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10

부동산 일반

올해 상반기 주요 건설사 임직원 평균 급여의 희비가 엇갈렸다.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실적 성장을 이루거나 임금 인상 기조에 동승한 기업들은 급여를 올렸으나, 공사현장 사고 등 위기 관리 위험이 커진 기업에서는 급여가 동결되거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와 올해 상반기는 유독 건설업계에 사건사고 등 이슈가 많은 1년이었다. 동시에 막바지 주택사업 호황과 코로나19감염증(COVID19)로 막혔던 해외사업이 매출에 반영되며 대형 건설사 대부분이 실적 성장세를 보이기도 했다. 가 시공능력평가 10위 내 국내 건설사가 공시한 ‘2022년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업계 흐름이 올해 상반기(2022년 1월~6월) 임직원 평균 급여에 상당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올해 상반기엔 전반적으로 임직원 평균 급여가 올랐다. 이는 최근 실적 성장과 물가상승 등에 따른 임금 인상 기조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일부 건설사에선 노사 간 합의가 반영된 결과로 직원 급여가 크게 올랐다. 반면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해와 올해 광주광역시에서 발생한 2건의 공사현장 붕괴사고로 위기에 빠지며 직원 급여가 동결됐다. ━ 직원 달래기 나선 건설사, 임금 대폭 상승 2022년 상반기 직원 1인당 평균 급여 총액(누계액)을 보면 SK에코플랜트가 6400만원으로 1위, GS건설이 5800만원으로 2위, 현대건설이 3위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해 1년간 직원 평균 연봉 1억원을 넘기며 1위 자리를 지켰던 삼성물산은 6위로 밀려났다. 9년 연속 시공능력평가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삼성물산은 지난해 상반기까지 평균급여 4900만원을 기록하며 SK에코플랜트, GS건설에 이어 3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는 최근에 현대엔지니어링과 대우건설 등 경쟁사들이 직원 급여를 대폭 올린 데 따른 것이다. 급여 상승률을 기준으로 보면 현대엔지니어링 직원들의 임금이 20.9%로 가장 크게 상승했으며 SK에코플랜트와 대우건설이 각각 20.8%, 17.8% 올랐다. SK에코플랜트와 현대엔지니어링, 대우건설은 사내 분위기 개선 차원에서 임금단체협상(임단협) 등을 통해 급여를 높인 바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 말 공시를 통해 자사주 37만6940주(225억원 규모)를 분사를 앞둔 플랜트 사업부(현 SK에코엔지니어링) 소속을 비롯한 임직원에게 스톡그랜트(무상 부여) 형식으로 처분한다고 밝혔다. 플랜트 사업부문 분사 및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SK에코플랜트가 임직원에 대한 동기부여 제공에 나섰던 것이다. 그동안 산업은행 체제 하에서 급여수준에 불만을 토로했던 대우건설 노조는 지난 3월 인수합병 작업이 끝남에 따라 중흥그룹과 임단협을 통해 평균임금 10% 인상에 합의했다. 반면 CEO가 교체되는 등 임원진이 대거 물갈이됨에 따라 미등기 임원 1인당 평균 급여는 다소 하락했다. 현대엔지니어링 또한 올해 임단협을 통해 임금인상에 합의한 데다 해외 근로자 비과세 소득이 반영되며 임금이 크게 올랐다. ━ 정몽규 회장 퇴임한 HDC현산, 임원 급여 대폭 하락 GS건설은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27.7% 성장하는 등 연이은 실적 호조를 보이며 임직원 급여 역시 높아졌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도 건설사 임원급여 1위를 지킨 허창수 회장 급여의 인상률이 두드러졌다. 허 회장이 올해 상반기 GS건설로부터 받은 급여는 총 48억9200만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26억100만원보다 88% 올랐다. 이중 성과급이 약 37억원으로 GS건설은 이에 대해 “전년도 세후 이익목표 및 전략적 활동 실천사항을 고려해 전년도 고정 연봉의 약 160%를 지급했다”고 밝혔다. 삼성물산 역시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직원 임금이 약 6% 올랐으나 상위권을 차지한 회사들을 따라잡긴 역부족이었다. 미등기 임원 1인 당 급여는 소폭 줄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최근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등 조직슬림화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삼성물산 건설부문 인력은 SK에코플랜트를 제외한 경쟁사들과 달리 소폭 감소했다. 한편 위기에 빠진 HDC현대산업개발은 10대 건설사 중 유일하게 직원 평균 급여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동일하게 유지됐다. 올해 1월 그룹 총수인 정몽규 회장이 회장직에서 사퇴하면서 미등기 임원 평균급여는 56.2% 감소했다. 정 회장은 지난해 HDC현대산업개발로부터 상여 포함 총 연봉 15억6200만원을 받았으나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올해 상반기 사내에서 5억원 이상 보수를 신고한 고연봉자가 없었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2022.08.26 14:00

3분 소요
대졸 초봉 5000 돌파…중흥 만난 대우건설, 올해 연봉 10% 인상

건설

중흥그룹에 인수된 대우건설이 임금을 대폭 올리면서 ‘대졸 초봉 5000만원’ 시대를 맞게 됐다. 대우건설은 전날 노조와 올해 임금을 평균 10% 인상하는 내용의 임금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대우건설 창립 이래 임금인상률이 두 자리 수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중흥그룹이 올해 초 “직원 임금을 3년 내 업계 상위 3개사 수준으로 올리겠다”고 노조와 체결한 상생협약서에서 약속한 데 따른 처우개선 작업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우건설은 동종 업계 대비 임금경쟁력과 채용경쟁력 강화를 고려하여 ‘하후상박(下厚上薄)’ 식으로 임금인상률을 차등 적용한다. 이에 따라 직급이 낮은 구성원일수록 임금인상률이 높아져 올해 입사한 대졸 신입사원 초임이 5000만원을 넘게 됐다. ‘현장 중심경영’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현장근무자 처우도 개선된다. 이번 합의문에는 국내외 현장수당을 직급별로 월 21만원에서 29만원까지 인상하고 현장근무자를 인사평가 및 승진에서 우대하는 방안도 담겼다. 이밖에 대우건설 노사는 전 직원에게 올해와 내년에 격려금 총 200만원을 지급하고 복지포인트 역시 지난해 60만원에서 올해 100만원으로 인사하는 데 합의했다. 이처럼 처우개선이 대대적으로 이뤄짐에 따라 임금교섭 과정도 조기에 마무리됐다. 중흥그룹 인수 전이었던 지난해와 2020년에는 교섭결렬이 일어나며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을 거쳤으며 각각 8월 중순, 12월 말이 돼서야 교섭이 끝났다. 올해 교섭은 순탄하게 이뤄지면서 중흥그룹 인수 후 조직안정화도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을 전망이다. 심상철 대우건설 노동조합 위원장은 “지난 10년간 산업은행 체제 하에서 5년 연속 임금이 동결되는 등 합리적이지 못한 처우로 인해 직원들의 사기와 회사의 경쟁력이 저하되었다”며 “격려금 지급규모는 당초 기대치보다 부족하나 평균임금 인상을 통한 당사의 임금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는데 공감하였으며, 노조는 이번 임금 인상과 현장근무자 처우개선을 통해 직원들의 긍지와 자존심이 회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이번 임금 협상의 원만한 합의를 통해 지배구조 변경에 따른 대내외 우려를 불식시켰다“며 ”향후 회사의 실적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임직원 처우개선을 위해 노사가 협력할 것”이고 강조했다. 민보름 기자 min.boreum@joongang.co.kr

2022.05.12 16:02

2분 소요
‘최대 실적’ LG전자, 올해 8% 임금 인상…신입사원 초봉은?

산업 일반

LG전자와 LG전자 노동조합이 평균 8%대의 2022년도 임금인상안에 최종 합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전자 노사는 전날 2022년도 임직원 평균 임금인상률을 8.2%로 확정 짓고, 조직별 설명회 등을 통해 임직원들에게 안내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균임금 인상률은 기본인상률에 더해 고과별 인상률을 합한 것이며, 개인별 임금인상 수준은 고과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번 임금인상으로 LG전자 신입사원 초임은 작년보다 300만원 오른 4900만원으로 인상됐다. 선임·책임의 초임도 지난해 대비 각각 300만원, 250만원 많은 5800만원, 7350만원으로 올랐다. 앞서 LG전자는 지난해에 임직원 평균임금을 10년 만의 최대 폭인 9%를 올렸는데,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높은 임금인상을 확정했다. 2018~2020년 3년간 LG전자의 임금 인상률은 연 4%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LG전자는 전날 잠정 실적발표를 올해 1분기에 매출 21조1091억원, 영업이익 1조8801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매출·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임수빈 기자 im.subin@joongang.co.kr

