서는 대전 도안 2-2지구 공동주택 신축공사, 부산 괴정 5구역 재개발 사업을 수주했으며 해외에서는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대형원전 설계 프로젝트 등을 통해 수주잔고 89조9316억원을 확보했다.현대건설은 올해 매출 목표를 30조3873억원, 수주 목표는 31조1412억원, 영업이익 목표는 1조1828억원으로 설정했다. 주요 원전 프로젝트와 대규모 복합개발사업을 통해 견조한 매출을 이어가는 한편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를 구축해 핵심 프로젝트 위주 선별 수주, 원가율 및 공사비 관리 강화에 주력할 예정이다.현대건설 관계자는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대형원전을 포함해 소형모듈원전(SMR), 해상풍력·태양광·수소사업 등 청정에너지 사업을 확대해 기후 변화와 폭발적인 에너지 소비 확대에 대응하고 신개념 주거상품 개발과 생산기술 혁신에 더욱 힘쓸 예정”이라며 “수익성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지속가능한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삼성물산 건설부문은 건설업황 침체기에도 2년 연속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하며 선방했다. 다만 삼성물산은 지난해 연결기준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건설부문 영업이익이 1조1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3.2%(330억원) 감소했다고 밝혔다. 매출도 18조6550억원으로 전년 대비 3.4%(6550억원) 감소했다. 삼성물산은 “대외 환경 변화 등으로 전년 대비 매출과 이익이 소폭 감소했지만 수익성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GS건설은 지난해 영업이익 2862억원을 기록하면서 흑자 전환했다. 다만 이는 지2023년 인천 검단신도시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가 기저효과로 작용한 영향이다. 같은 기간 매출은 12조863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다만 신규 수주는 전년 대비 95.5% 증가한 19조9100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신규 수주 16조740억원을 넘어서며 창사 이래 최대를 찍었다.GS건설은 지난해 수주 실적에 대해 각 사업본부에서 국내외 다양한 사업을 따내며 수주 실적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축주택사업본부에서 ▲부산 부곡2구역 주택재개발사업(6439억원) ▲청량리 제6구역 주택재개발사업(4869억원)을 수주했고, 플랜트사업본부에서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증설 프로그램 패키지2번 (1조6039억원) ▲동북아 LNG Hub 터미널1단계 프로젝트(5879억), 인프라사업본부에서 ▲호주 SRL East 지하철 터널 프로젝트(5205억원) 등을 따냈다.GS건설은 올해 경영 목표로 매출 12조6000억원, 신규수주 14조3000억원을 제시했다. GS건설 관계자는 “안전과 품질에 기반해 건설업의 기본을 강화하겠다”며 “선택과 집중을 통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의 기반과 내실을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삼성물산 선방…대우건설 영업익 39%↓대우건설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4031억원으로 전년(6625억원) 대비 39.2% 감소했다고 최근 밝혔다. 매출은 10조5036억원으로 전년보다 9.8% 감소했다. 다만 이런 수치가 시장 전망치보다는 나았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시장전망치는 각각 10조4000억원, 3514억원 수준이었다. 사업 부문별로 ▲주택건축사업부문 6조8418억원 ▲토목사업부문 2조1704억원 ▲플랜트사업부문 1조1386억원 ▲기타 연결종속부문 3528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대우건설 관계자는 “진행 현장 수 감소와 지속되는 원가율 상승, 일부 주택 현장의 일시적 추가 원가 반영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다만 해외 플랜트사업부문 고수익 프로젝트의 견조한 성장에 힘입어 어려운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선방했다”고 평가했다.다만 신규 수주는 9조9128억원으로 연간 목표치(11조5000억원)의 86.2% 수준에 그쳤다. 주요 수주 실적으로는 ▲성남 수진1구역 재개발(7793억원) ▲부산 남천동 주상복합(6334억원) ▲서울 여의도공작아파트 재건축(5704억원)으로 국내 수주 비중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 잔고는 지난해 말 기준 44조4401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매출액을 기준으로 약 4년 3개월치 일감을 확보했다. 올해는 14조2000억원 규모 신규 수주를 목표로 잡았다. 매출 목표로는 8조4000억원을 제시했다.대우건설 관계자는 “전 사업부문에 걸쳐 지속적이고 견조한 매출을 이어가는 한편 ▲체코 원전 ▲이라크 해군 및 공군기지 ▲투르크메니스탄 미네랄비료공장 등 해외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확대를 통해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2.09 09:00

