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2분기 GDP 0.7% 상승…저성장 늪에서 1년만에 탈출
- 지난해 1분기 이후 0.1% 이하 성장 지속
1분기 0.2% 하락 이후 반등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지난 2분기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7%를 기록했다. 4분기 연속 이어진 0.1% 이하 저성장 국면에서 탈출했다. 전체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합한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1.0%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3일 ‘2025년 2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7월 발표한 속보치(0.6%)를 소폭 웃도는 수준이다. 이는 속보치 추계 시 반영하지 못했던 분기 최종월 통계가 추가 반영된 영향이다. 건설투자에서 0.4%p 증가했고,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1.1%p, 수출 0.4%p 상향조정됐다. 설비투자는 0.6%p 하향 조정됐다.
우리나라 GDP는 지난해 1분기(1.2%) 이후 0.1%대 성장이라는 저성장 늪에 빠졌다. 2024년 2분기에는 –0.2%를 기록했고 3분기와 4분기에도 각각 0.1% 성장률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에도 –0.2%를 나타냈다.
경제 활동별로는 제조업이 1분기보다 2.5% 증가했다.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운송장비 등의 상황이 좋아졌다. 반면 건물 및 토목 건설은 3.6% 감소했다.
지출항목별로는 수출에서 반도체와 석유·화학제품 등이 늘어 4.5% 개선됐고, 수입은 에너지류(원유, 천연가스 등)를 중심으로 4.2% 상승했다. 민간소비는 재화(승용차 등)와 서비스(의료 등) 소비가 늘면서 0.5%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1.2% 늘었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1.2% 감소했고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선박 등)와 기계류(반도체제조용기계 등)가 줄어 2.1% 축소됐다.
내수와 순수출을 나눠보면 순수출 기여도는 0.2%p에서 0.3%p로 개선됐다. 내수 기여도는 –0.5%p에서 0.4%p로 상향 조정됐다. 소비도 -0.1%p에서 0.5%p로 개선됐다. 건설은 -0.4%p에서 -0.1%p로 높아졌다. 설비는 0.0%p에서 -0.2%p로 하락했고, 지식재산생산물투자 기여도는 0.1%p로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 대비 1.0%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2% 나아졌다. 실질 GNI는 국민이 일정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뜻한다. 실질 GDP에 그해 물가를 반영한 명목 GDP는 전기 대비 2.0%, 전년 동기 대비 3.4% 올랐다. 피용자보수는 의료,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이 늘어 지난 1분기보다 0.8% 증가했다. 총영업잉여는 운송장비 제조업 및 도소매업 등을 중심으로 4.0% 늘었다.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눈 값을 뜻하는 GDP디플레이터는 1년 전보다 2.8% 증가했다. 총저축률(35.6%)은 전기대비 0.7%p 늘어난 반면 국내총투자율은 28.8%로 전기보다 0.1%p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전기보다 수출이 예상보다 양호했고, 소비심리도 개선됐다"면서 "속보치와의 차이는 6월 실적치를 반영할 결과 연구개발 지식재산생산물 투자 등 내수를 중심으로 상향 조정됐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건희, 샤넬백 받고 통일교에 "정부 차원서 돕겠다" 전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박나래 엄벌 탄원”…자택 절도범 징역 2년 선고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김정은, 푸틴에 "형제로서 의무로 가능한 한 러시아를 돕겠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딜 가뭄에 인력 수요도 한풀"…회계법인 채용시장도 '차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고바이오랩, ‘주사 대신 자연 GLP-1…비만 치료제 판도 흔드나[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