2022.04.08 17:00

1분 소요
CHECK! REPORT

Check Report

━ CEO스코어 | ‘가족친화’ 기업, 고용·실적도 모범 임직원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보장하는 ‘가족친화 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경영 실적 등에서도 모범적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가족친화 기업은 여성가족부가 주 40시간 근로시간 준수, 임산부 근로 보호, 직장 내 성희롱 금지, 육아휴직 제도 등 13개 항목을 심사해 인증하는 제도로 이를 획득하면 각종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기업 경영 평가 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여성가족부로부터 가족친화 인증을 받은 148개 기업의 지난해 말 기준 고용 인원은 90만7771명으로, 2016년 말보다 7.5%(6만3370명) 증가했다. 이에 비해 인증을 받지 않은 기업 299곳의 임직원 수는 59만2226명으로, 2년 전보다 4.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또 2년 사이 고용이 오히려 줄어든 기업 가운데 가족친화 미인증 기업이 96개에 달한 데 비해 인증 기업은 3분의 1 수준인 35개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친화 기업은 경영성과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인증을 받은 148개 기업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 총계는 각각 1533조7342억원과 151조8842억원으로, 2년 전과 비교했을 때 12.9%와 31.1% 증가했다. 이는 299개 미인증 기업의 같은 기간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율(11.0%, 24.5%)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매출 상위 30대 기업 가운데 가족친화 인증을 받은 곳은 삼성전자·현대차·포스코·한국전력 등 22개 사였고, LG전자·삼성디스플레이·포스코인터내셔널·국민은행 등 8곳은 인증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 한국 최저임금, OECD 평균 수준 한국 최저임금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은 최근 ‘최저임금 수준 국제 비교’ 보고서를 통해 “OECD와 독일경제사회연구소(WSI) 최신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올해 최저임금은 6.4유로(8350원)로 OECD 회원국 평균(6.4유로)과 같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순위로는 25개국 가운데 12위다. 2017년에는 29개국 중 14위, 2018년에는 25개국 중 13위였다. 평균임금 대비 최저임금 비율은 가장 최신 자료인 2017년 기준 41.4%로, OECD 회원국 평균(41.1%)과 거의 같다. 김 이사장은 “2000년대 들어 임금 불평등이 심화해 최저임금에 대한 각국 관심이 커지면서 OECD의 평균임금 대비 최저임금 비율이 2000년 36.5%, 2016년 39.9%, 2017년 41.1%로 높아졌다”고 전했다. 2017년 대비 지난해 최저임금 인상률이 두 자릿수인 OECD 회원국은 한국(16.4%)·터키(14.2%)·라트비아(13.2%)·체코(10.9%)·슬로바키아(10.4%) 등 5개국이다. 한국의 최저임금 인상률은 지난해 1위에서 올해 5위로 낮아졌다. 한편 앞서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인당 국민총소득(GNI) 대비 최저임금이 최저임금제를 시행하는 OECD 회원국 28개국 가운데 7위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이사장은 “최저임금을 GNI와 비교하면 자영업자 비중과 소득 수준, 노동시간, 취업률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OECD 공식 통계는 국가별 시간당 최저임금, 평균임금 대비 비율만 제시한다”고 지적했다. ━ 국민연금공단 | “국민연금 늦춰 더 받겠다” 봇물 올해 들어 국민연금을 늦게 받아 더 많이 수령하겠다는, 이른바 ‘연기연금’ 신청자가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급격한 고령화와 기대수명 연장 영향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올해 들어 연기연금 신청자는 2월 말 현재 3730명에 이른다. 2개월 새 지난해 전체 연기연금 신청자 수를 훌쩍 뛰어넘었다. 2007년 7월 시행된 연기연금제도는 노령연금 수급권자가 연금수령 시기를 최대 5년(출생연도에 따라 70세까지) 늦추면 연기 기간에 따라 연 7.2%(월 0.6%)씩 이자를 가산해 노령연금을 더 많이 주는 장치다. 급격한 고령화로 100세 인간이란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장수 시대가 도래하면서 연기연금 신청자는 해마다 늘었다. 2012년부터 올 2월 현재까지 연기연금 신청자는 8만4053명(연기연금 신청 기준으로 연기연금 종료 건수도 포함)에 이른다. 2012년부터 2019년 2월까지 연기연금 신청자가 신청한 연기 기간은 4∼5년 이하가 4만9263명(59%)으로 가장 많았다. 1∼2년 미만 1만545명(13%), 1년 미만 9744명(12%), 2∼3년 미만 7508명(9%), 3∼4년 6993명(8%) 등이다. 연기 기간이 끝나고서 불어난 연금을 타는 연기연금 수급자도 해마다 늘고 있다. 연기연금 수급자는 2013년 364명, 2014년 4764명, 2015년 7789명, 2016년 1만2875명, 2017년 2만3061명, 2018년 3만1298명 등으로 증가했다. 이들 연기연금 수급자의 평균 연금액은 월 90만원이었다. ━ 통계청 | 3월 온라인쇼핑 11조원 첫 돌파 미세먼지 영향으로 청정가전 구입 등이 늘면서 국내 온라인쇼핑 월간 거래액이 11조원을 처음 돌파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3월 및 1분기 온라인쇼핑 동향’을 보면 3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1조1953억원으로 1년 전보다 18.6%(1조7591억원) 증가했다. 월간 거래액은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5개월 만에 11조원을 뚫었다. 2001년 1월 온라인쇼핑 동향 집계 이후 역대 최대다. 상품군별로 보면 가전·전자·통신기기(3771억원·40.1%), 음식서비스(3255억원·89.8%), 화장품(1885억원·22.6%) 등에서 거래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온라인쇼핑 거래액도 지난해 동기 대비 17.5% 증가한 31조4351억원으로 집계돼, 덩달아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온라인쇼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바일쇼핑 거래액도 지난 3월 7조원을 처음 넘어서며 최대치를 기록했다. 3월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7.9%(1조5391억원) 증가한 7조486억원을 기록했다. 올 1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은 지난해 동기보다 45.6% 증가한 1조2065억원을 기록하며 처음 1조원을 돌파했다. 온라인 직접판매액은 중국 1조495억원,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449억원, 미국 327억원, 일본 320억원 순으로 중국이 전체의 87%를 차지했다. 온라인 직접판매액 중 면세점 판매액은 1조707억원으로 60.9% 증가했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혼남녀 “내 집 필요하나 소유는 불가능” 미혼남녀 10명 중 4명 이상은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현실적으로 집을 갖는 게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8월 31일부터 9월 13일까지 25~39세 미혼남녀 3002명(남성 1708명, 여성 129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다. 이 조사에서 ‘반드시 집을 소유해야 한다’는 응답은 45.1%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해 보인다’는 대답도 44.0%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꼭 필요하지는 않다’는 답은 10.7%, 기타 0.2% 등이었다. 성별로 보면 ‘필요하다’는 응답은 남성 47.8%, 여성 41.5%로 남성이 많았다. ‘내 집 마련이 필요하지만 불가능해 보인다’는 응답은 남성 42.1%, 여성 46.6%로 여성이 많았다. 부모의 재산상태에 따라서도 자기 소유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컸다.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부모의 경제 수준이 상위인 그룹에서는 53.7%로 높았지만, 중위 그룹은 45.2%, 하위 그룹은 37.7%순이었다. 반대로 ‘내 집이 필요하지만 불가능해 보인다’는 응답은 부모 경제 수준이 하위인 그룹에서 49.8%로 가장 높았고, 중위 그룹 44.5%, 상위 그룹 33.4%였다. ‘(내 집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견해는 취업 여부와 결혼 의향에 따라서도 구분되는 경향을 보였다. ‘내 집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응답은 취업한 경우 46.4%, 미취업의 경우 37.7%였고, 결혼 의향이 있는 경우는 48.3%, 결혼 의향이 없으면 33.1%에 머물렀다. ━ 한국경제연구원 | 10대 기업 지난해 매출 해외 비중 65.9% 지난해 국내 10대 기업이 올린 전체 매출 중 65.9%는 해외에서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해 매출 상위 10대 기업의 총 매출액은 695조6000억원으로, 이 중 65.9%는 해외 매출이라고 밝혔다. SK하이닉스의 해외 매출 비중이 97.9%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삼성전자(86.1%)·기아자동차(66.9%)·LG전자(63.5%)·현대자동차(62%)·현대모비스(57.5%)·SK이노베이션(50.1%) 순이었다. 한경연은 지난해 매출 상위 100대 기업 중 국내외 매출 구분이 가능한 64개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로는 해외 매출 비중이 55%였고, 상위 기업일수록 해외 매출 비중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2014년과 비교 가능한 54개사를 보면 65%에 이르는 35개사의 해외 매출 비중이 늘었다. 이들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은 2014년 평균 41.4%에서 지난해 50.6%로 9.2%포인트 상승했다. 삼성전자는 2014년 89.9%에서 지난해 86.1%로 3.8%포인트 하락했지만 80%대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는 55.3%에서 62%로, 기아차는 62.4%에서 66.9%로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82.6%) 분야의 해외 매출 비중이 컸다. SK하이닉스와 LG디스플레이는 90%를 넘었고 삼성전기·삼성전자·삼성SDI는 80%대였다. 지역별로 아시아(43.7%)·미주(31.5%)·유럽(18.7%)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매출 상위 10대 기업이 지난해 국내에서 낸 법인세비용은 18조9000억원이라고 한경연은 분석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11조6000억원과 5조6000억원을 법인세로 낸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또 국내외 매출을 분류하고 있는 64개사는 근로소득세 과세대상 근로자의 5.6%(59만2000명)를 고용하고, 급여 총액은 49조1000억원으로 9.3%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를 토대로 이들 기업 근로자들이 납부하는 근로소득세를 추산하면 전체의 12.8%(4조5000억원, 2017년 기준)이다.