4분 소요
원격 타워크레인 조종부터 자재 가격 예측까지…건설사 AI로 ‘안전’ 잡는다

부동산 일반

해외 건설 현장에 있는 장비를 국내에서 조종하는 날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6월 현대건설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위치한 기술연구원의 로보틱스랩에서 ‘혁신 연구개발(R&D) 건설로봇 기술 시연회’를 열고 무인 건설장비 작동을 시연했다. 이날 현대건설은 일본 오사카 건설 현장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을 로보틱스랩에서 제어하는 장거리 원격 조정에 성공했다. 타워크레인은 운전석이 지상에서 높게는 수백 미터 떨어진 타워의 꼭대기에 있어 운전자 안전 문제가 항상 지적됐다. 또 작업 효율 개선도 중요 문제로 거론된 바 있다. 만약 운전자가 타워크레인에 직접 올라가지 않고도 크레인을 조종할 수 있으면 이런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데 이를 해낸 것이다.이 밖에도 현대건설은 시연회에서 ▲디지털트윈 플랫폼 기반의 건설 현장 관리 로봇(스팟·무인 드론·실내 점검용 드론·수중 드론) ▲원격제어 기술을 탑재한 양팔 로봇 ‘암스트롱(ARMstrong)’ ▲원격 타워크레인 ‘타와레모(TawaRemo)’ ▲무인 시공이 가능한 도로 자동 천공 로봇 ▲실내 자율주행 도장 로봇 ▲건설용 3D프린팅 로봇 등 총 9개의 건설로봇을 소개했다.경주 혁신원자력연구단지 현장을 원격 조정해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드론을 비롯해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고위험 환경에서의 정밀 작업과 200㎏의 고하중 자재를 운반할 수 있는 양팔 로봇도 눈길을 끌었다. 자동 천공 로봇은 도로 중앙분리대 설치를 위해 도로 한가운데 구멍을 뚫는 천공 작업(drilling)을 했다.이 기술들이 아직은 본격적으로 건설 현장에 투입된 것은 아니지만, 이를 토대로 건설 현장 자동화를 확대한다는 게 현대건설의 계획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국내외 건설사와 로봇 개발사들과 협업해 건설 맞춤형 로봇 기술 구현에 최선을 다해 건설 무인화와 자동화 혁신을 이끌겠다”고 전했다.포스코이앤씨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쌓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딥러닝을 활용한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건설특화 AI모델을 PLC 단계(Project Life Cycle) 핵심 업무에 적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오류를 최소화하는 프로젝트(PJT) 관리 지능화를 진행 중이다.먼저 지역별 부동산 시장 분석 시스템을 만들어 전국 219개 시군구 지역의 10년간 수급·가격·거래·개발 호재·경제·시장 지표 등을 데이터화 했다. AI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해 시장 현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해당 지역의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 인자를 도출한다. 철근‧레미콘‧후판‧PHC 파일 등 건설 공사의 핵심이 되는 시황성 자재 가격을 예측하는 시스템도 구축했다.공동주택과 관련한 리스크 조기 탐지 모니터링 시스템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공기 지연에 영향을 주는 공사·조달 인력·원가 등 요인별 공기 지연 위험도를 확인하고 리스크를 예측할 수 있다. 