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투자 CEO 만난 이찬진 “투자자 보호·내부통제 강화해야”

이 원장은 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투자회사 CEO 간담회에서 "금융투자업계가 외형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을 이뤄야 한다"며 "투자자 편익 제고에 책임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는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을 비롯해 26개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CEO가 참석했다. 금감원 조직개편안 발표 다음 날 진행된 간담회기도 하다. 정부와 여당은 전날 금감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독립시켜 금융소비자보호원을 신설하고 금감원과 함께 공공기관으로 지정하는 조직개편안을 내놨다.
이 원장은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기 위해서는 CEO의 강한 의지와 실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투자자 보호 실패는 금전적 손실과 과징금 등 법적 책임, 평판 리스크, 시장 신뢰 상실 등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며 "CEO가 상품 설계·판매·운용 전 과정에서 사전 예방적 투자자 보호 문화를 주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불공정거래 근절과 관련해 금융투자업계의 적극적 역할도 요청했다. 그는 "자본시장은 신뢰를 기반으로 성장하는 만큼 시세조종·사기적 부정거래·불법 리딩방 등 불공정거래 행위는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며 "금감원도 무관용 원칙으로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어 "업계가 휘슬 블로어(내부 고발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퇴직연금 시장 신뢰 제고 역시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그는 "장기적 관점에서 안정적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가입자 중심의 업무 혁신을 추진해 달라"며 "금감원도 위험자산 투자한도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등 지원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금융투자업계의 본연의 역할인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주문했다. 이 원장은 "모험자본 공급은 금융투자회사의 존재 이유이자 본연의 책무"라며 "우리 경제 성장을 위해 금융투자업계가 생산적 금융의 핵심 플랫폼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금융투자회사의 역할도 당부했다. 그는 "금융투자회사가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환원 정책을 선도하고, 자산운용사는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을 통해 수탁자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시장 및 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해 현장과 동떨어지지 않은 감독 행정을 펼쳐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저 역시 자본시장 육성의 책임자로서 코스피 지수 상장지수펀드(ETF)와 스타트업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생산적인 자본시장의 관리자로서 책무를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사라진 '검찰총장' 하마평…검찰청 폐지 앞두고 檢 뒤숭숭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경찰 “故 대도서관 부검 완료” 사인 확인 나선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전세 대출 줄어드나요"…아침부터 은행 전화 불났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BBB급 케이카캐피탈, 회사채 시장 데뷔전 나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한가’ 엘앤씨바이오 “CAPA 문제없어…리투오 품귀, 곧 해소”[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