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급 전쟁”...노사 분쟁한 SK하이닉스부터 기 살리기 나선 삼성까지
[말 많은 성과급] ①
노사 4차례 협의 나선 SK하이닉스
예상외 파격적 성과급 공개한 삼성전자
[이코노미스트 라예진 기자] 국내 주요 기업들이 성과급 지급과 관련해 시끄러운 연말연시를 보냈다. 특히 올해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파격적인 성과급 행보에 대중까지 집중했다.
SK하이닉스는 성과급 규모를 두고 노사대표 공동협의를 4차례나 진행했다. 사측이 제시한 성과급에 대해 노동조합 측이 '턱없이 낮다'는 입장을 표했기 때문이다. 실제 SK하이닉스가 지난해 연말 처음 제시한 성과급 기준은 초과이익성과급(PS)1000%에 특별성과급 450%를 합친 1450%였다. 하지만 노조 측은 이 기준은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23조원의 10%에 미달한다고 주장하며 받아들이지 않다.
앞서 SK하이닉스는 2020년 최태원 회장의 연봉 반납까지 진행되던 성과급 논란을 지내온 후, 기존 운영하던 성과급 지급 기준인 EVA(경제적부가가치)제도를 폐지하고 영업이익 10%를 성과급 재원에 활용하기로 기준을 새로 정한 바있다. 이 같은 새 기준에 맞춰 노조 측은 23조원의 10%에 해당하는 2조3000억원을 SK하이닉스 전 직원인 3만2000여명에게 지급하라고 주장한 것이다.
SK하이닉스 한 직원은 “PS 상한선 1000% 초과분은 협의한다고 하지만 회사 측에서 먼저 제안한 영업이익 10% 지급 기준은 맞춰줄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이에 미달하는 지급액을 제안하니 실망스러웠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2018년에는 연간 영업이익 20조원을 기록하며 성과급 1500%를 지급한 바가 있어서 직원들의 지난해 성과급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컸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SK하이닉스 측은 노사 간 협의를 4차례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500% 특별성과급을 포함한 PS 1500%를 확정했다. 이미 지급한 생산성격려금(PI)과 임단협 타결급까지 더하면 성과급은 모두 1920% 수준으로 정해졌다.
연봉의 96% 수준을 성과급으로 지급한 SK하이닉스 사측의 고민은 커졌을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는 영업이익이 증가했지만 반도체산업 특성상 업, 다운턴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이익이 높을 때 미래를 위한 연구개발 및 설비 투자가 필수적으로 이뤄져야하기 때문이다. 실제 SK하이닉스는 지난 2023년에는 7조7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성과급을 전혀 지급하지 못했다.
삼성반도체 사상 첫 기본급 200% 성과급
삼성전자 역시 이례적인 성과급 지급율로 이목을 끌었다. 삼성전자가 전사적으로 목표달성 장려금(TAI) 지급률을 공개했는데 메모리사업부에 파격적인 기준을 내놓을 것이다. 삼성전자 측 공지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 메모리사업부는 기본급의 200%를 성과급으로 받는다.
삼성전자는 이전까지 TAI를 월 기본급의 최대 100%까지 지급해왔다. 기본급의 200%가 책정된 것은 삼성반도체 사상 처음이다. 기본급의 100%라는 기존 기준치를 깨고 200%라는 수치를 내놓은데는 메모리사업부의 사기 진작 의미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반도체는 2023년 적자를 기록하다 지난해에는 흑자로 전환하는 등 성과를 냈지만, 매출의 절반 수준을 기록하는 SK하이닉스 영업이익에도 밀리며 업계 1위 자리에 위기를 맞았다. 이에 성과급은 낮을 거라고 전망했지만 반대로 높게 책정된 성과급은 결국 기 죽은 메모리사업부 ‘다시 살리기용’이라는 분석이다.
이외에 부서는 비교적 낮은 수치의 성과급이 지급됐다. 파운드리사업부와 시스템LSI사업부는 25%가 책정됐고, 세트(DX)부문에서는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와 모바일경험(MX) 사업부가 기본급의 75%를 받았다. 생활가전사업부는 37.5%, 네트워크사업부는 25%가 책정됐다.
삼성전자의 성과급에 대한 파격적인 행보는 이뿐만이 아니다. 삼성전자는 임원에 대한 초과이익성과급(OPI) 일부를 자사주로 지급하기로 했다. 상무는 성과급 50% 이상, 부사장은 70% 이상, 사장은 80% 이상, 등기임원은 100%의 자사주를 받게 된다. 이 제도는 올해부터 적용해, 관련 성과급 자사주는 2026년 1월 지급될 계획이다.
이 같은 성과급 자사주 지급 제도는 내년부터 일반 직원에게도 확대할 것으로 검토되고 있다. 반면 직원들은 무조건적인 임원들 조건과 달리, 선택제로 적용될 전망이다. 또 직원들은 주가 하락에 따른 주식 지급 수량 차감은 고려하지 않을 계획이다. 임원들은 주가가 하락하면 하락률만큼 지급 주식 수량도 줄어든다.
이 같은 자사주 지급은 책임경영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인재 붙잡기 방안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실제 대만의 파운드리 기업 TSMC는 인재 유출 방지책으로 자사주 지급을 이미 운영하고 있다. TSMC는 양도제한 조건부 주식보상(RSA)제도를 임원 전반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직원들에게는 자사주 매입 시 보조금을 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업계 인재 유치 경쟁이 세계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2031년엔 국내 반도체 인재가 30만명가량 부족할 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통 큰 성과급을 내세워 인재 유출을 막고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하이닉스는 성과급 규모를 두고 노사대표 공동협의를 4차례나 진행했다. 사측이 제시한 성과급에 대해 노동조합 측이 '턱없이 낮다'는 입장을 표했기 때문이다. 실제 SK하이닉스가 지난해 연말 처음 제시한 성과급 기준은 초과이익성과급(PS)1000%에 특별성과급 450%를 합친 1450%였다. 하지만 노조 측은 이 기준은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23조원의 10%에 미달한다고 주장하며 받아들이지 않다.