월 단위로 측정한 PJT 수행 위험도를 보면 공사 초기 이상 징후를 파악하고 미리 대응할 수 있다. 또 ‘스마트 세이프티’ 플랫폼을 통해 CCTV로 얻은 영상정보를 AI 기술로 분석해 추락 방지 덮개와 안전난간대 등 안전시설이 제대로 설치돼 있는지 실시간 감시할 수 있다.포스코이앤씨가 자체 개발한 드론 촬영과 비전(Vision) AI 기술을 접목한 AI 균열 이미지 분석 플랫폼을 활용한 균열 인식 정확도는 9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콘크리트 균열의 폭이나 길이 등을 자동 탐지하고 균열 발생량 히트 맵(Heat Map) 분석으로 위험 균열을 식별할 수 있다. 공동주택 콘크리트 외벽 균열을 조사하는 데 활용하는데 교량이나 사일로 등 인프라‧플랜트 구조물에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AI 접목한 건설 산업, 정보 보안은 필수건설산업에서 AI 활용은 본격적으로 지평을 확대할 전망이다. 건축물을 지을 때 보통 발주자와 설계사‧건설회사‧운영사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데 AI 활용처가 그만큼 넓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획-설계-시공-운영-유지관리 등 여러 단계에서 그동안의 작업이 ‘인력’에 의존하는 일이 많았다면 이제는 AI의 도움을 받아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다는 뜻이다.김우영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 5월 건설동향브리핑을 통해 AI는 건설산업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발주자는 시장분석에 따른 사업의 개념과 방향성 설정과 타당성 분석, 기본설계의 적합성 분석 등을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설계사는 관련 법규 분석과 에너지 성능 검토 등에 따른 기본설계 도출, 과거 설계자료 학습에 의한 설계 자동화와 원가‧공기 검토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건설회사는 로봇공학과 AI를 통합한 건설자동화, 현장 모니터링 및 품질 점검 자동화, 안전 모니터링, 자원관리‧로지스틱스 등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운영사는 AI와 센서 통합에 의한 시설물 진단 자동화 및 모니터링, 에너지 효율 최적화 및 운영비용 절감에 AI를 활용할 수 있다.특히 건설 현장에서 AI를 탑재한 자동화 로봇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과 조적‧용접 등의 작업을 자동화해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드론과 AI 분석력을 결합하면 실시간으로 건설 현장을 모니터링하고 진행 상황을 자동 기록해 운영과 유지보수(Operation and Maintenance) 단계에서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다만 정보보안은 AI를 도입하는 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지목된다. 김 연구원은 “AI를 학습하기 위해 대량의 데이터를 공급할 때 기술 유출과 데이터보안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며 “AI 도입은 기존의 업무 프로세스와 조직 문화에 큰 변화를 초래하므로 기술교육과 새로운 문화의 정착을 위한 지원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2024.07.22 08:00