2019.05.11 17:22

7분 소요
2016년 세계 임금 2.5% 오른다

산업 일반

━ THE WORLD IS GETTING A PAY RISE Global salaries edge up by 2.5% lifted by Asian surge.Wages in Asia will see the biggest surge in 2016 as the whole world is expected to get a pay rise. Advisory firm Korn Ferry Hay Group forecasts in its salary report that average pay is set to rise by 2.5% in 2016.The global salary increase is the biggest since 2013 and takes in account low inflation. In Vietnam, a wage hike of more than 7% is expected on average, leading the world, with Asia overall seeing the highest increases.China and the Dominican Republic follow Vietnam, while Venezuela is the heavyweight dragging down the global average with a huge drop of over 50% in real wages. In Europe, wages are set to increase 2.8%, but real wages will only rise by 2.3% because of 0.5% inflation.“Asia continues to drive growth in wages globally as companies look set to increase wages,” Hay Group executive Philip Spriet said. “However, the global labour market is in flux as the ageing workforce in advanced economies begins to take hold.”Despite the growth slowdown in emerging economies, many of which are Asian, the biggest surge is still there. However, inflation plays a major role. The BRIC countries are clearly divided, erasing any significant pattern for emerging countries.Although both China and India’s average wages are set to increase, Brazilian and Russian wages are among those experiencing the biggest downturn. Especially in Russia, this is linked to high inflation.“In emerging economies, upskilling workers is crucial for companies to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 and those skilled employees can expect to see wages rise as talent shortages in certain regions drives salaries up,” Spriet said.Argentina’s salaries are expected to rise by 31%, but people will not be able to buy much more as inflation will increase by 27%. In both Venezuela and Ukraine, the heavy inflation plays a very significant part in offsetting the real wage increase.Below are the countries and their perspective salary movement listed, based on data provided by Korn Ferry Hay Group. ━ 2016년 세계 임금 2.5% 오른다 베트남과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이 선도…한국은 4.3% 예상2016년 세계적으로 임금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아시아의 임금 인상률이 가장 높을 전망이다. 최근 경영 컨설팅 업체 콘 페리 헤이 그룹이 발표한 연봉 예측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평균 임금 상승률은 2.5%에 달한다.글로벌 임금 인상률은 2013년 이후 최대이며 낮은 인플레율이 반영된 결과다. 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인상률을 보이는 가운데 베트남이 평균 7%가 넘는 인상률로 선두를 차지할 전망이다.중국과 도미니칸 공화국이 베트남의 뒤를 이은 반면 베네수엘라가 50%를 웃도는 큰 폭의 실질임금 하락으로 세계 평균을 끌어 내린다. 유럽은 2.8%의 임금상승을 기록할 전망이지만 0.5%의 인플레 때문에 실질임금 상승률은 2.3%에 그칠 전망이다.“아시아 기업들의 임금인상이 예상되면서 전 세계 임금상승을 지속적으로 선도한다”고 헤이 그룹의 분석가 필립 스프리에트는 말했다. “그러나 선진국 경제에서 고령화 노동인력이 자리 잡기 시작함에 따라 글로벌 노동시장은 유동적이다.”아시아 국가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신흥시장 경제의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임금 인상폭이 가장 크다. 그러나 인플레가 큰 역할을 한다. 브릭스(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의 경우는 뚜렷한 차별화를 보이면서 신흥시장 국가들의 패턴을 희석시킨다.중국과 인도의 평균임금은 오르지만 브라질과 러시아는 큰 폭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러시아에선 높은 인플레의 영향이 크다.스프리에트 분석가는 “신흥시장 경제에서 근로자의 기능 향상은 기업들이 경쟁 우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특정 지역에서 인력난으로 임금이 상승함에 따라 그런 숙련 근로자는 임금인상을 기대할 수 있다.”아르헨티나의 임금 인상률은 31%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물가가 27%나 오를 전망이어서 개인 소비 지출이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베네수엘라와 우크라이나에서도 심각한 인플레로 실질임금 인상률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콘 페리 헤이 그룹이 제공한 데이터를 토대로 각국의 임금 인상 전망을 살펴봤다.- BAUKE SCHRAM IBTIMES 기자 / 번역 차진우