앞서 SK하이닉스는 2020년 최태원 회장의 연봉 반납까지 진행되던 성과급 논란을 지내온 후, 기존 운영하던 성과급 지급 기준인 EVA(경제적부가가치)제도를 폐지하고 영업이익 10%를 성과급 재원에 활용하기로 기준을 새로 정한 바있다. 이 같은 새 기준에 맞춰 노조 측은 23조원의 10%에 해당하는 2조3000억원을 SK하이닉스 전 직원인 3만2000여명에게 지급하라고 주장한 것이다.
SK하이닉스 한 직원은 “PS 상한선 1000% 초과분은 협의한다고 하지만 회사 측에서 먼저 제안한 영업이익 10% 지급 기준은 맞춰줄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이에 미달하는 지급액을 제안하니 실망스러웠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2018년에는 연간 영업이익 20조원을 기록하며 성과급 1500%를 지급한 바가 있어서 직원들의 지난해 성과급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컸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SK하이닉스 측은 노사 간 협의를 4차례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500% 특별성과급을 포함한 PS 1500%를 확정했다. 이미 지급한 생산성격려금(PI)과 임단협 타결급까지 더하면 성과급은 모두 1920% 수준으로 정해졌다.
연봉의 96% 수준을 성과급으로 지급한 SK하이닉스 사측의 고민은 커졌을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는 영업이익이 증가했지만 반도체산업 특성상 업, 다운턴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이익이 높을 때 미래를 위한 연구개발 및 설비 투자가 필수적으로 이뤄져야하기 때문이다. 실제 SK하이닉스는 지난 2023년에는 7조7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성과급을 전혀 지급하지 못했다.
삼성반도체 사상 첫 기본급 200% 성과급
삼성전자 역시 이례적인 성과급 지급율로 이목을 끌었다. 삼성전자가 전사적으로 목표달성 장려금(TAI) 지급률을 공개했는데 메모리사업부에 파격적인 기준을 내놓을 것이다. 삼성전자 측 공지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 메모리사업부는 기본급의 200%를 성과급으로 받는다.
삼성전자는 이전까지 TAI를 월 기본급의 최대 100%까지 지급해왔다. 기본급의 200%가 책정된 것은 삼성반도체 사상 처음이다. 기본급의 100%라는 기존 기준치를 깨고 200%라는 수치를 내놓은데는 메모리사업부의 사기 진작 의미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반도체는 2023년 적자를 기록하다 지난해에는 흑자로 전환하는 등 성과를 냈지만, 매출의 절반 수준을 기록하는 SK하이닉스 영업이익에도 밀리며 업계 1위 자리에 위기를 맞았다. 이에 성과급은 낮을 거라고 전망했지만 반대로 높게 책정된 성과급은 결국 기 죽은 메모리사업부 ‘다시 살리기용’이라는 분석이다.
이외에 부서는 비교적 낮은 수치의 성과급이 지급됐다. 파운드리사업부와 시스템LSI사업부는 25%가 책정됐고, 세트(DX)부문에서는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와 모바일경험(MX) 사업부가 기본급의 75%를 받았다. 생활가전사업부는 37.5%, 네트워크사업부는 25%가 책정됐다.
삼성전자의 성과급에 대한 파격적인 행보는 이뿐만이 아니다. 삼성전자는 임원에 대한 초과이익성과급(OPI) 일부를 자사주로 지급하기로 했다. 상무는 성과급 50% 이상, 부사장은 70% 이상, 사장은 80% 이상, 등기임원은 100%의 자사주를 받게 된다. 이 제도는 올해부터 적용해, 관련 성과급 자사주는 2026년 1월 지급될 계획이다.
이 같은 성과급 자사주 지급 제도는 내년부터 일반 직원에게도 확대할 것으로 검토되고 있다. 반면 직원들은 무조건적인 임원들 조건과 달리, 선택제로 적용될 전망이다. 또 직원들은 주가 하락에 따른 주식 지급 수량 차감은 고려하지 않을 계획이다. 임원들은 주가가 하락하면 하락률만큼 지급 주식 수량도 줄어든다.
이 같은 자사주 지급은 책임경영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인재 붙잡기 방안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실제 대만의 파운드리 기업 TSMC는 인재 유출 방지책으로 자사주 지급을 이미 운영하고 있다. TSMC는 양도제한 조건부 주식보상(RSA)제도를 임원 전반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직원들에게는 자사주 매입 시 보조금을 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업계 인재 유치 경쟁이 세계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2031년엔 국내 반도체 인재가 30만명가량 부족할 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통 큰 성과급을 내세워 인재 유출을 막고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원/달러 환율, 장 초반 소폭 하락…엔화는 강세
2故 서희원 자택 돌아간 날, 前 시어머니는…
3배성재♥김다영, 5월 결혼…"2년 교제 결실"
4뉴진스 → '엔제이지' 새 활동명…"우리 막을 것 없어"
5미래에셋증권 ‘1조 클럽’ 복귀…자기자본 12조원 돌파
6알레르망 스핑크스, 신학기&웨딩페스타 개최...최대 50% 할인
7시 주석,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개막 선언… 우원식 의장 참석
8코스피, 나흘만에 약세로 돌아서…0.24% 하락
9션 맥기르(Seán McGirr)의 맥퀸, 2025 봄 여름 캠페인 공개해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