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 26일 금통위…고물가·美금리인상 여파에 기준금리 인상할까

23일 한은에 따르면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가 26일 개최된다. 회의 결과는 기준금리 만장일치 인상에 무게가 실린다. 이번에도 0.25%포인트 인상이 결정된다면 2007년 7~8월 이후 첫 2개월 연속 인상이 된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은 고물가와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로 이미 예견돼왔다.
실제 국내 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8%로, 2008년 10월 이후 13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초 빅스텝을 단행한 사실도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강력한 신호로 제시됐다.
다만 당장 한은이 연준처럼 빅스텝에 나설 가능성은 다소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6일 불투명한 물가 전망을 언급하며 “향후 빅스텝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해 빅스텝 단행 가능성에 관심이 쏠렸다.
하지만 통화 전문가들은 대체로 물가 정점이 확인되는 여름까진 빅스텝보다는 ‘베이비 스텝’(통상적인 0.2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이달까지 두 달 연속 기준금리가 오른 이후에도 연내 두세 차례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 결과적으로 연말 기준금리는 2%를 훌쩍 넘어설 전망이다.
한편 한은은 26일 금통위 회의와 함께 수정 경제전망도 내놓는다. 전문가들은 현재 3.1%인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대로 높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소비자물가가 4%대에 진입하게 되면 지난 2011년 7월 이후 10년 10개월만에 4%대가 등장하게 된다.
또한 전문가들은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0%에서 2%대 중후반까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심판이라 세컨드 못 본다"더니…'의식불명 복서' 지도자, 활동 심판 아니었...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딘딘, 뜻밖의 발언…"12년 발악도 안 된걸"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美학자 “한국, 트럼프 말대로 할 바엔 수출업체 지원하는 게 낫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혁신 기대했는데…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개점휴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박성민 큐어스트림 대표 “내년 완전자동화 인슐린 펌프 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