4분 소요
“제2의 둔촌주공 재연되나”…대조1구역 공사 멈췄다

부동산 일반

서울 은평구 대조동 대조1구역 재개발 공사가 전면 중단됐다. 현대건설은 대조1구역 조합 내분 때문에 공사비를 1년 이상 받지 못했다. 2년 전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현장이 6개월간 멈춰서면서 약 1조원에 이르는 공사비가 늘어났던 사태가 대조1구역에서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정비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지난 1일부터 대조1구역 재개발(힐스테이트 메디알레) 현장에 공사 중단을 알리는 안내문을 부착하고 유치권 행사에 들어갔다. 타워크레인을 제외한 일부 장비도 철수시키고 최소 인력만 유지하고 있다.대조1구역 재개발사업은 서울 은평구 대조동 88 일대 11만2000㎡에 지하 4층~지상 25층 규모의 공동주택 28개동 2451가구를 짓는 프로젝트다. 총사업비만 3조원이 넘는 대규모 사업으로, 현대건설의 공사비 규모도 5800억원에 달한다. 2026년 1월 준공을 목표로 2022년 10월 17일 착공을 했지만, 지난해 12월 말 기준 약 22%의 공정률을 기록한 상태로 올해 1월부터 공사를 중지했다. 앞서 현대건설은 지난해 12월 20일 대조1구역 조합에 올해 1월 1일부터 공사를 멈추겠다는 내용을 담은 공문을 전달하며 공사 중단을 예고했다.둔촌주공 6개월 공사 중단에 공사비 약 1조원 추가현대건설이 공사를 멈추게 된 주요 원인은 대조1구역 조합이 집행부 공백 등을 이유로 공사비를 지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대조1구역 조합은 지난해 상반기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분양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조합장 직무 정지로 예정된 날짜에 분양을 진행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현대건설에 지급해야 할 1년 치 공사분 1800억원을 한 푼도 지급하지 않은 것이다.현대건설은 올 상반기부터 공사비 미지급 시 공사가 중단될 수 있음을 조합에 알린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대조1구역 조합은 조합장 부재 등을 이유로 상황을 개선하지 않았고, 현재까지도 정확한 분양 시기를 정하지 못했다.정비업계에서는 대조1구역이 제2의 둔촌주공 재건축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앞서 1만2000가구 규모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현장은 지난 2022년 조합이 시공사업단인 현대건설 컨소시엄(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과 공사 계약을 이행하지 않으면서 같은 해 4월부터 10월까지 약 6개월간 공사가 중단됐다. 공정률 50%를 넘은 상태에서 공사를 멈추면서 공사비는 약 1조원이 늘어났고 입주 시기 역시 2년 정도 미뤄졌다.대조1구역 조합은 현재 조합장 직무 정지 등 내분에 휩싸이면서 법원 소송까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9월 조합장 선출을 위한 임시총회를 열고 직무가 정지됐던 조합장을 다시 조합장으로 선출했다. 하지만 새 집행부에 불만을 가진 조합원이 법원에 총회개최금지 가처분신청과 조합장 선임 결의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한 것이 인용되면서 다시 조합장 자리는 공백 상태가 됐다. 조합장 지위 두고 법정 소송 중…현대건설 “갈등 봉합 후 공사 재개”지난해 12월 말 법원이 해당 가처분 신청에 대한 보정명령을 내리면서 지난해 9월 선출된 조합장 지위가 인정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법원은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에 따라 임시이사 선임은 이사가 없거나 결원이 있는 경우를 요건으로 하는데 조합장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해당 조합장 직무 집행정지를 신청한 채권자가 신청을 취하하고 집행 해제를 신청하면서 효력을 잃었고, 현재 해당 조합장이 지위를 갖고 있다는 판단이다. 법원은 조합장 이외의 이사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합장 권한 대행이 불가능해 법원에 의해 임시 조합장 선임이 필요한 경우로도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신청자가 법원에 의한 임시조합장 선임 요건을 갖췄다고 주장한다면, 2023년 12월 28일부터 10일 안에 이를 보완하라고 당부했다.현대건설은 조합과 공사 계약에 따라 2022년 10월부터 공사를 시작했지만, 1년 2개월째 공사비를 지급받지 못한 채로 공사를 진행해 왔다. 전체 공사비 5800억원의 약 30%인 1800억원이 계속 미지급되자 올해 1월부터 예고했던 공사를 중단했다. 다만 조합 갈등이 마무리되고 집행부가 자리를 잡으면 협상을 거쳐 공사 재개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현대건설 관계자는 “대조1구역 조합 집행부가 법정 안정성을 갖춰야만 협의를 통해 공사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며 “조합 내 갈등이 잘 봉합되고 협상이 원활히 이뤄지면 현대건설은 즉각 재착공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둔촌주공이 6개월 공사를 멈춘 동안 한 달 동안 약 150억~200억원의 운영비용이 나갔는데 대조1구역 규모가 둔촌주공의 5분의 1인 것을 감안해 대입해 보면 약 30억~4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며 “6개월만 공사가 멈춰도 200억원 안팎의 공사비가 추가될 수 있기 때문에 조합 내 갈등을 빠르게 봉합하고 공사 속도를 올리는 게 조합원 분담금을 낮추는 지름길일 것”이라고 평가했다.서울시도 대조1구역 재개발 공사 중단을 정상화하기 위해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조만간 대조1구역 공사 중단 현장에 갈등 중재를 위한 코디네이터를 파견할 계획이다.서울시 관계자는 “대조1구역 갈등 중재를 위해 조만간 현장에 코디네이터를 파견하는 등 중재에 나설 예정”이라며 “이른 시일 안에 공사를 재개할 수 있도록 갈등 중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2024.01.14 09:00

