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10년간 가장 적게 늘어난 20대 지갑…체감물가에 실질소득 '역성장'
- 최근 10년간 20대 실질소득 연 1.9% 증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4∼2024년)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1.9%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 이어서는 40대(2.1%), 50대(2.2%), 30대(3.1%), 60대 이상(5.2%) 순으로 낮았다.
20대는 실질소득 증가 추세도 둔화하는 모습이다.
과거 5년(2014∼2019년)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2.6%였지만 최근 5년((2019∼2024년)은 연 1.1%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한경협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이 청년층 고용의 질적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으로부터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먼저 최근 10년간 20대의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모든 세대 중 가장 낮았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실업률은 3.2%포인트(9.0%→5.8%) 낮아졌고, 고용률도 3.6%포인트(57.4%→61.0%) 높아졌다.
하지만 근로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 비율이 11.1%포인트(32.0%→43.1%) 늘어나는 등 고용의 질이 떨어진 것이 청년층 실질소득의 낮은 증가율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외식비 상승에 따른 체감물가 상승도 20대 실질소득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가처분소득과 체감물가를 5년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20대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 3.8%에서 2019∼2024년 연 4.0%로 0.2%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20대 체감물가 상승률은 2014∼2019년 연 1.1%에서 2019∼2024년 연 2.8%로 뛰면서 2배 넘게 뛰었다. 결국 명목 가처분소득 상승효과가 상쇄돼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오히려 하락했다는 것이 한경협의 설명이다.
한경협은 가파른 음식·숙박비 상승을 20대 체감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2019∼2024년 '음식·숙박' 물가는 식사비를 중심으로 연 4.0% 올랐는데 이는 소비지출 항목 중 '식료품·비주류음료'(5.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 물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고용훈련, 양질의 고용 창출 여력 확대 등 질적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며 "할당관세,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재료비 원가 부담을 줄임으로써 외식물가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에이프릴바이오 파트너사 에보뮨 ARB-R3 차기 적응증 공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시영, 둘째는 딸…”공주님도 엄청 건강할 듯”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정부24·우체국 금융 정상 운영…정보시스템 47개 복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국민연금, 갑질 의혹 불거진 실장 대상 조사 착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뉴코’ 성공 사례에 나이벡 부각…ECM 스킨부스터株, 규제 쇼크[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