2015.12.20 17:34

4분 소요
CORRUPTION - 지나친 효율성이 애플 잡는다

IT 일반

세금회피 등 미국 기업계가 과도한 탐욕으로 제 무덤을 팠을지도 애플은 항상 완벽한 기업처럼 보였다. 하지만 아직 단정하긴 이르다. 5월 25일 애플 CEO 팀 쿡이 미국 의회에 나가 증언했다. 그들의 놀라운 최신제품이나 컴퓨터 프로그래머 대상 비자발급 확대의 필요성이 주제가 아니었다. 그는 회사의 조세회피 노력에 관해 해명해야 했다. 스티브 잡스의 후계자로 지명된 뒤 첫 연방 의사당 나들이였다. 쿡에게는 영광스런 자리여야 했지만 오히려 불편한 자리가 되고 말았다.상원 상설조사소위원회는 애플이 미국에서 수십 억 달러의 세금을 회피한 방법을 열거했다. 자회사를 통해 아일랜드로 자금을 보내는 방식이다. 애플은 현지 정부와 협상을 통해 2%의 세금우대 혜택을 얻어냈다. 그리고 일부 애플 자회사는 면세지역의 사업체인 양 행세한다. 어느 나라 국민도 아니며 따라서 과세대상에서 제외된다.쿡은 애플의 진보적인 기치를 휘두르며 회사를 변호하는 입장에 섰다. “우리는 ‘많이 받은 사람이 많이 내야 한다’는 케네디 대통령의 말을 믿는다.” 그는 수비와 공격을 번갈아 가며 애플이 2012년 미국에서 60억 달러 안팎의 세금을 납부했다고 강조했다. “올해엔 납부액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한다. 우리는 내야 할 세금은 모두 낸다.”그러나 애플이 지나치게 약삭빠른 절세기법을 동원하지 않는다는 그의 항변에도 불구하고 미국 의회의 애플 팬들은 요지부동이었다. 민주· 공화 양당 상원의원들은 애플에 탁월한 절세전략 부서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름답고 단순한 아이패드 인터페이스만큼이나 중요한 수익원이다. 존 매케인 상원의원이 특히 분개한 듯했다. “여러 해 동안 애플은 이익을 빼돌리며 미국 내 납세를 회피했다. 미국 재정과 사회에 온전히 기여하지 않는 쪽을 택했다”고 그가 말했다.미국 기업계가 요즘보다 더 많은 이익을 올리거나 현금이 많았던 적은 없었다. 미국 기업들은 노동력 위에 군림하고, 정치 시스템을 들었다 놓았다 하며, 요요마가 첼로를 다루듯 자유자재로 세제를 주무른다. 기업 이익은 2008년 1조1000억 달러에서 2012년 1조9500억 달러로 77%나 급증했다. 기업의 장부상 현금은 2008년 1조3900억 달러에서 2012년 4분기 1조7900억 달러로 늘어났다. 이 또한 신기록이다. 주가는 2009년 3월 이후 두 배 이상 뛰어올랐다.하지만 올 봄 미국에서 가장 존경 받는 회사의 세금회피가 잇따라 폭로되고, 방글라데시의 의류제조 하청공장이 붕괴되고, 미국 최대 유통업체의 고객과 이익이 줄고, 검사들이 헤지펀드 거물 스티브 코언을 집요하게 물고늘어졌다. 외견상 무관해 보이는 사건들인 듯했다. 하지만 기업가들이 극단으로 달릴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 그런 일이 종종 일어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미국 기업계가 가혹하게 효율을 추구하다가 제 무덤을 팔 위험이 커지는 듯하다.쿡의 의회 증언은 애플 같은 탄탄한 브랜드라도 위험에 빠질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애플은 원래 사회적으로 진보 성향의 실리콘밸리 정신을 구현한다(쿡은 집무실 벽에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사진을 걸어 놓았다고 자랑했다). 하지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경영의 전형이기도 하다. 그것은 오늘날 기술 선두업체들의 원동력이다.캐런 브레너는 뉴욕대 스턴 비즈니스 스쿨의 법률 및 비즈니스 이니셔티브 담당 사무국장이다. 그는 법이 비즈니스 관행에 후행하는 탓에 커다란 공백이 생기는 경향을 보인다고 지적한다. “그럴 경우 기업들은 무엇이 합법적인지보다 무엇이 옳은지 독자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그녀가 말했다. 그리고 쿡의 청문회가 보여주듯이 기술적으론 합법이라고 해도 상식적인 정당성에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애플뿐이 아니다. 오늘날의 기업문화에선 똑똑하고 연줄 좋고 부유한 사람들이 더 욕심이 많은 듯하다. 이미 그렇게 많은 걸 가졌으면서도 더 나아가 시스템에서 몇 푼이라도 더 짜내려 한다. 이 같은 습관은 병리현상으로 발전했다. 가령 올해 수익의 30%가량을 역외 조세피난처로 빼돌린다.그렇다면 다음 해에는 전체 수익의 절반을 빼돌려선 안 될 이유가 있을까? 2011년 올린 막대한 소득에 15%의 세금을 냈다면 다음 해에는 세율을 14%로 낮추고 싶은 유혹을 받는다. 올해 중국에서 114달러의 월급에 옷을 봉제하려는 근로자를 구했다면 내년에는 38달러의 월급만 받고 그 일을 하려는 근로자가 있는 방글라데시로 공장을 옮긴다.비윤리적인 행동에 제동을 거는 기업의 브레이크가 고장 났다. 사회학자 마크 미즈루치가 신저 ‘미국 기업 엘리트의 분열(The Fracturing of the American Corporate Elite)’에서 주장했다. 노조는 존재의미가 없어지고, 기업 이사회는 거의 낮잠을 자고, 규제당국과 정치인들은 기업을 사주하지 않을 때는 대체로 무력감에 빠져 있다.한편 이익을 한 푼이라도 더 늘리도록 돕기 위해 고액연봉을 받는 각 분야 변호사·회계사·컨설턴트 무리가 대기 중이다. 미국 문화는 터무니없이 많은 돈을 버는 사람들을 축하하고 찬양할 뿐 아니라 시장에서 이 같은 행동을 요구한다. 투자자들은 주가를 더 끌어올리고 헤지펀드 수익을 늘리라고 독촉한다. 그리고 그들은 그런 목표를 어떤 식으로 달성하는지에는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일련의 조사에서 많은 일류기업(HP·마이크로소프트·구글)이 비슷하게 조세회피 작업을 했다. 스타벅스는 영국에서 세테크 전략으로 거의 세금을 안 물게 되면서 소비자 불매운동 위협에 맞닥뜨렸다. 그러자 2012년 12월 자발적으로 1000만 파운드의 세금을 납부했다.현금을 가득 채운 수송트럭 한 대가 통과할 만한 허점이 보이면 기업회계 담당자들은 트럭 10대를 통과시킨다. 합법적이기만 하다면 뭐가 문제인가? 법인세 회피 옹호자들은 그런 손가락질에 오히려 납득하기 어렵다는 표정을 짓는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고 했던가.그것이 자본주의다. 바로 여기에 대단히 미국적인 특성이 있다. 수익성 높은 아이디어에 집중해 크게 키운다. 햄버거 체인이든 영리한 절세 전략이든 말이다. 오늘날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역외에 미국 기업들이 묻어두는 이익은 총 1조9000억 달러에 달한다. 지난 5년 새 70% 늘어났다. 매사추세츠주 서튼에 있는 오디트 어낼리틱스의 자료다. 그러나 이제 한계에 이르렀는지도 모른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이익 비율은 사상 최고 수준인 반면 GDP 대비 법인 소득세 비율은 계속 떨어진다.평소에는 모두 아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쿡의 경우에서처럼 냉담한 청중에게 자신의 행동을 설명하고 정당화해야 할 때는 문제가 달라진다.기업이 곧 사람이라는 미트 롬니 전 공화당 대선 후보의 주장은 유명하다. 롬니는 합법적인 절세가 개인의 명성과 성과달성 능력을 얼마나 저해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본보기다. 엄청나게 막대한 부를 축적한 그 금융가는 수억 달러 대의 재산을 모았다.상당부분 헤지펀드와 사모펀드 기업에 15%의 유리한 세율을 적용하는 세제상의 허점 덕분이었다. 롬니가 거금을 주고 고용한 회계사들이 세제를 철저히 분석해 그의 절세 방안을 모색했다. 그리고 소액의 기부금을 1억 달러 넘는 개인연금 적금으로 탈바꿈시켰다.개인 롬니로선 이 같은 조치가 천재적이었지만 공인 롬니에겐 재앙이었다. 그 후보의 회계사들은 롬니의 2011년 소득세 신고를 분해해 그의 호언과 일치하도록 해야했다. 그는 자신의 소득에 대해 실효세율로 13% 이하의 세금을 납부한 적이 없다고 장담했다.롬니의 캠페인은 유권자의 성향만으로도 가망이 없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의 절세전략이 그렇게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47% 발언’으로 그렇게 큰 타격을 받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그는 소득세를 내지 않으며 정부에 의존하는 저소득층 47%가 오바마에게 투표한다고 말했다).2억5000만 달러가 넘는 재산을 가진 사람이라면 돈을 역외로 빼돌리거나, 대통령이 되고자 하는 자신의 야망을 위험에 빠뜨릴 만한 짓을 할 이유가 전혀 없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업계 거물들은 자신의 욕심을 주체하지 못한다. 그들은 법의 테두리에서 맴돌다가 가끔씩 경계를 넘어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100분의 몇 포인트 수익을 늘리려는 노력이 그들의 평판과 경력에 오점을 남길지도 모른다.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스티브 코언과 그의 코네티컷주 회사 SAC 캐피털은 지난 수년간 놀라운 연간 수익(30% 이상)을 올렸다. 코언은 철저하게 수익률 확대 전략을 추구해 엄청난 부자가 됐다(포브스지 선정 400대 부자 중 40위). 그리고 현대미술 지원과 자선활동에 관한 한 무시하지 못할 큰 손이 됐다(무엇보다도 로빈 후드 재단에 거액을 기부했으며 고향 롱아일랜드에 아동병원을 기증했다).그러나 SAC와 그 계열사들, 그리고 전·현직 임직원들에 대한 장기간의 내부자거래 조사가 그 회사에 타격을 입혔다. SAC 안팎의 관계자들이 거래이익을 1000만 달러 또는 1억 달러 더 늘리려는 노력이 그들의 이익, 평판 그리고 몇몇 경우 신체적 자유의 희생을 초래할지 모른다. 그 동안의 증거가 이를 뒷받침한다. 지난 3월 SAC는 내부자거래 혐의에 대해 정부에 무려 6억 달러의 벌금을 내기로 타협했다.블룸버그에 따르면 2013년 1분기, 외부 투자자들이 SAC에 맡겼던 자금 중 4분의 1가량을 인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5월에는 미국 법무부가 SAC를 조사하면서 마피아를 대상으로 하는 조직범죄피해자보상법(RICO)의 적용을 검토 중이라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블랙스톤은 SAC에 투자한 5억5000만 달러 중 상당액을 환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헤지펀드로선 운용 자금이 줄어들면 이익이 낮아지게 된다.기업들은 재화나 용역 원가를 절감하는 외에도 그런 행동의 장기적인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저비용과 고수익을 너무 극단적으로 추구하면 브랜드와 개별 기업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임금이 오르자 의류 메이커들은 캄보디아·라오스·스리랑카 그리고 마침내 방글라데시라나 플라자의 어둡고 악마 같은 노동착취공장으로 눈길을 돌렸다.라나 플라자 건물이 붕괴되면서 불과 38달러의 월급을 받는 1123명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었다. ‘칠드런스 플레이스’ JC페니 같은 유통업체의 경우 납품업체와 하청업체가 방글라데시에서 의류제품을 외주 생산했다. 그 때문에 이들 유통업체는 기와 한 장 아끼려다가 대들보 썩힌 격이 됐다.애플은 제품의 제조와 조립을 중국으로 아웃소싱해 큰 이익을 남길 수 있었다. 그러나 주요 하청업체 중 하나인 팍스콘의 열악한 근로환경이 언론에 자세히 보도되면서 애플 브랜드에 커다란 오점을 남겼다. 그리고 그런 경우 발생하는 비용이 그들이 피하고자 하는 비용보다 큰 경우가 많다.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업체 ‘그룹 고든’의 최고경영자 마이클 고든의 지적이다. “후광을 입을 만한 회사들이 이런 꼬리표가 붙으면서 장기적으로 평판이 나빠진다.”더 많은 이익을 짜내려는 이 같은 무자비한 압박에는 거시경제적인 영향도 있다. 불황 이후 기업들은 임금을 동결 또는 삭감해도 근로자들이 군말 없이 일터에 나와 열심히 땀을 흘린다는 사실을 간파했다. 장비 제조업체 캐터필라의 경우 이익이 2009년 8억9500만 달러에서 2012년 무려 56억8000만 달러로 크게 늘어났다. 2012년 파업 중이던 노조와 타협했다. 타협조건에는 6년간의 임금동결이 포함됐다.이는 특이한 일이 아니다. 해가 바뀔수록 기업들이 자신들 몫으로 가져가는 파이가 커진다. 지난 수년간 GDP에서 임금이 차지하는 비율과 기업이익을 비교하는 그래프는 하마 입처럼 크게 벌어졌다. 2012년 GDP 대비 임금의 비율은 43.5%였다. 2001년 49%에서 5.5% 포인트 하락한 근래 들어 최저수준이었다. 미국의 평균 가계소득은 2009년 이후 사실상 감소했다.그러나 미국 근로자를 쥐어짜 단기이익을 얻어내는 전략이 미국 최대 유통업체에선 한계에 도달한 듯하다. “고객들은 모두 어디 있는가?” 지난 2월 초 유출된 이메일에서 월마트 중역이 내뱉은 푸념이다. “그리고 돈은 모두 어디 있는가?” 월마트는 한때 뛰어난 생산성을 자랑하는 미국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고객감소·판매품목감소·매출감소에 허덕이며 갈수록 슬프고 역기능적인 곳이 됐다.월마트 그리고 다른 많은 유통업체의 문제는 미국 내 임금이 많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1년 사이 평균 시급 인상률은 1.9%에 불과했다. 그것은 일정 부분 미국 민간부문의 최대 고용기업이 지나치게 철저히 국내 인건비를 억제했기 때문이다.월마트에 따르면 미국내 고용인원은 140만 명이다. 점원 평균임금이 시간 당 13달러 선이라고 한다. 월마트는 대단히 큰 기업이다. 미국 내 전체 민간부문 일자리의 1.23% 선을 차지한다. 그리고 미국 내 전체 소매유통 및 상거래 서비스 근로자의 9.3%가량을 고용한다. 따라서 소매유통과 서비스 분야 임금의 표준을 정한다.“오늘날 월마트가 창안한 초 저임금 모델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근로자는 곧 소비자다. 물품을 구입할 만큼 임금을 충분히 받지 못할 때 경제 전체의 성장이 둔화된다.” 맨해튼의 싱크탱크 데모스의 선임 정책분석가 에이미 트러브가 말했다. 월마트는 인건비를 최저수준으로 묶어두는 데 상당히 집착하게 됐다.따라서 블룸버그의 발표대로 수천 가지 품목을 진열대에 올리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그에 따라 더 많은 고객이 등을 돌리고 매출이 줄어든다. “우리는 저성장의 악순환에 갇히고 만다. 그리고 고집스럽게 인건비를 깎으려 애쓰는 기업들은 더 깊은 수렁으로 빠져들게 된다.” 트러브의 지적이다.기업들은 역사적인 이익환원 책임을 회피하는 데 놀라운 수완을 발휘했다. 이익환원이란 합당한 임금의 지불, 세금 납부, 복지혜택의 제공을 말한다. 그러나 기업들은 자신들의 논리적인 결론에 따라 절세와 원가절감 전략을 추구하면서 종종 기본적인 진실을 간과한다. 납세, 전반적인 부의 분배, 사회적 책임의 이행은 기업홍보의 문제가 아니라 정당성의 문제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런 이기적인 행동을 하는 기업은 정당성과 사회적 인정을 잃게 된다.쿡과 그의 애플 동료들이 증언할 때 상원의원들은 애플을 유력기업이자 혁신기업으로 존중했다. 하지만 그들의 주장에는 코웃음을 쳤다. 쿡조차 애플이 도를 넘었다는 점을 시인하는 듯했다. 그리고 앞으로는 더 많은 세금을 납부할 의사가 있음을 공개적으로 시사했다.“애플은 항상 복잡함이 아니라 단순함을 믿었다”고 쿡이 말했다. “이런 정신에서 기업 세법의 대폭적인 단순화를 제안한다. 우리는 두 눈을 크게 뜨고 이같은 제안을 한다. 애플의 미국 내 납세액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전적으로 인식한다.”그의 말은 애플의 납세액이 너무 낮아져 이젠 더 내려갈 데도 없음을 가리키는 듯했다. 애플을 본보기로 삼는 수많은 다른 기업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성싶다.