4분 소요
“살릴 곳만 살리자”…정부, 부실 PF 선별 지원 가속화

부동산 일반

지난해부터 이어진 부동산 경기 위축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시행사들의 연쇄 부도 가능성이 높아진다. 자금력이 부족한 시행사들은 금융기관 브릿지론(토지 확보 등을 위한 단기 차입금)을 이용해 토지를 구매한 뒤 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으로 이를 상환한다. 하지만 올 하반기 상환 만기를 앞두고 본PF 단계로 넘어가지 못했던 시행사들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이에는 정부는 부실 우려 PF 사업장을 위해 만기 연장 등 지원책을 내놨지만 실질적인 대책이 되지 못할 것이란 목소리가 높다. 취약 사업장들, 대규모 EOD 발생하나부동산‧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대출 채권의 부실화를 막기 위해 올해 4월 PF 대주단을 발족하고 지난 6월 말 기준, 사업장 91곳을 대상으로 PF 대주단 협약을 체결했다. 이 가운데 66곳에 만기 유예, 신규 자금 지원, 기한이익 부활 등 정상화 지원에 나섰다. 다만 나머지 25곳은 아직 협의를 진행하고 있거나 사업성 부족으로 지원 대상에서 빠질 가능성이 커진다.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도 지난 7월 5일 5개 위탁 운용사(KB자산운용·신한자산운용·이지스자산운용·코람코자산운용·캡스톤자산운용)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캠코는 정상화 대상 사업장 선정 및 채권 양수도 절차를 지원할 예정이다. 5개 운용사는 캠코가 각각의 운용사에 출자하는 1000억원을 포함해 2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8월까지 조성한다.부동산‧금융투자업계에서는 정부의 부동산 PF 대출 정상화 프로젝트가 사업성이 우수한 곳을 선별해 지원하는 만큼 투자 매력도가 떨어지는 사업장들은 결국 자금 경색과 고금리 부담에 기한이익상실(EOD) 처리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PF 대출 지원도 사업장에 따라 입지가 좋거나 투자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66곳만 추려서 지원한다는 것”이라며 “캠코 펀드가 1조원 규모지만 선순위 투자자만 보호하고 중‧후순위 투자자에게는 표면적으로만 지원하기 때문에 혼수상태인 사업장에 인공호흡기만 꽂아놓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평가했다. 그는 “중‧후순위 투자자는 캠코 펀드에 가입하는 순간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며 “사업이 어려워져 공매로 넘어가게 되면 원금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부동산투자업계 관계자도 “정부 금융 지원은 이자후취 조건으로 만기 연장만 해주고 있는 격이라 ‘언발에 오줌누기’라고 보면 된다”며 “자기자본이 거의없이 부동산 시장 활황을 믿고 무리한 사업 확장을 택한 사업장들은 결국 EOD로 갈 것이고 전반적으로 부실한 사업장은 정리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 하반기~내년 상반기 최악 시기 올 것”IB업계에 따르면 현재 선순위 대출만 취급하고 주택담보대출비율(LTV) 50%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메리츠증권의 부동산 PF 대출 금리가 연 12% 수준이다. 이와 관련 최근 지방 주상복합단지 건설사업 공사비 견적을 재산정한 결과, 기존 600만원대에서 1000만원대로 껑충 뛰었다. 공사비가 크게 오른 데다 수도권을 제외하면 분양률도 낮고 금리는 높기 때문에 PF 사업 자체를 추진할 수 없는 상황이다.시행사 관계자는 “신규 부동산 PF 사업은 2년 전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줄었고 브릿지론에서 본 PF로 넘어가지 못한 사업장들은 부동산 시장이 다시 좋아질 때까지 버티고 있다”며 “토지를 담보로 잡은 시행사, 자금을 투입한 금융사, 공사를 하는 건설사 모두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는데 올 하반기에서 내년 상반기 최악의 시기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자금길이 막혀 EOD가 발생하는 부동산 PF 사업장들이 늘어나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가격 하방 압력이 다시 거세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전셋값이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하락세고 고금리 상황에서 매매 가격이 반등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 분양 대책, 규제 완화 등 강력한 대책이 없다면 부동산 시장의 진짜 바닥은 올 하반기에 도래할 수 있다”며 “미국이 기준 금리를 내린 가운데 한국은행도 기준 금리를 인하 때까지 시행사들이 고금리를 버틸 수 있는지가 관건인데 앞으로 대구, 울산 등 미분양 적체가 심한 곳에 초기 사업장이 많은 시행사를 중심으로 EOD가 발생해 공매로 넘어가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부동산 매매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 심리”라며 “금리도 아직 높고 미분양으로 문을 닫는 시행사들이 늘면 시장 침체 분위기가 강해져 전셋값이나 정부 대책 등이 받쳐주지 못할 경우 수도권 핵심지를 제외하면 매매 시장도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부동산 시장 수요자들이 고금리 기조에 이미 적응을 한 상태일 뿐 아니라 역전세 현상도 지역에 따라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수요층이 탄탄하고 입지가 좋은 지역은 하방 압력이 낮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부동산개발업계 관계자는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역 분양률은 지방에 비해 선전을 보이고 있어 부동산 수요자들이 이미 고금리 기조에 적응했다고 볼 수 있다”며 “수도권은 공사비 상승으로 공급이 부족한 상태라 새 아파트 수요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그는 “건설사, 금융사, 시행사가 체감하는 부동산 PF 시장 침체는 심각하겠지만 일반 부동산 매매 시장에서 수요자들이 느끼는 분위기는 사뭇 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3.08.05 08:01

