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SK건설→SK에코플랜트, ESG 걸맞은 친환경 대표 기업 변신 예고
- 10조원 IPO 추진, 3조원 들여 M&A·친환경 기술 확보 계획도

SK에코플랜트는 사내 인트라넷에 올린 ‘딥 체인지 스토리(Deep Change Story)’ 영상에서 바뀐 사명과 CI(Corporate Identity)를 발표했다. 해당 영상에서 안재현 SK에코플랜트 사장은 10조원 규모의 기업공개(IPO) 계획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EMC홀딩스 인수 이어 신사업 투자 지속…사명 걸맞은 성장 이어가나

SK에코플랜트는 친환경을 뜻하는 ‘에코(Eco)’와 심는다는 뜻의 영단어 ‘플랜트(Plant)’의 합성어다. 전통적인 건설업에서 친환경으로 사업 다각화를 시도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건설업계 등에선 SK에코플랜트의 이 같은 계획이 지난해부터 본격화됐다는 시각이 많다. 지난해 SK에코플랜트가 수처리 및 폐기물 처리를 망라하는 환경플랫폼기업 EMC홀딩스(현 환경시설관리)를 1조500억원에 인수한 데 이어 서울중앙지법에 SK에코플랜트, SK임팩트, SK서클러스 등 3개 상호에 대해 가등기를 신청했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올해 초 조직 개편을 통해 인프라·건축주택·플랜트·기타로 구성된 사업 부문을 에코비즈니스(자원재활용)·에코에너지(신재생에너지)·에코스페이스(주택·건축)·에코엔지니어링(발전·플랜트)·에코인프라(인프라건설) 등 신사업 중심으로 확대 개편했다.
SK에코플랜트 측은 지난해 인수한 환경시설관리를 주축으로 수처리 및 폐기물 소각·매립 분야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베트남·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친환경 기업을 추가로 인수해 산업단지 신규 개발을 추진하고 시너지를 낸다는 구상이다. 탄소중립 흐름 속에서 성장해야 하는 아시아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전 아시아에 사업 영역을 확대한다는 비전을 밝힌 셈이다.
이밖에도 수소연료전지, 해상풍력 등 탄소중립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총 3조원을 투자한다.
10조원 가치 상장 ‘큰 그림’ 공개, 소문 현실화
건설업계에 소문으로만 떠돌던 기업공개 역시 2023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친환경 기업으로의 전환이 사실상 마무리되는 시기다. SK에코플랜트 발표에 따르면 예상 상장규모는 10조원에 달한다.
곧 상장기업이 되는 만큼 사회적 책임도 중요할 것이란 평가다. SK에코플랜트는 이사회 중심의 투명 경영을 확립하고 SK 계열사와 협력사, 금융기관 등 이해관계자와 소통 강화를 위해 사업 초기부터 협력하는 OTO(One Team Operation)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부터 ESG경영을 강조해온 최태원 회장의 경영 기조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안재현 사장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연결 리더십을 발휘해 ESG를 선도하는 아시아 대표 환경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임팩트 있는 솔루션을 찾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보름 기자 min.boreum@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문수 “65세 이상, 버스도 무임승차…출퇴근 시간은 제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종민·에일리·심현섭, 오늘(20일) 결혼… 연예인 하객들 바쁘겠네 [왓IS]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만원대 맞아?” BBQ 치킨에 짬뽕 무한리필 끝판왕 뷔페[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