2013.06.10 15:23

9분 소요
중국 임금인상, 브레이크가 없다

국제 이슈

3월 3일 중국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가 개막된 베이징 인민대회당. 올해 이 자리에서는 전국에서 올라온 정협위원 간에 인력난 해결 방법에 대한 토론이 벌어졌다. 인력난이 비단 어제오늘만의 일은 아니다. 하지만 올해는 과거 막대한 노동력 공급의 원천이었던 중서부 내륙지역마저 사람을 못 구해 아우성이다.최근 10여 년간 투자기업이 몰려든 화난(華南)과 화둥(華東)지역은 춘절 연휴만 지나면 고향에서 돌아오지 않는 노동자 때문에 골머리를 앓아 왔다. 올해는 과거보다 더 심각하다.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 들어 창장(長江) 삼각주지역 농민공 수는 2816만 명으로 전년 대비 8% 감소했다. 주장(珠江) 삼각주지역은 3282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무려 23% 줄어들었다. 농민공이 가장 많은 도시 중 하나인 광둥성 둥관시에서는 올 춘절 때 고향으로 돌아간 약 350만 명의 노동자 중 160만 명만 회사로 복귀했다.이 같은 인력난은 중국 기업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급여 수준이 높고 복리후생이 나은 외국계 기업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2월 27일 KOTRA가 중국 진출 한국 투자기업 279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87%가 구인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근로자를 구하는 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12.5%에 불과했다.올해 춘절 연휴 기간 근로자 유실 정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 투자기업의 51%가 근로자 유실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심지어 전체 근로자의 57%까지 인력 유실을 경험했다는 기업도 나왔다.자의식 강해져 힘든 일 기피중국에 진출한 외국기업은 그동안 중국을 노동집약산업 생산기지로 삼았다. 그러나 최근 가파른 물가상승으로 인한 임금인상, 노동계약법 발효 이후 기업에 불리해진 노동환경, 지난해부터 발생하기 시작한 노사분규 등으로 경영환경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올 들어 중국의 인력난이 특히 심해진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정협 위원인 리리신(李立新)은 경제구조 변화 및 산업기지의 중서부 내륙지역 이전에 따른 노동력 이동이 인력난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최근 수년간 중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 등이 내륙지역에 집중되면서 이곳의 인력 수요가 확대됐고, 이로 인해 전통적 인력 공급기지로서의 역할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라는 시각이다.신세대 농민공이 주류로 자리 잡으면서 의식구조가 전환되고 있는 것도 주요 이유다. 과거 1세대 농민공은 ‘열심히 돈을 벌어 가족을 부양한다’는 목표로 일했다. 그러나 현재 신세대 농민공은 개인가치 실현과 미래에 대해 더욱 관심이 많다. 자아의식이 강하다 보니 인내력은 갈수록 줄어들고, 힘든 일도 기피한다. 이로 인한 노사 갈등이 불거지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중국 자체에서 인력 찾기가 어려워지자 동남아 지역의 비교적 저렴한 노동자로 눈을 돌리는 기업이 생겨나고 있다. 광시(廣西)대 동남아연구센터 장원산(張文山) 교수는 베트남 출신 노동자는 500~800위안 정도면 고용할 수 있지만 중국인은 최소 1000~1500위안을 줘야 한다며 앞으로 동남아로부터의 인력 ‘수혈’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인력난은 최근 물가상승과 맞물려 고스란히 임금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이후 중국 30개 성에서 표준 최저임금이 상향 조정됐다. 일반적으로 임금인상 폭은 10% 정도인데, 한꺼번에 25%나 오른 곳도 있다. 지린(吉林)성 창춘(長春)시의 최저임금 표준은 2009년 월 650위안에서 2010년 5월 1일 820위안으로 26.2%나 올랐다. 올해 지린성 정부가 다시 20% 인상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창춘시 최저임금은 960위안으로 오른다.홍콩 중화기업상회는 춘절 이후 임금 수준이 지난해보다 최소 20% 올랐다고 발표했다. 기업마다 근로자를 붙잡아두기 위해 거주여건을 개선하고 문화오락 시설을 짓는 등 각고의 노력을 펼치고 있다.표준 최저임금 큰 폭 뛰어장먼(江門)시에 소재한 한 기업은 임금을 200~300위안 높이는 것 외에 직원을 위한 헬스센터 건립, 휴일에 공장과 시내를 왕복하는 셔틀버스 운행, 직원 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등 복리혜택을 추가해 직원 붙잡기에 혈안이다.중국의 최저임금 표준이 큰 폭으로 뛰고 있는 이유는 금융위기 발생 후 1년 여 동안 억제됐던 임금이 최근 경기회복 추세와 물가급등에 따라 일제히 상승 모드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정부는 ‘민심 잡기’에 초점을 맞춘 12·5 규획 중 매년 평균 13%씩 최저임금을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중화전국총공회도 환영의 뜻을 표했다. 그동안 총공회 측은 최저임금 수준이 실제 평균임금의 60% 선에는 달해야 한다고 정부에 압력을 넣고 있어 기업을 긴장시키고 있다.우리 기업 역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2월 설문조사 응답 기업의 84.6%가 직원 임금을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0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상응하는 수준인 5% 미만으로 임금을 인상한 기업은 전체의 8%에 불과한 반면 20% 이상 인상한 기업은 22%를 넘었다. 고임금, 고비용으로 인한 경영난 심화가 걱정스러운 부분이다.더욱 우려되는 것은 임금인상에 대한 근로자 반응이 시큰둥하다는 데 있다. 응답 기업의 55%가 근로자의 반응이 ‘보통’이라고 답했으며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19%를 차지했다. 이는 임금인상률이 낮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고물가에 따른 생활여건 악화, 생산직과 고위직 노동자 간의 높은 임금 격차로 인해 일반 근로자의 상대적 박탈감이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임금인상은 기업의 생산원가를 상승시킬 수밖에 없다. 그동안 중국은 염가 노동력을 기본으로 한 제조업 중심의 ‘세계의 공장’으로 각인돼 왔다. 그러나 중국 노동자의 자아의식이 점차 강화되고 높은 임금인상이 장기적 추세로 고착된다면 채산성 악화와 경쟁력 약화로 신음하는 기업이 늘어나게 될 것이다. 늦기 전에 기업 체질개선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카멜레온 같은 변신이 필요하다.