4분 소요
여주 물류센터 공사현장서 작업자 추락…2명 숨져

건설

29일 오전 7시 5분께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의 한 물류센터 신축 공사 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을 점검하던 작업자 2명이 10층 높이에서 추락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사고로 지면으로 떨어진 크레인 점검업체 직원 50대 A씨 등 2명이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숨졌다.이들은 타워크레인 안전 점검 도중 텔레스코픽 케이지의 발판이 무너지며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텔레스코픽 케이지는 타워크레인의 높이를 올리기 위해 기둥을 상승시키는 장치다.경찰과 소방당국은 목격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는 한편 현장에 안전조치 미준수 사항이 있는지 살피고 있다.

2023.04.29 09:55

1분 소요
정부, ‘건폭’과의 전쟁…불법 월례비 철퇴

건설

정부가 건설현장의 갈취‧폭력 등 불법행위를 엄단하기 위해 칼을 빼들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건설현장 폭력을 지칭하는 ‘건폭’을 임기 내 뿌리뽑겠다며 검찰과 경찰이 공조하는 ‘건폭수사단’도 출범시킬 예정이다.22일 대통령실 국토교통비서관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 직후 “임기 내 건설현장의 불법 행위를 반드시 뿌리뽑겠다”며 “검찰, 경찰, 국토교통부, 고용노동부가 협력해서 강력하게 단속하라”고 말했다.윤 대통령은 이날 열린 국무회의에서 원희룡 국토부 장관, 한동훈 법무부 장관, 윤희근 경찰청장, 권기섭 고용노동부 차관 등으로부터 ‘건설현장의 갈취‧폭력 등 조직적 불법 행위’ 실태와 대책을 추가로 보고 받았다.건설현장 불법행위 근절 대책을 살펴보면 노조 전임비나 노조 채용을 강요하거나 월례비 등을 받으면 형법상 강요·협박·공갈죄를 적용해 처벌하기로 했다. 기계 장비로 현장을 점거하면 형법상 업무방해죄를, 위법한 쟁의 행위 때는 노동조합법을 각각 적용한다.특히 건설 현장에서 오랜 관행으로 자리잡은 월례비도 손을 본다. 월례비는 건설사가 타워크레인 조종사에게 급여 외에 별도로 지급하는 돈이다. 조종사는 타워크레인 임대업체와 고용 계약을 통해 월급을 받고, 시공사로부터 관행적으로 월 500만∼1000만원의 월례비를 받아온 것으로 전해졌다. 월례비를 주지 않으면 자재를 천천히 인양하거나 인양을 거부해 공사 기간을 지연시킨다는 지적이 많았다.국토부가 진행한 실태조사에서는 전체 건설 현장에서의 불법행위(2070건) 가운데 타워크레인 월례비 지급이 58.7%(1215건)로 절반이 넘는다. 타워크레인 기사 438명이 월례비 총 243억원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한 명이 월례비로 연간 2억1700만원을 받은 사례도 있었다.국토부는 월례비를 강요해 부당하게 금품을 받은 타워크레인 조종사에는 국가기술자격법상 면허정지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단속을 위해 5개 권역별 감시체계와 익명신고센터도 설치해 운영할 계획이다.검찰과 경찰이 건설현장 폭력을 단속하기 위해 협력하는 ‘건폭수사단’도 출범할 전망이다. 경찰청이 건설 현장의 불법 행위에 대한 고강도 특별단속을 벌인 결과 17일 기준 총 400건의 불법 행위를 적발했다. 경찰은 1648명을 수사해 63명을 송치했고, 20명을 구속한 상태다. 건폭수사단이 출범하면 단속과 수사가 한층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외국인 불법 채용 적발 시 사업주에게 적용하는 고용 제한 기간(1~3년)도 완화할 예정이다. 노조가 건설사의 외국인 불법 채용을 빌미로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현장 인력 공급을 돕기 위해서다. 외국인 불법 채용 자체는 위법이지만 외국인 인력이 없으면 현장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는 현실을 감안해 적용 범위도 사업주 단위에서 사업장 단위로 조정한다.윤 대통령은 “건설 현장에서 기득권 강성 노조가 불법행위를 공공연하게 자행해 그 피해가 국민에게 전가되고 있다”며 “건폭이 완전히 근절될 때까지 엄정하게 단속해 법치를 확고히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3.02.22 11:15

