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美 관세 직격탄…정부, 피해 기업에 13조6000억원 긴급 지원
- 철강·알루미늄 이차보전 확대
무역보험·수출바우처도 강화

정부는 3일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국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관계 부서 합동으로 발표했다. 정부는 미국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당초 예정됐던 25% 수준의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추고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합의했지만, 15% 관세도 여전히 우리 수출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관세 피해기업들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단기적으로 13조6000억원의 긴급경영자금 지원을 강화한다. 지원대상 확대 및 한도 상향을 통해 보다 많은 기업들이 더 많은 자금을 융통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경영자금 지원을 위해 산업은행은 '관세피해업종 저리운영자금 대출' 상한을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모두 현행보다 10배씩 확대한다.
수출입은행은 '위기대응 특별 프로그램' 지원 대상 기준을 완화해 기존 p5+ 이하에서 p4 이하 등급 기업까지 확대한다. 중소기업진흥공단도 '통상 리스크 대응 긴급자금'의 경우 품목관세 부과 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기존 철강·알루미늄·자동차·부품 외 구리 업종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무역보험도 역대 최대 수준인 270조원 규모로 공급한다. 무역보험공사는 피해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보험·보증료 60% 할인 대상을 기존 품목관세 업종에서 관세 부과 전 업종으로 확대하고, 지원 기간도 연말까지 연장한다. 수출 중소·중견기업이 충분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업별 대출보증 한도를 일괄 0.5배 가산한 '보증한도 특별가산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수출기업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지난달부터 내년까지 총 4200억원 규모의 수출바우처도 기업들에게 공급한다. 물류비 한도를 3000만원에서 6000만원으로 상향하고, 지원범위도 운송비에서 창고보관·배송·포장 서비스 이용까지 확대한다. 아울러 '관세대응 119'를 통해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심화컨설팅 및 '미 세관 사전심사;도 신청할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건희, 샤넬백 받고 통일교에 "정부 차원서 돕겠다" 전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박나래 엄벌 탄원”…자택 절도범 징역 2년 선고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김정은, 푸틴에 "형제로서 의무로 가능한 한 러시아를 돕겠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딜 가뭄에 인력 수요도 한풀"…회계법인 채용시장도 '차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고바이오랩, ‘주사 대신 자연 GLP-1…비만 치료제 판도 흔드나[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