2011.03.28 13:45

4분 소요
기업 연내 퇴직연금 바꿔야 퇴직급여 법인세 혜택 유지

산업 일반

직원이 100명 정도인 서비스업체에 근무하는 김정아(36)씨는 지난 연말 퇴직연금 운용현황 보고서를 받아 들고 깜짝 놀랐다. 퇴직급여에 예상치도 않았던 운용수익이 붙어 있었던 것. 1년 전 새로 입사한 직장이 퇴직연금 가입 사업장이어서 입사 초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에 계좌를 개설했는데 이를 잊고 있었던 것이다. 김씨는 “당시에는 퇴직금 떼일 염려는 없겠다는 생각에 그저 다행이라고만 여겼는데, 막상 수익보고서를 받고 보니 보너스를 받은 기분이었다”고 말했다.최근 몇 년간 퇴직연금으로 전환한 기업이 늘어나면서 김씨처럼 퇴직연금 적립금을 운용하는 재미가 쏠쏠하다는 직장인이 많아졌다. 특히 퇴직연금 유형 중 근로자가 직접 적립금을 운용하는 확정기여형의 경우 운용 결과에 따라 더 많은 수익을 낼 수도 있고, 추가 납입 시에는 세제혜택도 있어 장기분산투자를 통한 자산관리에 유용하다는 게 금융업계의 설명이다.가입자 선택권 확대돼이처럼 퇴직연금은 기존 퇴직금제도에 비해 ‘떼일 염려 없이 안전하다’는 기본 장점뿐 아니라 제도설계 및 운용과정에서 개인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보다 선진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퇴직연금을 도입하는 기업 입장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 총급여에 속하는 퇴직금이지만 사실상 직원은 이를 급여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입장 차이가 상당히 줄어들기 때문이다.최종화 KDB생명 법인사업팀장은 “과거에 퇴직금은 법정복지제도일 뿐이어서 회사 입장에서는 근로자에게 보수를 주는 것이지만 제 기능을 못해 왔다”며 “근로자는 퇴직연금으로 운용수익 등이 붙으면 즉시 이 또한 총급여에 속한다는 것을 인식하므로 근무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말했다. 그러나 적립금을 근로자가 직접 운용하는 확정기여형이 모두에게 다 유리한 것은 아니다. 사업장의 규모, 개인의 투자 성격에 따라 퇴직연금 유형별로 향후 수익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퇴직연금 가입 시에는 꼼꼼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는 조언한다.퇴직연금은 확정기여형 외에 확정급여(DB)형과 IRA(개인퇴직계좌)가 있다. 사용자인 기업이 적립금을 운용하는 확정급여형은 운용실적과 상관없이 정해진 금액을 지급받기 때문에 실적에 따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없다. 하지만 운용손실이 발생하더라도 회사가 책임지게 된다. 퇴직 시 평균임금에 근무연수를 곱한 금액이 퇴직급여가 되기 때문에 임금인상률이 높은 대기업 등 안정된 직장 근로자에게 좀 더 유리하다. 반면 임금이 동결되거나 삭감될 경우에는 확정기여형에 비해 적립금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에 경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기업은 적합하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확정기여형은 사용자가 근로자 명의의 계좌에 퇴직급여를 매달 적립하기 때문에 성과급 중심의 연봉제 근로자 등 임금이 일정치 않은 근로자에게 좀 더 유리하다. 특히 60% 이상 사외 적립하도록 돼 있는 확정급여형과 달리 전액을 외부에 적립해야 하기 때문에 퇴직금을 떼일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점도 장점으로 여겨진다. 임금 체불 위험이 높은 중소기업 및 영세사업장 근로자에게 매우 유용한 제도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안정된 보수를 받는 직장 직원이라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운용 실적에 따라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확정기여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IRA는 퇴직 또는 이직 시 퇴직급여를 생활자금으로 소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인퇴직계좌에 넣어두고 세제혜택을 받으며 확정기여형과 같이 계속 운용하도록 한 제도다. 55세 이후에 일시금 또는 연금으로 지급받기 때문에 실질적인 은퇴 시점까지 퇴직급여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미국의 경우 IRA가 퇴직연금 유형 중 적립금 규모가 가장 클 정도로 활성화돼 있다.고용노동부 임금복지과 손재형 사무관은 “과거에는 예금이나 적금 또는 부동산이 주된 자산증식 수단이었으나 이제는 다양한 금융상품을 통해 자산을 관리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며 “퇴직연금제도는 퇴직급여 적립금을 자산운용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 금융상품에 장기분산투자함으로써 자산관리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 준다”고 말했다.근로자 수가 30명인 한 방송제작 업체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퇴직금을 연봉에 포함시켜 지급해 왔다. 그러나 직원이 퇴사하면서 퇴직금 미지급을 이유로 지방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는 사례가 잇따르자 노사 합의하에 퇴직연금제를 도입했다.모기업에서 분리된 한 제조업체는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퇴직금을 안정적으로 적립하자는 데 노사가 합의하고 퇴직연금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 회사는 노사 동수로 추진 팀을 구성하고, 설명회와 설문조사 등을 거쳐 79%가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확정기여형에 가입했다.노사 합의로 도입하는 기업도 늘어삼성화재 이상혁 연금펀드기획팀 과장은 “확정기여형은 퇴직금이 경직되지 않고 자산운용 능력에 의해 더 많이 수익을 낼 수 있는 획기적인 것”이라며 “개인계좌형 시장과 함께 근로자의 노후를 보장하는 부분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노사 협의로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임금협상을 비롯한 노사 간 협상의 경우 상당수가 양자 간 이익이 분명하게 대립해 갈등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반해 퇴직연금의 경우 노사가 윈윈할 수 있는 대표적 협상 의제라고 할 수 있다. 어차피 사용자가 지급해야 할 퇴직급여의 지급방식을 두고 제도설계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쪽에 특별히 유리하거나 불리한 제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 퇴직연금은 노사 양측에 긍정적 요소가 존재한다는 의견을 내놓는 전문가가 많다. 퇴직연금이 기존 퇴직금제도에 비해 근로자의 수급권을 보장하고 있기 때문에 근로자에게만 유리한 제도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으나 실제 퇴직연금제도는 사용자 측에도 적지 않은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무엇보다 기업 입장에서 퇴직연금은 법인세를 절감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 확정기여형의 경우 퇴직연금 부담금 전액을, 확정급여형의 경우 퇴직급여추계액 한도 내에서 손비인정을 해주기 때문에 그만큼 법인세를 절감할 수 있다.올해 말 기존 퇴직금제도와 퇴직연금제도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퇴직보험에 대한 손비인정이 폐지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퇴직급여에 대한 법인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올해 안에 퇴직연금으로 전환해야 한다. 2011년에는 퇴직급여 사외적립에 대한 법인세 혜택을 받는 제도는 퇴직연금제가 유일해진다.확정급여형에 가입한 경우라면 퇴직연금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추가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확정기여형의 적립금 운용주체가 근로자라면, 확정급여형은 사용자가 운용주체이므로 채권, 주식, 수익증권, 변액보험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가 가능하다. 확정급여형의 경우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퇴직급여가 고정되어 있는 만큼 운용수익이 날 경우 기업의 퇴직급여 관련 비용부담은 그만큼 경감될 수 있다.또 퇴직연금은 매년 발생하는 퇴직부채비율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이는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향상시키고, 퇴직금 체불에 따른 민·형사책임 등 법적 위험도 해소할 수 있다. 이외에 퇴직연봉제, 성과주의 임금제도 등 변화하고 있는 인사노무 환경에도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제도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고용노동부 강운경 임금복지과장은 “퇴직연금은 근로자에게는 수급권 보장과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사용자에게는 재무건전성 제고와 법인세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도”라며 “노사 협의하에 각 사업장에 가장 적합한 제도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단 확정급여형은 예금자보호법 대상이 아니고, 확정기여형이나 개인계좌도 근로자가 직접 예금자보호법 대상이 되는 상품을 골라야만 보호받을 수 있다.