2분 소요
김상수 회장 “건설노조 도넘은 불법행위 막으려면 손해배상제 도입해야”

부동산 일반

정부가 건설노조 불법행위를 엄단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가운데 건설업계도 건설노조 불법행위를 뿌리 뽑기 위해 피해 사례를 공유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자리를 가졌다. 건설업계는 불법행위를 저지른 노조원 개인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건단련)는 6일 경기 화성 안녕동 푸르미르호텔 대회의장에서 전국 건설업계 관계자 1000명이 모여 ‘건설노조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건설업계 총궐기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총궐기대회는 이달 1일 열린 ‘건설현장 불법행위 건설 관련 협회 및 공공기관 간담회’의 후속조치다. 정부와 국민들에게 건설업계가 처한 현재 위기상황을 호소하고 건설노조 불법행위 한계상황에 직면해 건설산업 기반이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절박함에서 마련한 자리다.이날 김상수 건단련 회장은 “건설노조 불법행위를 발본색원할 확실한 방법은 불법행위를 저지른 노조원 개인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해 배상금을 받아낼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라며 “노조 불법행위는 공기를 지연시켜 공사기간을 만회하기 위해 무리한 작업을 유발하면서 각종 안전사고의 주범이 되고 있는데 근로자 과실을 제외한 부분에 대해서만 사업주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강조했다.건설업계는 그간 건설노조가 자기 조합원 채용을 강요하거나 노조전임비·타워크레인 월례비 등 금품을 요구하면서 이를 관철시키기 위해 건설현장을 방해하며 건설업체를 괴롭혀왔다고 지적했다. 공사물량 할당·업체 선정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권 카르텔이 노골화하고 있으며 그 수위가 도를 넘었다는 주장이다.건단련이 공개한 건설노조 불법행위의 구체적인 사례로는 타워크레인 기사 A씨가 장비업체와 월 380만원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이와 별도로 매달 600만원의 월례비를 건설업체에게 요구했다. 건설사가 월례비를 주지 않자 타워크레인 속도를 늦추는 태업을 통해 공사기간을 지연시켰다. 결국 건설사는 월례비를 지급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노조 소속 타워크레인 기사들의 월급과 월례비를 합치면 월 1000만원이 넘는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다.자기 조합원 채용을 강요하는 불법행위도 예로 들었다. B건설 노조는 3000가구 아파트를 짓는 공사에 착수하기 전 자기 조합원 채용을 강요했다. 건설사가 이를 거절하자 B노조는 현장입구를 봉쇄하고 작업을 방해하고, 현장직원을 협박하는 불법행위를 저질렀다고 건단련은 주장했다.경기 양주의 한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는 C건설 노조가 자기 노조원 채용을 요구하며 26차례에 걸쳐 집회를 열고 공사를 방해했다. 동전 수백 개를 현장 출입구 바닥에 떨어뜨린 뒤 동전을 한 개씩 천천히 줍는 방법으로 레미콘 등 차량 통행을 막기도 했다고 건단련은 설명했다.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건설노조의 불법행위는 단순 이권투쟁을 넘어 국가경제와 국민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며 “이로 인한 피해는 결국 분양가 상승, 입주지연, 안전위협 등으로 이어져 국민들에게 그 피해가 고스란히 돌아갈 것”이라고 비판했다.앞서 정부도 범정부 차원으로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불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강도 높은 단속에 돌입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1일 개최한 ‘건설 관련 협회 및 공공기관 간담회’에서 계약·입찰 과정에서 노조의 부당한 요구를 차단하고, 계약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민간입찰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 지방국토관리청에 사법경찰 권한까지 부여해 불법행위를 단속·적발하는 방안도 관계 부처와 협의할 예정이다.

2023.02.06 16:13

3분 소요
한화 건설부문, 고위험 통합관제시스템 구축…안전관리 강화

부동산 일반

한화 건설부문이 스마트 안전기술을 활용한 ‘고위험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하고 안전환경관리 시스템 강화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고위험 통합관제시스템 ‘H-HIMS’(Hanwha High-risk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는 전국에 있는 건설현장에서 위험도가 높은 작업을 실시할 때 현장에 설치한 CCTV를 본사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동해 이중으로 안전관리를 실시하는 시스템이다. 건설현장 안전관리자들과 본사 통합관제조직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원활한 정보 공유를 통해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예방하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본사의 통합관제조직에서는 베테랑 안전관리자가 고위험 작업 수행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을 매뉴얼화한다. 오랜 안전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한 위험요소를 체크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안전대책 수립에도 활용할 수 있다.특히 한화 건설부문은 타워크레인 등에 설치하는 고정형 CCTV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이동형 CCTV를 지난해부터 도입하는 등 스마트 안전기술을 활용한 밀착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를 활용해 특정 현장에서 중요한 고위험 공사작업이 있을 경우 다양한 각도에서 화면을 전송해 위험 요소를 놓치지 않고 관리하고 있다.한화 건설부문은 다년간의 과거 사고 데이터를 분석해 체계적으로 현장 위험요인을 파악해 왔다. 작업유형별 사고 빈도율에 따른 빈도 등급과, 사고의 중대성에 따른 강도 등급을 부여해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전국 건설현장에서는 수시 위험성평가를 수행해 위험도가 높은 작업을 실시할 경우 반드시 고위험 통합관제시스템을 거쳐야 한다.한화 건설부문의 고강석 CSO(최고안전책임자)는 “고위험 통합관제시스템은 128개 화면을 통해 전국의 현장과 연결해 고위험요소를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며 “안전환경관리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계묘년 중대재해 제로를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화 건설부문은 안전환경관리 강화를 위해 정책적인 부분과 기술적인 측면 모두에서 폭넓은 시스템 검토와 도입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장에서 사고발생 및 위험상황이 예측될 경우 협력사는 물론 현장 근로자 누구나 작업중지를 요청하는 ‘작업 중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 2017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모바일 안전관리 시스템 HS2E(Hanwha Safety Eagle Eye)는 대표적인 안전문화로 정착했다. 한화 건설부문이 자체 개발한 HS2E는 건설현장의 위험 요소나 안전관련 개선사항이 있을 경우 누구나 즉시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어 전송하고 실시간으로 현장 전체 직원들과 협력사 직원들에게 전파, 조치하는 시스템이다.한화 건설부문은 안전관리 신기술 도입도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있다. 각 건설현장마다 특성에 맞는 아이디어 기술을 적용하는 한편, 효과가 높은 기술은 전사적으로 장려하는 등 안전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변화를 이끌고 있다. 안전 관리자가 올라가기 힘든 교량 상부 공사에 드론을 띄워 안전 점검을 실시하거나 근로자 추락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에 가상현실(VR) 기기를 활용하는 등 현장 특성에 맞는 안전 해법을 발굴하고 있다.

2023.01.26 17:03

2분 소요
국토부, 설 연휴 직후 건설노조 불법 행위 ‘현장 조사’

부동산 일반

지난 13일까지 건설 현장 불법 행위 피해 사례 실태 조사를 진행한 국토교통부가 조사 결과를 토대로 현장 조사에 돌입한다. 23일 국토부에 따르면 전국 5개 국토관리청 전담팀은 설 연휴 직후 신고가 접수된 현장 중에 심각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곳부터 현장 조사를 실시한다. 국토부 측은 건설 현장에서 관계자들을 상대로 인터뷰를 진행하는 등 적극적인 조사를 통해 불법 행위를 파악한다는 입장이다. 이번 조사는 국토부가 서울·원주·대전·익산·부산 국토관리청에 꾸린 건설 현장 불법 행위 대응 전담팀이 담당한다. 국토부는 기존 국토관리청 인력에 본부 인원 2~3명을 보강해 팀을 구성했다. 이들 전담팀은 각 지역 지방경찰청과 고용노동부 지청, 공정거래위원회 지역 사무소 등과 협력해 현장 상황을 점검한다. 국토부는 노동조합의 금품 요구와 채용 강요 등으로 공사 지연 비용이 발생, 이 비용이 아파트 분양가 등에 전가된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건설노조의 금품‧채용 요구 등을 근절하기 위한 법 개정도 논의 중이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30일부터 이달 13일까지 12개 민간 건설 관련 협회를 통해 건설 현장 불법 행위 피해 사례 실태 조사에 나서, 지난 19일 전국 1494곳의 건설 현장에서 2070건의 불법 행위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118개 건설회사는 타워크레인 월례비, 노조 전임비 등의 명목으로 3년간 1686억원을 노조에 지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조의 불법 행위로 공사 지연이 발생한 현장은 총 329곳으로 파악됐다.

2023.01.23 16:01

1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