2010.10.18 15:31

5분 소요
DB? DC?… 목표부터 분명히!

산업 일반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에서 퇴직연금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체 실무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그돈이 어떤 돈인데!”직장과 ‘영원한 이별’을 담보로 받은 퇴직금을 한순간에 다 잃고 한탄할 일이 더는 없을 듯하다. 한꺼번에 목돈으로 받던 퇴직금을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기 때문이다. 퇴직연금 제도를 일컬어 하는 말이다. 퇴직연금은 기업이 기존 퇴직금 제도를 대체해 금융기관에 매년 퇴직금 해당금액을 적립하면 근로자가 퇴직할 때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받아 노후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 제도를 말한다. 퇴직연금 가입자는 꾸준히 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퇴직연금 제도에 현재 5인 이상 사업장의 10%, 전체 상용근로자의 16.4%가 가입했다.그럼에도 퇴직연금은 일반 직장인에게는 ‘낯선 이름’이다. 오히려 “회사가 알아서 가입하는 것 아닌가? 제대로 된 설명이나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되묻는 직장인이 더 많다. 하지만 앞으로 퇴직연금 제도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지고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후기간이 길어진 탓이다. 벌써 100만 명 넘게 가입퇴직연금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것은 2005년 12월이다. 아직 활성화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지난해 2월 말 기준 퇴직연금 가입자는 115만 명, 적립금은 6조7844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퇴직연금은 여느 금융상품이 그렇듯 결코 간단치 않은 상품이다. 세금, 회계 기준과도 관련이 있다. 하지만 근로자는 제도의 ‘핵심’만 챙기면 든든한 ‘노후 안전판’으로 퇴직연금을 만나게 된다. 퇴직연금은 확정급여형(DB형)과 확정기여형(DC형)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DB형은 퇴직 이후 받는 연금 수령액이 미리 확정된 형태고, DC형은 회사에서 매년 퇴직금을 개인계좌에 넣어주면 근로자가 자신의 판단으로 투자해 운용실적에 따라 연금수령액을 받는 형태다. 기업은 직원과 합의를 거쳐 어떤 유형의 상품을 선택할지 결정한다. DB형의 퇴직급여 액수는 퇴직일 직전 3개월 평균임금에 근속연수를 곱한 금액으로, 기존 퇴직금 제도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근로자든 기업이든 재무설계를 하기에 쉽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기업이 파산하면 의무적으로 사외 금융기관에 적립하도록 한 60%까지만 보호받도록 돼 있어 퇴직금 지급을 100% 보장받을 수 없다.근로자가 DB형으로 목돈을 마련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몸값’을 높이는 것이다. 평균임금이 높으면 그만큼 퇴직연금 수령액이 많아진다. 아울러 기업이 사업자 선택을 잘해야 운용실적이 좋아지면서 더 많은 연금을 기대할 수 있다.실질임금 줄면서 DC에 관심 높아져DC형은 적립금 운용 책임을 근로자가 지도록 한 상품이다. 연간 급여 총액의 12분의 1 이상 되는 일정 금액을 회사가 1년에 한 번 이상 근로자에게 납입하면 근로자가 스스로 선택해 이를 운용한다. 근로자 입장에서는 퇴직금 수급권을 100%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특히 운용 수익률이 임금 상승률보다 높을 경우 퇴직금이 늘어나도록 설계돼 있다. 일정 금액을 일정기간마다 적립한다는 점에서 ‘적립식 투자’와 비슷한데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적고 펀드 변경이 더 쉽다. 기업이 파산해도 돈을 떼일 염려가 없고 회사를 옮길 때마다 이전이 가능하다. 이와는 별도로 근로자가 퇴직연금을 추가로 납입하면 연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도 주어진다. 기업 역시 연 급여의 12분의 1만 퇴직금으로 지급하면 돼 자동 중간정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운용 손실이 나면 그만큼 퇴직연금을 깎아먹게 된다. 기업으로서도 운용 수익률이 하락하면 근로자의 불안감이 고조된다는 측면에서 썩 반가운 뉴스는 아닐 것이다. DC형, DB형 모두 중도인출이 거의 불가능해 중도에 생활자금으로 돈을 다 써버릴 염려는 없다. 그러면 근로자 입장에서는 어떤 상품에 가입하는 게 유리할까. 이는 해당 회사별 임금체계나 임금 상승률, 개인 사정 등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 DB형은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높은 기업의 근로자나 안전 중시형 근로자에게 유리하다. DC형은 임금 상승률이 낮을 경우 주로 선택된다. 최근엔 금융위기로 기업 임금이 동결되고 자산가치가 하락하면서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DC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격적 투자 성향을 지닌 근로자라면 DB형에 가입한 상태에서 추가로 개인퇴직계좌(IRA)를 통해 DC에 들 수도 있다. IRA는 일시금으로 받은 퇴직금을 자기 명의 계좌에 적립해 운용하는 것으로 정부가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으로 IRA에 대한 예금자 보호를 추진하고 있어 ‘안전판’을 확보했다. 일단 DB형에 가입해 안정적인 연금을 확보하고, IRA를 통해 추가수익을 얻는 형태가 가능해진 것이다. 미래에셋증권의 이재호 자산운용컨설팅본부장은 “선진국 사례에서 볼 때 자산운용 컨설팅 역량이 퇴직연금 수익률을 판가름했다”며 “운용기관의 선정, 기업의 종업원에 대한 투자교육,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멍석 깔아주면 못 한다’는 말이 있다. 막상 퇴직연금에 가입하려니 부담스러운 가입자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안정적인 노후를 생각한다면 자신의 퇴직금을 어떻게 굴릴지 꼼꼼하게 계획하고 사는 게 현대 직장인의 권리이자 ‘의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직 잦으면 DC형이 유리해 DB형일까, DC형일까? 다음 10가지 항목 가운데 ‘예’가 6개 이상이면 DC형에 가입하는 것이 근로자에게 유리하다. 반대로 6개 미만이면 DB형이 적합하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투자 참고사항일 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 현재 내가 속한 회사의 5년 평균 임금인상률이 5% 미만이다. - 현재 회사에 근무한 연수가 5년 미만이다. - 3년 이내 퇴사하거나 다른 직장으로 이직할 생각이 있다. - 매년 중간정산으로 퇴직금을 수령한다. - 금융상품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고 관심이 있다. - 주식이나 펀드에 투자하고 있거나 투자한 경험이 있다. - 재테크 및 노후설계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받기 원한다. - 퇴직 급여를 직접 운용하고 싶은 생각이 있다. - 은퇴 뒤 필요한 노후생활 목표자금을 정해 놓았다. - 장기·분산투자 등 투자에 대한 기본 마인드를 갖추고 있다. “퇴직연금 반드시 장기, 분산 투자해야” 인터뷰 손성동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 연구실장 첫 시행은 2005년 12월, 벌써 일반 직장인의 16%가 가입해 있다. 퇴직연금 얘기다. 그런데 왜 정작 당사자인 직장인들에겐 익숙하지 않은 이름일까? 퇴직연금 제도에 대한 궁금증을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의 손성동 실장과 함께 풀어봤다 >> 기존 퇴직금 제도보다 유리한 점은 무엇인가? “노후생활 자금원 역할에 충실하다는 것이다. 퇴직금은 중간에 정산해 일상 생활자금으로 써버릴 수 있지만 퇴직연금은 중간정산 요건이 까다로워 은퇴할 때까지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 이 제도에 가입하면 기업도 유리한가? “그렇다. 첫째, 매년 퇴직연금 납입금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현금 흐름에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 둘째, 근로자의 노후생활을 보장하므로 우수 인력을 유치하고 지속적으로 보유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이직이 잦은 사람과 화물차 기사, 학습지 교사 등 특수형태 근로자에게도 적합한가? “더 필요하다. 이직이 잦으면 회사를 옮길 때마다 퇴직금을 생활자금으로 써 버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만 특수형태 근로자는 현행제도에서 가입이 어려운 점이 있다. 제도를 개정하는 중이므로 앞으로 가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 국내 퇴직연금 서비스의 질은 어느 정도인가? “현재 50여 개 금융기관이 퇴직연금 서비스를 제공한다. 퇴직금이나 일반 금융상품과 달리 퇴직연금에 가입하면 은퇴설계, 금융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지만 아직 활용도는 낮은 편이다.” >> 은행·증권사·보험사 등이 제각각 퇴직연금 상품을 내놓고 있다. 사업자별 장단점은? “은행은 계좌이체 수수료 인하 등 부가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고, 증권사는 투자 운용에, 보험사는 종신연금 지급에 장점이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는 본업의 특징을 나열한 것이므로 제도 설계, 자산배분, 투자교육 등 퇴직연금에 충실한 사업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퇴직연금에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장기투자와 분산투자를 꼭 기억해야 한다. 아무리 장기투자라 해도 특정 분야에 ‘올인’하는 것은 위험하다.”

2009.04.20 16:59

5분 소요
변액보험은 돈 가치 하락 예방

산업 일반

은퇴 설계를 잘해야 편안한 노후를 즐길 수 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이번에는 은퇴 시에 필요한 연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흔히 연금의 ‘3중 안전장치’라고 말할 때 거론되는 첫 번째 상품은 단연 국민연금이다. 연금의 기본이다. 둘째는 퇴직연금(기업연금), 셋째는 개인연금이다. 보험전문가인 조윤석 PCA생명 FC(파이낸셜 컨설턴트)는“은퇴에 필요한 보험상품은 크게 보장성이 강한 보험과 저축성이 강한 보험으로 나눌 수 있다”며 “보장성 보험 중 대표는 종신보험·정기보험·건강보험이고, 저축성의 대표는 변액보험·저축보험·연금보험”이라고 말했다.그는 “국민연금이나 퇴직연금은 저축성이 돋보이는 보험”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연금이 있는지 알아보자. ◇국민연금=1988년에 도입된 국민연금은 국가가 사회보험의 원리를 도입해 만든 제도다. 가입자인 국민, 가입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용자와 국가가 일정 금액(월 소득의 9%)의 보험료를 분담해서 낸다. 국가는 이 보험료를 모아서 운용하고 나중에 보험금으로 사용한다. 국민연금은 연금 지급액의 실질가치를 보장한다는 게 특징이다. 매년 물가가 오른 만큼 연금 지급액도 올라간다. 예를 들어 1988년에 연 100만원의 소득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했다고 치자. 이를 2008년에 재평가하면 연 430만원의 소득액이 된다. 그러면 2008년에는 연 430만원의 소득액을 기준으로 국민연금을 계산한다. 강창희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장은 “국민연금은 연금 중 필수품이고, 연금에 들 때는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은 단점도 있다. 실제로 받는 연금 수령액 자체가 계속 줄고 있는 것이다. 보험료 납입액이나 납입기간에 따라 조건이 조금씩 달라지지만 대략적으로 40년간 보험료를 내면 은퇴할 때 평균소득의 50%(소득대체율이 50%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를 받는다. 문제는 이 비율이 계속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2008년에도 기존 60%에서 50%로 줄어들었다. 2028년부터는 40%로 낮아질 예정이다. 게다가 일반인들이 40년간 보험료를 계속 내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럴 경우 국민연금은 연금 구실을 제대로 못할 수도 있다. 최소 생활비 수준에 그친다는 것이다. 현재 국민연금은 더 심각한 문제에 부닥쳐 있다. 기금 자체가 고갈될 위험에 처해 있다는 지적이다. ◇퇴직연금=국민연금에 크게 기대하지 않는 이들은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에 들어 은퇴에 대비해야 한다. 이번에는 퇴직연금을 알아보자. 퇴직연금은 근로자의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재직기간 중 퇴직금 지급 재원을 외부의 금융기관에 적립하고 이를 사용자(기업)나 근로자의 요구에 따라 운용하는 게 특징이다. 근로자가 퇴직할 때 연금이나 일시금 형태로 퇴직금 대신 지급한다. 선진국에서는 퇴직연금제도를 20~30년 전에 이미 도입했지만 우리나라는 2006년 들어서야 선보였다. 아직 퇴직연금 시행 초기라서 전체 근로자들이 퇴직연금 덕을 보는 게 쉽지 않다. 퇴직연금제도에는 확정급여형과 확정기여형, 개인퇴직계좌형이 있다. 확정급여형은 근로자가 퇴직 때 수령할 퇴직급여가 근무기간과 평균임금에 의해 사전적으로 확정된다. 확정급여형에서 퇴직금 액수를 결정짓는 변수는 임금인상률과 예상근속기간이다. 확정급여형을 선택하면 가입자는 퇴직금이 정해져 있는 상태이기에 퇴직자산 운용에 큰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전체 퇴직금의 60%가 사외에 적립된다. 단점도 있다. 회사가 파산하면 낸 돈의 40%를 못 받을 수 있고, 물가상승으로 퇴직금 자체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확정기여형은 사용자가 매년 연간 임금의 12분의 1 이상을 부담금으로 납부하고 근로자가 적립금의 운용방법을 결정하는 제도다. 투자형 상품이기에 퇴직자산이 줄어들 수도 있고, 원금손실이 일어날 수도 있다. 확정기여형을 선택할 때는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금융회사를 잘 골라야 한다. 개인퇴직계좌형 퇴직연금도 있다. 근로자가 퇴직하거나 직장을 옮길 때 퇴직금을 자기 이름의 퇴직 계좌에 적립해 연금 같은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통상적으로 세 가지 유형 중 확정급여형과 확정기여형을 많이 선택한다. ◇개인연금=우재룡 한국펀드연구소 소장은 “은퇴 이후에 바라는 소득을 얻으려면, 은퇴 전에 개인연금 상품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금융회사들이 판매하고 있는 개인연금상품 중 대표적인 게 연금저축이다. 은행의 연금신탁, 보험사의 연금저축보험, 증권사의 연금저축펀드가 그것이다. 은행과 보험사의 연금상품은 예금자보호 대상인 게 특징이다. 1인당 1500만원까지 원금을 보장 받을 수 있다. 연금저축의 단점은 물가인상으로 연금저축에 들어간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걸 막을 수 없다는 점이다. 이럴 때 전문가들이 거론하는 상품이 바로 변액연금보험이다. 변액연금보험은 말 그대로 연금보험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일정 시점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또 보험계약자가 낸 보험료의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해 그 실적대로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투자형 상품이기 때문에 연금저축과 달리 돈 가치 하락을 막을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조윤석 FC는 강조했다. 변액연금보험을 받는 방법은 세 가지다. 하나는 확정연금형이다. 연금 개시 후 약정한 연금지급기간(5~20년) 동안 연금을 받을 수 있다. 종신연금형을 선택하면 연금 개시 후 피보험자가 사망할 때까지 계속 받는다. 상속연금형은 피보험자가 생존할 때 연금을 받다가 피보험자가 사망하면 사망 시점의 적립액을 상속인에게 준다. 변액연금을 받는 시점은 피보험자 나이가 만 45세부터 가능하다. 투자형 상품이라 원금 손실을 볼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 상품에 가입할 때는 10년 이상의 장기투자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현장 인터뷰 조윤석 PCA생명 하나지점 FC “연금보험은 물가 상승률 못 따라가” 조윤석 FC(yoonseok.cho@pcalife.co.kr)는 PCA 안에서 잘나가는 설계사다. 2004년부터 4년간 MDRT(연봉 1억원 이상의 보험인 클럽) 기록을 달성한 경력을 갖고 있다. -왜 연금이나 보험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는가?“연금이든 보험이든 사전에 잘 알고 가입해야 손해를 보지 않는다. 상담을 해보면 상품 설명을 듣는 것을 고객이 상당히 귀찮아 한다. 이는 잘못된 것이다. 월 20만원짜리 보험상품도 10년이면 2400만원이 들어가는 큰 상품이란 걸 알아야 한다.”-연금보험보다 변액연금보험이나 변액유니버셜보험이 낫다는 근거는….“이유는 간단하다. 연금보험에 월 100만원씩 10년간 붓는다고 해보자. 연 5.5% 이자율로 계산하면, 원리금 1억6300만원이고, 이 중 이자가 4300만원이다. 그런데 물가상승률 4%를 적용하면 1억6300만원은 현재 가치로 1억1000만원에 불과하다. 이는 원금(1억2000만원)만도 못하다. 돈 가치 하락을 막지 못한다는 얘기다. 그래서 반드시 투자가 가미된 변액보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개인연금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국민연금을 볼 때는 고령화 사회를 먼저 눈여겨봐야 한다. 젊은 사람들이 낸 돈으로 노령자들이 국민연금을 받아야 하는데,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출산율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나라다. 국민연금에 기대기보다 개인연금을 준비하는 게 현명하다.”-반드시 들어야 할 보장성 보험과 저축성 보험은….“보장성 보험으로는 변액유니버셜보험을 소개하고 싶다. 10년 이상 장기가입을 해야지만 그 기간이 지나면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저축성 보험은 종신보험과 더불어 손해보험사의 질병상해보험인 ‘실비보장보험’도 권하고 싶다.”-가입 후 조심할 점은.“보장성 보험은 보험료 납입을 계속해야 한다. 보험료를 두 달 연체하면 보험사의 보장책임이 사라진다는 것을 사람들이 잘 모른다. 저축성 보험인 경우 가입 후 자주 담당 FC를 만나라고 말하고 싶다. 특히 변액유니버셜보험인 경우 분기별로 날아오는 운용보고서를 잘 살펴야 한다. 필요하면 담당 FC를 만나 가입한 펀드를 교체할 수도 있다. 가입 전에 운용사가 어디인가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사전에 실력 있는 운용사를 고르는 안목도 필요하다.”

2008.09.22 11:41

5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